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발달] 영아의 지각능력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각발달] 영아의 지각능력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지각의 원리
1. 보강이론
2. 분화이론

II. 지각능력의 측정

III. 시지각 능력의 발달
1. 형태지각
2. 깊이지각

IV. 청지각 능력의 발달

V. 미각, 후각, 촉각의 발달과 통합적 지각

VI. 주의력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er, & Miller, 1993)은 소리나는 방향의 식별은 U자형 발달곡선을 보인다고 제안하고 2~3개월의 영아가 나타내는 무능력은 반사적 청지각 능력이 의식적 청지각 능력으로 대치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청지각은 언어를 획득하고 이해하기 위한 주요한 능력이다. 디케스퍼 등(Decasper 등 1994)의 연구에 의하면, 출산 전에 들려준 문장을 출생 후에 다시 들려주었을 때, 신생아들은 처음 듣는 문장보다 출생 전에 들은 문장을 더 선호하여 언어변별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생후 12시간 된 신생아들은 언어요소(단어와 음절)에 대해 변별적 신체 움직임을 나타낸 반면, 리드미컬하지 않은 두드리는 소리나 연결되지 못한 모음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았다. 영아는 일찍부터 모음과 자음을 구별할 수 있고 생후 4.5개월경에는 자신의 이름도 인지할 수 있었다(Juszyk, 1995). 이러한 결과들은 인간은 언어와 같은 유형의 소리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언어요소와 함께 영아는 서로 다른 음악소리도 식별할 수 있고 부모가 불러준 자장가나 노래를 기억할 수 있다(Trainor, Wu, & Tsang, 2004). 그들은 서로 다른 멜로디를 구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즐겁지 않은 멜로디보다 즐거운 멜로디를 더 선호한다(Trainor & Heinmiller. 1998). 음악은 인간이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기본적 수단이므로 음악에 대한 민감성 역시 생후 초기에 발달한다.
V. 미각, 후각, 촉각의 발달과 통합적 지각
미각과 후각 및 촉각은 출생 시에 이미 완전하게 발달되어 있다. 우선 신생아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을 구별할 수 있고, 암모니아 냄새와 같은 역겨운 냄새에는 고개를 돌리지만 어머니의 젖 냄새에 대해서는 강한 애착을 보인다. 생후 4일의 신생아들은 다른 여성의 냄새보다 어머니의 냄새를 더 좋아하였다(Porter & Winberg, 1999).
촉각 역시 출생 시에 이미 완전하여, 조산아기조차도 잘 발달된 촉각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부드럽고 규칙적인 접촉은 조산아기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하였다. 그 예로서 인큐베이터 속에 있는 조산아기를 규칙적으로 톡톡 두드려 주면 아기의 호흡은 규칙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단순히 팔이나 다리를 붙잡아 주는 것만으로도 그들은 위로받을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옷이나 담요로 아기를 꼭 싸주는 것도 규칙적으로 두드려 주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초래하였다(Nugent & Brazelton, 2000).
신생아는 시각이나 촉각과 같은 상이한 감각적 정보들을 어떻게 통합적으로 지각할 수 있는가?놀랍게도 이러한 감각적 통합능력(자주 intermodal Perpection으로 불린다)은 출생 직후부터 나타나고 이후 환경과의 접촉을 통하여 빠르게 발달한다. 멜조프와 볼톤(Meltzoff & Borton, 1979)의 고전적 연구에서 신생아에게 두 개의 인공 젖꼭지 중 하나를 빨아먹게 하고 발기가 끝난 후에 두 개의 젖꼭지를 다시 보여 주었다. 그 때 신생아는 이미 경험한 익숙한 젖꼭지를 더 오랫동안 바라봄으로써 젖꼭지의 시각적 모습과 입안의 느낌을 통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감각적 통합능력의 증거는 많이 있다(Lickliter & Bahrick, 2000; Condry, Smith, & Spelke, 2001). 그 예로서 출생 후 수 시간 내에 신생아들은 시각과 청각을 짝지을 수 있고 생후 4개월에는 두 개의 낯선 필름 중 하나와 연결된 영화음악을 변별할 수 있었으며 생후 6개월에는 남녀의 얼굴과 목소리를 연결지을 수 있었다. 또한 생후 7개월에는 얼굴표정과 발성을 짝지을 수 있어 통합적 지각능력이 발달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VI. 주의력의 발달
주의력(attention)이란 특정한 자극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영아기를 지나면서 지각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다. 만약 아동이 주의를 집중할 수 없다면 사물에 대한 지각은 물론 읽기학습과 같은 복잡한 인지과제를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영아나 어린 아동들은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의해 그들의 주의를 점령당하는 양상을 나타내므로 주의력 의 증거를 찾기 어렵다. 성장함에 따라 주의지속시간(attention span)은 길어지고 주의를 기울이는 대상도 선택적으로 변화한다.
아동이 어릴수록 주의지속시간은 짧다. 따라서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하는 연구자들은 실험시간을 수분 정도로 제한해야 하며 유아원 교사는 15-20분 간격으로 교실 내에서의 활동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아동의 주의지속시간을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Yendovitskaya, 1971) 2.5~3.5세 아동들은 평균 18분 동안 수행할 수 있었으나 쉽게 분산된 반면에, 5.5-6세 아동들은 1시간, 이상을 지속할 수 있었다 TV 시청과 같이 아동이 좋아하는 일을 할 때에도 2-3세의 아동들은 일어나 방을 돌아다니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도 하였으며 TV시청시간도 5-6세 아동들보다는 현저하게 짧았다(Anderson 등 1987).
특정한 사물에 대한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도 연령증가와 함께 개선된다. 2세가 지나면, 유아는 행동계획을 세우고 그것에 따라 어떤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고 어떤 자극을 무시해야 하는지를 알기 시작하며,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에 이르면 아동은 방해자극이 존재할 때도 목표자극물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한다(Ruff & Rothbart, 1996).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1.0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5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