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영화 <씨 인사이드> 소개
1. 영화 선정 이유
2. 영화의 줄거리 및 내용
3. 영화 내 가치의 상충 양상
Ⅲ. 안락사에 관한 소고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영화 <씨 인사이드> 소개
1. 영화 선정 이유
2. 영화의 줄거리 및 내용
3. 영화 내 가치의 상충 양상
Ⅲ. 안락사에 관한 소고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료행위’로 인정된다 할지라도 의사에게 막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부담은 단순히 안락사를 위한 법적 요건의 완비, 그리고 안락사 이후 벌어질 수도 있는 가족과의 소송의 위험성에 관련된 것만이 아니다. 누군가의 생명을 끊는다는 것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만약 환자 본인이 동의하였다 할지라도 가족 구성원이 반대한 안락사라면 이를 수행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도 비난이 돌아올 수 도 있다는 점 등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막대한 부담과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이었다면 안락사를 반대하는 입장이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Ⅳ. 결론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안락사와 관련해서는 수많은 쟁점이 존재하며 안락사 그 자체로도 윤리적 가치가 상충하고 있는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안락사를 바라고 있는 환자인지, 아니면 그러한 환자를 돌보는 가족인지, 혹은 안락사를 수행하여야 할 의료서비스의 제공자인지 그 입장에 따라 달리 생각해볼 경우 안락사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달라진다는 점은 그만큼 안락사에 관련해서 의견의 합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견의 차이는 결국 안락사라는 문제가 상충하는 각 가치를 평가하고 형량하여 하나의 우월적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적시한다. 안락사 문제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하기에는 각 사례별로 그 내용과 어려움, 상황이 다르고 고려해야 할 점도 다르기 때문에 각 상황에서 보다 두드러지는 가치와 중시되는 가치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거시적 접근 하에서는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안락사 반대와 관련해서는 안락사를 허용한 국가로 향하는 소위 ‘자살 관광’과 같이 무조건적인 규제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안락사 찬성과 관련해서는 만약 안락사를 허용한다 할지라도 그 안락사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것이 사람인 이상 안락사가 가능한 ‘객관적 기준’을 합리적으로 정해야 하지만 환자의 ‘주관적 판단’을 고려할 수 없다는 어려움 역시 존재한다.
결국 안락사와 관련된 논쟁은 보다 긴 시간을 두고 이어져야 하며 결국 사회적 합의와 대다수 국민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야 그 논쟁이 가라앉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논쟁이 결코 부정적인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결국 안락사 문제는 인간의 존엄과 생명, 권리에 관한 논쟁으로서 그 자체로 인간의 권리에 관한 의식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논쟁의 끝에 그 결과의 향방은 알 수 없지만 합의된 결과가 도출된다면 그 자체로 보다 성숙한 시민의식이 자리 잡을 것이라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이상우, 『윤리적 측면에서 본 안락사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c4908aa92241babffe0bdc3ef48d419
이러한 부담은 단순히 안락사를 위한 법적 요건의 완비, 그리고 안락사 이후 벌어질 수도 있는 가족과의 소송의 위험성에 관련된 것만이 아니다. 누군가의 생명을 끊는다는 것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만약 환자 본인이 동의하였다 할지라도 가족 구성원이 반대한 안락사라면 이를 수행한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도 비난이 돌아올 수 도 있다는 점 등은 의료서비스 제공자에게 막대한 부담과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가 의료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이었다면 안락사를 반대하는 입장이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Ⅳ. 결론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안락사와 관련해서는 수많은 쟁점이 존재하며 안락사 그 자체로도 윤리적 가치가 상충하고 있는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안락사를 바라고 있는 환자인지, 아니면 그러한 환자를 돌보는 가족인지, 혹은 안락사를 수행하여야 할 의료서비스의 제공자인지 그 입장에 따라 달리 생각해볼 경우 안락사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달라진다는 점은 그만큼 안락사에 관련해서 의견의 합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견의 차이는 결국 안락사라는 문제가 상충하는 각 가치를 평가하고 형량하여 하나의 우월적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적시한다. 안락사 문제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하기에는 각 사례별로 그 내용과 어려움, 상황이 다르고 고려해야 할 점도 다르기 때문에 각 상황에서 보다 두드러지는 가치와 중시되는 가치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거시적 접근 하에서는 결정을 내리기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안락사 반대와 관련해서는 안락사를 허용한 국가로 향하는 소위 ‘자살 관광’과 같이 무조건적인 규제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안락사 찬성과 관련해서는 만약 안락사를 허용한다 할지라도 그 안락사에 대한 기준을 정하는 것이 사람인 이상 안락사가 가능한 ‘객관적 기준’을 합리적으로 정해야 하지만 환자의 ‘주관적 판단’을 고려할 수 없다는 어려움 역시 존재한다.
결국 안락사와 관련된 논쟁은 보다 긴 시간을 두고 이어져야 하며 결국 사회적 합의와 대다수 국민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야 그 논쟁이 가라앉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논쟁이 결코 부정적인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 결국 안락사 문제는 인간의 존엄과 생명, 권리에 관한 논쟁으로서 그 자체로 인간의 권리에 관한 의식을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논쟁의 끝에 그 결과의 향방은 알 수 없지만 합의된 결과가 도출된다면 그 자체로 보다 성숙한 시민의식이 자리 잡을 것이라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이상우, 『윤리적 측면에서 본 안락사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c4908aa92241babffe0bdc3ef48d4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