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전기 아동의 심리적 발달(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령전기 아동의 심리적 발달(인지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학령전기 아동의 심리적 발달

I. 인지발달

II. 언어발달

III. 정서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저 애는 친구들이 가 버려서 슬픈 거야." "과자를 빼앗겨서 화가 난 거야. " 등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감정을 읽을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자연스럽게 울고 있는 친구를 안아 주거나 위로할 줄도 알게 된다. 정서적 발달이 친사회적 행동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시기에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는 방식을 배워 나가는 것은 이후의 대인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3-4세가 되면 기쁨이나 분노와 같은 기본 감정뿐 아니라 자신감이나 수치심, 질투 등의 복합적인 감정까지도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찾는다. 예컨대, 이 시기의 유아는 감정을 유발하는 감각 정보를 제한하거나(무서운 소리가 들리면 귀를 막는 것), 스스로 다짐을 하거나("엄마가 곧 오신다고 했어."), 자신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친구들이 놀이에 끼워 주지 않을 때 '놀고 싶지 않다'고 스스로 마음먹음) 등의 방법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려고 노력한다. 유아기에 감정조절을 잘하는 아이들은 학령기가 되면 협동심이 높고 문제행동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감정조절 능력은 주변 사람의 반응을 통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을 때 부모나 돌보는 사람이 그 감정을 이해해 주고 친밀감을 표현하며, 아이가 감정을 공격적인 행동이 아닌 언어로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것,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에도 불구하고 해서는 안 되는 행동에 대한 제한을 분명히 해 주는 것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 부모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하지 않고 아동의 정서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기며, 부모 스스로가 자신의 분노를 통제하지 못하면 아이 역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다루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0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