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창의적 광고의 실체
1. 독창성
2. 관련성
II. 크레에이티브 콘셉트
III. 크리에이티브 콘셉트의 개발
1. 편익에 초점 맞추기
2. 자사제품을 핵심 비주얼로 부각시키기
3. 자사제품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의 비교에 초점 맞추기
4. 비교나 비유에 초점 맞추기
5. 간접 비유에 초점 맞추기
6. 유명인사, 보증인, 캐릭터에 초점 맞추기
7. 과장법에 초점 맞추기
8. 사례나 생활 단면에 초점 맞추기
9. 제품 시연에 초점 맞추기
* 참고문헌
1. 독창성
2. 관련성
II. 크레에이티브 콘셉트
III. 크리에이티브 콘셉트의 개발
1. 편익에 초점 맞추기
2. 자사제품을 핵심 비주얼로 부각시키기
3. 자사제품을 사용할 때와 사용하지 않을 때의 비교에 초점 맞추기
4. 비교나 비유에 초점 맞추기
5. 간접 비유에 초점 맞추기
6. 유명인사, 보증인, 캐릭터에 초점 맞추기
7. 과장법에 초점 맞추기
8. 사례나 생활 단면에 초점 맞추기
9. 제품 시연에 초점 맞추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다. 하지만 간접 비유를 유발하는 비주얼은 오히려 표적 청중의 주의를 끌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힘이 비교하는 것에 비해 더 강할 수 있다.
6. 유명인사, 보증인, 캐릭터에 초점 맞추기
대부분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전문인 또는 일반인과 같이 특정 인물을 사용한다.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이러한 인물이나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물론 거의 대부분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사용하지만 페브리즈는 일반인을, 요구르트 월은 노벨상 수상자인 마샬 박사를, 그리고 파브는 스포츠 스타 이승엽을 모델로 사용한다. 캐럭터를 활용하기도 하는데, 블먹는 하마의 하마나 KTF Show와 같은 가공의 캐릭터도 모델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특히, 유명인사는 일차적으로 표적 청중의 주의를 끄는 효과가 있지만 제품의 핵심 주장을 강화하거나 뒷받침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별적인 이미지나 연상이 제품이나 편익과 절묘하게 맞물리면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로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7. 과장법에 초점 맞추기
핵심 주장이나 편익은 과장법을 통해 보다 명료해질 수 있다. 과장법을 사용하면 표적 청중의 주의를 끌고 광고에 대한 기억을 증진시럴 뿐만 아니라 경쟁자와 효과적으로 차별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8. 사례나 생활 단면에 초점 맞추기
자사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된 긍정적 경험이나 사례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로렉스는 화산활동을 연구하는 교수가 혹독한 환경에서도 제품을 신뢰할 수 있다는 사례를 이용해 광고를 하였다. 사례는 전문인이 보증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생활 단면(slice of life)' 표현은 일종의 '문제와 해결'식 접근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가 자사 제품을 사용하면 어떻게 해결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생활 단면 표현과 많이 혼동되는 라이프스타일 광고는 문제와 해결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과 일상의 모습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생활 단면 표현과는 차이가 있다.
9. 제품 시연에 초점 맞추기
제품 시연(demonstration)은 주로 인공적인 상황을 통해 자사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로 인한 편익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주방이나 욕실 때 제거제 광고나 진공청소기, 음식 찌꺼기 분쇄기 등 주로 제품의 기능적 편익을 중시하는 제품의 크리에이티브 콘셉트 개발 시에 많이 사용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6. 유명인사, 보증인, 캐릭터에 초점 맞추기
대부분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전문인 또는 일반인과 같이 특정 인물을 사용한다.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개발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이러한 인물이나 캐릭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물론 거의 대부분의 광고는 유명 연예인을 모델로 사용하지만 페브리즈는 일반인을, 요구르트 월은 노벨상 수상자인 마샬 박사를, 그리고 파브는 스포츠 스타 이승엽을 모델로 사용한다. 캐럭터를 활용하기도 하는데, 블먹는 하마의 하마나 KTF Show와 같은 가공의 캐릭터도 모델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특히, 유명인사는 일차적으로 표적 청중의 주의를 끄는 효과가 있지만 제품의 핵심 주장을 강화하거나 뒷받침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별적인 이미지나 연상이 제품이나 편익과 절묘하게 맞물리면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로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7. 과장법에 초점 맞추기
핵심 주장이나 편익은 과장법을 통해 보다 명료해질 수 있다. 과장법을 사용하면 표적 청중의 주의를 끌고 광고에 대한 기억을 증진시럴 뿐만 아니라 경쟁자와 효과적으로 차별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진다.
8. 사례나 생활 단면에 초점 맞추기
자사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된 긍정적 경험이나 사례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콘셉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로렉스는 화산활동을 연구하는 교수가 혹독한 환경에서도 제품을 신뢰할 수 있다는 사례를 이용해 광고를 하였다. 사례는 전문인이 보증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생활 단면(slice of life)' 표현은 일종의 '문제와 해결'식 접근으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가 자사 제품을 사용하면 어떻게 해결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생활 단면 표현과 많이 혼동되는 라이프스타일 광고는 문제와 해결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과 일상의 모습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생활 단면 표현과는 차이가 있다.
9. 제품 시연에 초점 맞추기
제품 시연(demonstration)은 주로 인공적인 상황을 통해 자사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로 인한 편익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다. 주방이나 욕실 때 제거제 광고나 진공청소기, 음식 찌꺼기 분쇄기 등 주로 제품의 기능적 편익을 중시하는 제품의 크리에이티브 콘셉트 개발 시에 많이 사용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