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지행동치료

I. 기본가정 및 치료목표

II. 인지적 접근법
1.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이론
2. 벡의 인지치료

III. 행동적 접근법
1. 노출법
2. 오퍼런트 조건화
1) 행동증가치료 : 강화
2) 행동감소치료 : 처벌, 소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둘째, 행동의 긍정적인 측면을 구체적으로 지적한다('네가 부탁을 들어주어서 고맙다.'). 셋째, 대상자의 변화된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대상자의 입장에서 조금이라도 변화된 점에 대해 감정을 표현한다. 30등을 하다가 25등이 되면 '5등이 향상되었는데, 네가 노력하는 모습이 보여 기쁘다.'). 넷째, 성취의 결과보다는 노력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네가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을 보니 아빠는 기쁘다.').
이외에도 대상자가 좋아하는 활동(TV 시청, 자전거 타기, 오락하기 등)도 강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발생 빈도가 높은 행동이 발생 빈도가 낮은 행동의 강화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프리맥의 원리라고 한다.
2) 행동감소치료 : 처벌, 소거
일반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의 경우 이를 억제시켜 행동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행동감소치료라고 한다. 처벌은 직접적으로 문제 행동 이후에 불쾌한 자극인 처벌을 줌으로써 행동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지각을 한 아이에게 방과 후 화장실 청소를 하게 한다든지, 엄마 지갑에서 돈을 훔친 아이에게 회초리로 때리는 것과 같이 처벌은 흔히 우리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다.
소거는 후속 행동 이후에 행동을 지속시키는 강화인을 제공하지 않아, 그 행동의 빈도가 감소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에 갈 때마다 장난감을 사 달라고 조르는 5세 아들의 행동에 대해 엄마는 아들의 조르는 행동을 무시하는 것이 소거의 한 예다. 조르는 행동 이후에 장난감을 사 주면 이는 정적 강화가 되기 때문에 슈퍼마켓을 갈 때마다 사달라고 졸라대는 아이의 행동의 빈도가 높아질 것이다. 소거치료를 실시할 때, 처음에는 대상자의 반항이 더욱 심해져 실시자가 당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고비를 넘기고 일관성 있게 설시하게 되면 대상자는 이러한 실시자의 의도를 학습하게 됨으로써 강화가 뒤따르지 않는 행동의 빈도는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2.21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4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