목차
청소년기 성적 발달
I. 청소년의 성
II. 성충동
III. 성적 공상
* 참고문헌
I. 청소년의 성
II. 성충동
III. 성적 공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지만 강간 근친상간 가학성음란 살인 등 비도덕적인 환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상은 그 자체가 행위를 실현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죄의식을 느끼게 해 준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개인마다 2가지의 죄의식이 있다. 하나는 성숙한 죄의식(matured guilt)이고, 또 하나는 미숙한 죄의식(immatured guilt)이다.
성숙한 죄의식의 소유자는 스스로를 잘 통제하여 동일한 상황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잘 반응할 수 있고, 성적인 흥분도 죄의식 없이 받아들여 소화시키고 자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미숙한 죄의식의 소유자는 그런 용납될 수 없는 환상 때문에 자신을 심하게 자책하고 혼란에 빠진다. 더 심하면 적개심이 표출되어 우울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인간이 사고(思考)할 수 있는 범위는 무한하므로,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도 단지 그것이 사고나 환상에 그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런 사고나 환상이 실제의 행동으로 표출되면 그는 사회적 기준에 의한 심판을 받게 된다. 대부분 자위행위를 할 때 성적 공상을 함께 한다.
이런 공상은 성행위에 대한 의혹이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즉 에로틱한 공상을 하게 되면 대인관계에 손상을 초래하고 성적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자기가 상상하는 어떤 특수한 감흥 따위를 실생활에서 성 상대자(sexual partner)에게 요구하게 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하여 성상대자는 잘 반응할 수 없게 되므로 여러 가지 지장이 초래된다.
기혼의 성인들의 성적 공상은 배우자가 아닌 성 상대를 염원하는 공상이 으뜸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이린 상상은 새로운 느낌을 추구하는 인간의 원초적 본능이며, 동물에서도 동일하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성숙한 죄의식의 소유자는 스스로를 잘 통제하여 동일한 상황에 대하여 이성적으로 잘 반응할 수 있고, 성적인 흥분도 죄의식 없이 받아들여 소화시키고 자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미숙한 죄의식의 소유자는 그런 용납될 수 없는 환상 때문에 자신을 심하게 자책하고 혼란에 빠진다. 더 심하면 적개심이 표출되어 우울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인간이 사고(思考)할 수 있는 범위는 무한하므로,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도 단지 그것이 사고나 환상에 그치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런 사고나 환상이 실제의 행동으로 표출되면 그는 사회적 기준에 의한 심판을 받게 된다. 대부분 자위행위를 할 때 성적 공상을 함께 한다.
이런 공상은 성행위에 대한 의혹이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즉 에로틱한 공상을 하게 되면 대인관계에 손상을 초래하고 성적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자기가 상상하는 어떤 특수한 감흥 따위를 실생활에서 성 상대자(sexual partner)에게 요구하게 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하여 성상대자는 잘 반응할 수 없게 되므로 여러 가지 지장이 초래된다.
기혼의 성인들의 성적 공상은 배우자가 아닌 성 상대를 염원하는 공상이 으뜸이라는 통계가 나왔다. 이린 상상은 새로운 느낌을 추구하는 인간의 원초적 본능이며, 동물에서도 동일하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특성
청소년기 신체발달 (사춘기, 청소년기 신체변화, 청소년기 생식기 구조와 기능, 사춘기의 성...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신체적 발달, 성적 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
청소년기 신체발달(성적 발달)
청소년기 신체발달(청년기의 신체적 성장과 변화 운동발달 성적 발달)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신체적 성적 발달 정서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적 발달측면에서 ...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신체적 성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 측면에서 설명
청소년기 신체발달(남녀 청소년의 신체적 성숙 성적 성숙 운동발달)
청소년기 신체발달(신장과 체중증가, 성적 성숙, 운동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