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 특수교육보조원이라는 분을 배치시켜 특수교육교사를 지원해주고 보조해준다고 하셨다.
7. \'특수교육교사‘의 길을 가고자 하는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
나와 같이 ‘특수교육교사’의 직업에 관심은 많이 있으나, 두렵기도 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질문을 해보았다. 나는 선생님 두분의 대답에 조금 놀라기도 했다. 보통은 후배들에게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정말 독하게 마음먹고 열심히 하라는 조언을 해주셨을 것 같은데, 두 선생님은 진정으로 자신의 아이들을 먼저 생각하고 아이들 중심적으로 후배들에게 조언을 하셨다.
이명숙 선생님께서는 먼저 이 일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고 하셨다. 자기를 충분히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남을 사랑할 수가 없다고 말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다양한 재능을 키우라고 하셨다.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가르쳐주기 위해서다. 태권도, 피아노, 미술 등 다양한 재능이 있을 때 아이들에게 좀 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조현이 선생님께서는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직업을 갖는 부분에 너무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후배들은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을 해줬으면 한다고 하셨다. 마지막까지 후배들을 위한 조언이기 보다는 아이들을 위해 후배들에게 바라는 점을 말씀하시는 것 같았다.
Ⅳ. 나가며
‘특수교육교사’라는 직업은 두 선생님과 대화를 나눌수록 힘들고 어렵기만 한 직업이 아닌, 정말 행복을 느끼고 즐길 줄 아는 사람에게는 좋은 직업인 것 같다. 두려움으로 시작한 막연한 나의 생각과 마음이 조금은 문을 열고 넓어진 것 같다.
‘정말 내가 과연 이런 직업을 선택했을 때 선생님과 같이 진정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일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생각할 나이는 지났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대학 4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취업에 대해 고민하고 준비할 나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물론 나도 막연한 꿈을 가지고 살아온 것은 맞지만 이 직업에 대해 조사하면서 더욱 내 꿈과 미래가 선명해지고 있는 것 같다. 적어도 이 직업에 대해 느꼈던 두려움은 반쯤 사라지고 나에게 가능성을 조금 열어준 것 같다. 내가 앞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무슨 일을 하고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내가 이 직업에 대한 더 큰 관심과 매력을 느꼈다면 아마 나는 훗날 ‘특수교육교사’가 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무엇을 할까 고민만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번 조사처럼 관심이 가는 다른 직업도 조사해보려고 한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는 못해도 그 분야의 여러 사람을 만나서 조언을 듣는 것은 괜찮은 방법이 아닐까.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여러 친구들도 물로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주저하지 말고 이번 경험처럼 우리의 멘토들을 찾아 나서자. 그들은 자신들을 찾아와 질문하는 우리를 반갑게 맞아주실 것이며 우리 인생의 끝없는 도움을 주실 것이 분명하다. 내가 만난 두 선생님께서 나의 생각과 마음에 큰 힘을 실어 준것처럼 말이다.
7. \'특수교육교사‘의 길을 가고자 하는 후배들에게 하고 싶은 말
나와 같이 ‘특수교육교사’의 직업에 관심은 많이 있으나, 두렵기도 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질문을 해보았다. 나는 선생님 두분의 대답에 조금 놀라기도 했다. 보통은 후배들에게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정말 독하게 마음먹고 열심히 하라는 조언을 해주셨을 것 같은데, 두 선생님은 진정으로 자신의 아이들을 먼저 생각하고 아이들 중심적으로 후배들에게 조언을 하셨다.
이명숙 선생님께서는 먼저 이 일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라고 하셨다. 자기를 충분히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남을 사랑할 수가 없다고 말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다양한 재능을 키우라고 하셨다.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가르쳐주기 위해서다. 태권도, 피아노, 미술 등 다양한 재능이 있을 때 아이들에게 좀 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조현이 선생님께서는 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직업을 갖는 부분에 너무 힘든 상황이기 때문에 후배들은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을 해줬으면 한다고 하셨다. 마지막까지 후배들을 위한 조언이기 보다는 아이들을 위해 후배들에게 바라는 점을 말씀하시는 것 같았다.
Ⅳ. 나가며
‘특수교육교사’라는 직업은 두 선생님과 대화를 나눌수록 힘들고 어렵기만 한 직업이 아닌, 정말 행복을 느끼고 즐길 줄 아는 사람에게는 좋은 직업인 것 같다. 두려움으로 시작한 막연한 나의 생각과 마음이 조금은 문을 열고 넓어진 것 같다.
‘정말 내가 과연 이런 직업을 선택했을 때 선생님과 같이 진정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일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생각할 나이는 지났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대학 4학년 학생이라면 누구나 취업에 대해 고민하고 준비할 나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물론 나도 막연한 꿈을 가지고 살아온 것은 맞지만 이 직업에 대해 조사하면서 더욱 내 꿈과 미래가 선명해지고 있는 것 같다. 적어도 이 직업에 대해 느꼈던 두려움은 반쯤 사라지고 나에게 가능성을 조금 열어준 것 같다. 내가 앞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무슨 일을 하고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통해 내가 이 직업에 대한 더 큰 관심과 매력을 느꼈다면 아마 나는 훗날 ‘특수교육교사’가 되어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무엇을 할까 고민만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번 조사처럼 관심이 가는 다른 직업도 조사해보려고 한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는 못해도 그 분야의 여러 사람을 만나서 조언을 듣는 것은 괜찮은 방법이 아닐까.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여러 친구들도 물로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것이다. 주저하지 말고 이번 경험처럼 우리의 멘토들을 찾아 나서자. 그들은 자신들을 찾아와 질문하는 우리를 반갑게 맞아주실 것이며 우리 인생의 끝없는 도움을 주실 것이 분명하다. 내가 만난 두 선생님께서 나의 생각과 마음에 큰 힘을 실어 준것처럼 말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국과 한국의 특수학급의 운영과 자폐아 교육실천 비교
유아특수교육
[특수교육의 지도, 특수교육] 특수교육의 지도원리와 지도방법 및 특수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통합교육 이해와 고찰
특수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의 의의, 특수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가능성, ...
장애 아동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가 지향해야 할 복지정책의 발전적 방향을 ...
유아특수교육 (유아특수교육의 정의 및 목적, 유아특수교육의 필요성 및 관련 법령, 유아특수...
[장애인과 재활서비스] 재활의 개념과 종류, 지역사회중심재활과 자립생활, 시설중심재활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