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포영화의 역사 - 『여고괴담』 이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공포영화의 역사 - 『여고괴담』 이후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해당 작품만의 성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평단에서는 이른바, \"역사적 사건\"으로 본다.
한국의 공포영화는 <여고괴담>전과 후로 나뉘어도 과언이 아니라는 정도로 평가 받는다.
그러한 칭송을 받는 이유는 두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하나는 <여고괴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제작비로 흥행에 성공하여 경제적인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선례가 된 것이고, 또하나는 80대 후반 이후 사라졌던 공포장르의 영화가 드디어 장르로써 인정받으며 충무로의 영화적 인프라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기 때문이다.
<여고괴담>은 입시교육으로 인한 학교문제, 청소년 문제를 소재로 한 것이다. 특히 유관순 누나의 동상, 이순신 장군상이 밤이 되면 움직인다류의 학교괴담, 한국에만 있는 그런 독특한 공포서사가 관객들의 정서에 수용되면서 <여고괴담>시리즈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문제적 부분을 공포로서 형상화한 영화들이 대부분 흥행을 한다는 잠정적 결론을 이끌어 내는데 기여했다. <알포인트>의 경우 베트남전 때의 죄의식, <가위>에서의 왕따문제, <4인용 식탁>에서의 가족의 문제, <아파트>에 나타난 현대인들의 무관심함이 불러오는 참사의 문제..등등 해서 지금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한국공포영화에 대한 저변이 확대 되는 가운데 에서도 코미디 장르와의 연합 구도가 하나의 특징적 현상으로 목격된다. <조용한 가족>의 경우 코믹 잔혹의 형식으로, <오싹한 연애>의 경우 멜로와 코미디에 접목시킨 공포로써, <귀신이 산다>, <시실리2km>등의 작품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한국공포영화의 역사를 매우 간략히 살펴보았다.
하지만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어 보람 있는 시간이 되었다.
에필로그
참고문헌 목록
『월하의 여곡성』. 2008. 백문임. 책세상
『영화란 무엇인가』. 1997. 한국영화학교교수협의회. 지식산업사.
『영화사전』. 2004 김광철, 장병원, media 2.0.
『영화에 대하여 알고 싶은 두 세가지 것들』. 1991. 구회영. 도서출판 한울
〈1998~2006년 한국 일간지 영화 전문지의 동 기간 개봉 한국 공포영화 관련 기사 내용 분석〉, 조성준, 2006.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한국 공포영화의 변화 연구 : 여귀에서 환영으로〉, 이인정, 2010,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과.
〈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영화의 분류 및 흥행과의 관련성 연구〉, 이은의, 2006,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