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의 통신언어 문화에 대한 연구 - SNS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들의 문화가 반영된 의사 소통의 집합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언어 자료가 된다.
통신상에서 사용하는 언어들이 국어의 규범적인 틀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도 많지만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청소년 누리꾼들의 뚜렸한 의도와 목적이 반영된 적극적 언어 행위의 결과이며, 새로운 의사소통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언어 형태를 사용하고자 하는 청소년 세대의 언어의식의 산물이다. 따라서 다양한 성분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새롭게 만들어 내는 통신 언어의 다양한 방식들은 이미 그 자체로 한국어의 풍부하고 중요한 언어 자료이며, 통신 환경에서 쓰이는 사회 방언의 일부로 청소년의 문화의 한 면으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선화(2013). 통신 언어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문장 종결방식 연구 : 트위터 사용자를 중심으 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창석(2010). “청소년의 통신 언어 사용 실태 연구,”「청소년 문화포럼」25, 서울: 한국 청소 년 문화 연구소
이정복(2001), “통신 언어 문장 종결법의 특성,”「우리말글」 22, 경산: 우리말글학회, 123~151
이정복(2003), 「인터넷 통신 언어의 이해」, 서울 : 월인
정진수(2003), “컴퓨터 통신 언어 연구”, 청주 :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최지영(2011), “중학생과 대학생의 통신 언어 사용 양상 비교”,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원용진외(2010), 청소년 주체 형성과 사회적 재생산, 한국학술진흥재단 협동연구지원사업 연구 결과보고서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8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