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균의 구조와 질병
A. 포도상구균
B. 연쇄상구균
C. 디프테리아균
D. 탄저균
E. 매독균
F. 결핵균
2. 바이러스의 구조와 질병
A. 외피 비보유 DNA 바이러스
B.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
A. 포도상구균
B. 연쇄상구균
C. 디프테리아균
D. 탄저균
E. 매독균
F. 결핵균
2. 바이러스의 구조와 질병
A. 외피 비보유 DNA 바이러스
B. 외피 보유 DNA 바이러스
본문내용
1. 세균의 구조와 질병
A. 포도상구균(Staphylococcous)
- 지름 0.8~1.0μm의 구균이며, 때로는 쌍구균이 되는 것도 있는데, 보통 한천(寒天 ; 우무)에 18시간 정도 배양하면 세포가 포도상으로 배열한다.
- 군체는 주름 모양으로 불투명하고, 색은 백색에서 담황색이다
- 질병
a. 피부감염 : 뾰로지, 옹종, 농가진, 표리박리증후군 등이 나타난다.
b. 폐렴 : 황색 포도상구균이 혈류를 따라 폐에 침범하여 폐렴을 일으킨다.
c. 골수염(뼈속질염) : 다른 부위에서 증식한 황색 포도상구균이 혈류를 따라 골수로 침범하여 발생하거나 깊은 상처 또는 수술 등을 통해서 골수(뼈속질)에 침범하여 발생한다.
d. 식중독 : 장독소 생산 황색 포도상구균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시 발생한다.
e. 독소쇼크증후근 : 피부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킨 황색 포도상구균이 독소쇼크증후군 독소를 생산하여 발생하는 경우와 월경 때 자궁경부나 질에서 증식한 황색 포도상구균이 독소를 생산하여 발생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발열, 저혈압, 설사,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A. 포도상구균(Staphylococcous)
- 지름 0.8~1.0μm의 구균이며, 때로는 쌍구균이 되는 것도 있는데, 보통 한천(寒天 ; 우무)에 18시간 정도 배양하면 세포가 포도상으로 배열한다.
- 군체는 주름 모양으로 불투명하고, 색은 백색에서 담황색이다
- 질병
a. 피부감염 : 뾰로지, 옹종, 농가진, 표리박리증후군 등이 나타난다.
b. 폐렴 : 황색 포도상구균이 혈류를 따라 폐에 침범하여 폐렴을 일으킨다.
c. 골수염(뼈속질염) : 다른 부위에서 증식한 황색 포도상구균이 혈류를 따라 골수로 침범하여 발생하거나 깊은 상처 또는 수술 등을 통해서 골수(뼈속질)에 침범하여 발생한다.
d. 식중독 : 장독소 생산 황색 포도상구균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시 발생한다.
e. 독소쇼크증후근 : 피부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킨 황색 포도상구균이 독소쇼크증후군 독소를 생산하여 발생하는 경우와 월경 때 자궁경부나 질에서 증식한 황색 포도상구균이 독소를 생산하여 발생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발열, 저혈압, 설사,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