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루터의 생애
2. 루터의 종교개혁
(1) 종교개혁의 본질
(2) 종교개혁의 3대 기본 원칙
3. 루터의 교육
(1)루터의 교육 목적
(2)루터의 교육 내용
(3) 루터의 교육 방법
4. 루터의 제자
Ⅲ. 나가는 말
Ⅱ. 본론
1. 루터의 생애
2. 루터의 종교개혁
(1) 종교개혁의 본질
(2) 종교개혁의 3대 기본 원칙
3. 루터의 교육
(1)루터의 교육 목적
(2)루터의 교육 내용
(3) 루터의 교육 방법
4. 루터의 제자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기여는 윤리, 물리학, 종교학, 역사학, 수사학, 변증법, 그리고 심리학에 관한 교과서 저술이었다. 16세에 처음 집필한 그의 독일어 문법책은 그가 죽을 때까지 26번의 개정을 거쳤고, 그의 라틴어 문법책은 55번의 개정을 거쳤다. 루터교 교리에 대한 체계적인 편람이었던 신학총론 (Commonplaces)은 1521년에 집필되었고, 1529년이 되자 그는 7권의 교리문답적 저서를 출판하였다. 어떤 이들이 루터보다 멜랑히톤을 더욱 위대한 학자로 여기는 것은 놀랍지 않다.
공동생활을 한 형제단의 학교에서 공부한 요하네스 슈투름 (Johannes Sturm, 1507-1589)은 독일 최초의 고전적 체육관을 설립하였다. 인본주의적 접근을 바탕으로 이는 수 세기 동안 독일의 중등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또 한 명의 중요한 독일 교육자는 교수이자 비텐베르크의 설교자였던 요하네스 부겐하겐 (Johann Bugenhagen, 1285-1558)이었다. 루터나 멜랑히톤보다도 부겐하겐이 독일의 프로테스탄트 학교의 대의를 더 크게 지원하였다.
Ⅲ. 나가는 말
루터의 교육은 그 목적으로나 형태로나 또는 그 내용으로 볼 때 한결같이 “종교적”이다. 그러므로 루터의 교육은 곧 기독교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희정, op. cit., p.43.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공동사회의 일원인 인간을 사랑하는 루터의 교육 목적은 이 시대에는 잃어버린 교육의 모습이다. 저출산과 맞벌이로 무너진 가정, 말씀 없이 시스템을 쫓는 교회, 애정 없는 비리와 폭력의 공교육 현장이 루터가 무려 400여년 전에 개혁을 외치던 교육의 강조점 들이다.
루터의 개혁운동은 시간적으로 보면 물론 400여 년 전에 일어난 과거의 일이지만 인류에게 미친 사상적인 업적을 살펴볼 때 불변하는 현재성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그의 생각은 현재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실시하는 의무교육의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교육방법과 내용은 현대의 교육과정 구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시대에 잘못된 것을 개혁하기 위해서 그가 주장한 것처럼 이 시대에도 개혁자들의 정신을 이어 받아서 더 나은 개혁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인한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다양성은 시대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것으로 인한 개인주의적, 이기주의적 성향은 분명 시대와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것은 이 시대의 사회와 교육 뿐 아니라 교회와 교회 교육에도 개혁되어져야 할 필요를 요청한다.
그 어는 시대보다 교육 방법이 다양하고 교육의 기회가 넘쳐나는 시대를 산다. 교육의 도구와 학교, 교사가 넘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가장 큰 교육의 위기 속에 있다. 교육이 백년지대계라 했던가. 빠른 결과만을 요구하던 시대가 만든 수많은 시행착오는 개혁이 아니다.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단정 짓고 세상의 영역이라며 내어버려두었던 원래 우리의 것, 하나님의 사람을 세우는 교육의 개혁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Ecclisia Semper Reformanda Est.’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져야 한다.
※ 참고문헌.
김성식. 루터. 서울 : 지문각, 1969.
김형석 역. 루터의 생애와 사상. 서울 : 삼성미술문화재단, 1979.
배한국. 루터와 종교개혁. 서울 : 컨콜디아사, 1972.
안상원. 신교육사. 서울 : 재동문화사, 1965.
지원용. 루터의 사상. 서울 : 컨콜디아사, 1982.
※ 참고논문.
현익부. 종교개혁과정에 나타난 루터의 교육사상. 제주대학교, 2001.
정희정. 마틴 루터의 교육사상 연구. 건국대학교, 1996.
안석순. 루터의 종교개혁의 교육적 공헌. 이화여자대학교, 1980.
공동생활을 한 형제단의 학교에서 공부한 요하네스 슈투름 (Johannes Sturm, 1507-1589)은 독일 최초의 고전적 체육관을 설립하였다. 인본주의적 접근을 바탕으로 이는 수 세기 동안 독일의 중등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또 한 명의 중요한 독일 교육자는 교수이자 비텐베르크의 설교자였던 요하네스 부겐하겐 (Johann Bugenhagen, 1285-1558)이었다. 루터나 멜랑히톤보다도 부겐하겐이 독일의 프로테스탄트 학교의 대의를 더 크게 지원하였다.
Ⅲ. 나가는 말
루터의 교육은 그 목적으로나 형태로나 또는 그 내용으로 볼 때 한결같이 “종교적”이다. 그러므로 루터의 교육은 곧 기독교 교육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희정, op. cit., p.43.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공동사회의 일원인 인간을 사랑하는 루터의 교육 목적은 이 시대에는 잃어버린 교육의 모습이다. 저출산과 맞벌이로 무너진 가정, 말씀 없이 시스템을 쫓는 교회, 애정 없는 비리와 폭력의 공교육 현장이 루터가 무려 400여년 전에 개혁을 외치던 교육의 강조점 들이다.
루터의 개혁운동은 시간적으로 보면 물론 400여 년 전에 일어난 과거의 일이지만 인류에게 미친 사상적인 업적을 살펴볼 때 불변하는 현재성을 띄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중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그의 생각은 현재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실시하는 의무교육의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교육방법과 내용은 현대의 교육과정 구성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시대에 잘못된 것을 개혁하기 위해서 그가 주장한 것처럼 이 시대에도 개혁자들의 정신을 이어 받아서 더 나은 개혁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포스트 모더니즘으로 인한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다양성은 시대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이것으로 인한 개인주의적, 이기주의적 성향은 분명 시대와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것은 이 시대의 사회와 교육 뿐 아니라 교회와 교회 교육에도 개혁되어져야 할 필요를 요청한다.
그 어는 시대보다 교육 방법이 다양하고 교육의 기회가 넘쳐나는 시대를 산다. 교육의 도구와 학교, 교사가 넘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가장 큰 교육의 위기 속에 있다. 교육이 백년지대계라 했던가. 빠른 결과만을 요구하던 시대가 만든 수많은 시행착오는 개혁이 아니다.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단정 짓고 세상의 영역이라며 내어버려두었던 원래 우리의 것, 하나님의 사람을 세우는 교육의 개혁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Ecclisia Semper Reformanda Est.’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져야 한다.
※ 참고문헌.
김성식. 루터. 서울 : 지문각, 1969.
김형석 역. 루터의 생애와 사상. 서울 : 삼성미술문화재단, 1979.
배한국. 루터와 종교개혁. 서울 : 컨콜디아사, 1972.
안상원. 신교육사. 서울 : 재동문화사, 1965.
지원용. 루터의 사상. 서울 : 컨콜디아사, 1982.
※ 참고논문.
현익부. 종교개혁과정에 나타난 루터의 교육사상. 제주대학교, 2001.
정희정. 마틴 루터의 교육사상 연구. 건국대학교, 1996.
안석순. 루터의 종교개혁의 교육적 공헌. 이화여자대학교, 1980.
추천자료
(Martin Luther) 마틴 루터의 생애, 교육사상, 교육관, 교육사적 영향력
마틴 루터의 생애, 루터의 교육사상, 루터의 교육방법, 교육사적 영향, 현대에서의 적용
마틴 루터의 사상과 종교개혁 - 교육과정과 영적인 고민, 복음의 재발견, 신학 논쟁들, 기독...
[루터][마틴 루터][신학][루터의 생애][루터의 역할][루터의 교육사상][루터와 농민전쟁][이...
[마틴루터][루터][교육사상][교육방법][교육사적 의의]마틴 루터의 약력과 마틴 루터의 사상 ...
[종교개혁]종교개혁의 개념, 종교개혁의 원인, 종교개혁의 교육론, 종교개혁과 가톨릭, 종교...
인간관계와 리더십 마틴루터킹(Martin Luther King, Jr.)과 리더십과의 관계
마틴루터의 교육 목적, 내용, 방법
(마틴 루터 Martin Luther) 루터 생애, 루터 교육사상, 루터 종교, 루터 교육사 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