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안락사
II. 자살
III. 사별과 애도
* 참고문헌
II. 자살
III. 사별과 애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별 후에 심한 우울증으로 고통을 경험하는 사람은 신체건강의 악화도 함께 수반될 우려가 있다.
고인에 대한 기억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이는 보통 고인에 관한 부정적인 일보다는 긍정적인 일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때로는 고인이 아직 살아있다고 느끼고 고인의 물건들을 모으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고인의 죽음을 이상화시키는 것은 새로운 관계 형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비탄의 과정을 더 연장시킬 수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맞이했을 때 슬퍼하는 것은 건전하며 반드시 필요하다. 편안한 감정을 주는 사람과 상실에 대한 슬픈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것은 대단히 의미가 있다. 비탄의 감정을 표현해 버리지 않으면 비탄을 겪는 과정은 지연된다. 남성이 슬픈 감정을 오래도록 느끼는 것은 남성을 '강하고, 울지 않아야 하며, 감정을 쉽사리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문화적 제재로 비탄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많은 슬픔은 개인적으로 감당해야 하나, 똑같은 상실감으로 고통 받는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눌 수 있고, 또 함께 나누어야만 하는 슬픔도 있다. 슬픔은 함께 나누면 반이 된다. 슬픔을 나누는 것은 유족들이 그들의 상실을 받아들이고, 고인이 없는 새로운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수반되는 슬픔의 솔직한 표현이 곧 애도의 역할이다. 우리는 초상, 장례식, 종교적 의식, 추모식 및 여러 제사의식들을 통해 애도한다. 슬픔과 애도는 죽음을 받아들이고, 우리 인생의 마지막 모습을 재인식할 수 있게 하며, 우리가 고인에게 작별인사를 할 수 있도록 지탱해 주고, 인생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고인에 대한 기억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이는 보통 고인에 관한 부정적인 일보다는 긍정적인 일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때로는 고인이 아직 살아있다고 느끼고 고인의 물건들을 모으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고인의 죽음을 이상화시키는 것은 새로운 관계 형성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비탄의 과정을 더 연장시킬 수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맞이했을 때 슬퍼하는 것은 건전하며 반드시 필요하다. 편안한 감정을 주는 사람과 상실에 대한 슬픈 감정을 함께 나누는 것은 대단히 의미가 있다. 비탄의 감정을 표현해 버리지 않으면 비탄을 겪는 과정은 지연된다. 남성이 슬픈 감정을 오래도록 느끼는 것은 남성을 '강하고, 울지 않아야 하며, 감정을 쉽사리 표현해서는 안 된다'는 문화적 제재로 비탄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많은 슬픔은 개인적으로 감당해야 하나, 똑같은 상실감으로 고통 받는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눌 수 있고, 또 함께 나누어야만 하는 슬픔도 있다. 슬픔은 함께 나누면 반이 된다. 슬픔을 나누는 것은 유족들이 그들의 상실을 받아들이고, 고인이 없는 새로운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에 수반되는 슬픔의 솔직한 표현이 곧 애도의 역할이다. 우리는 초상, 장례식, 종교적 의식, 추모식 및 여러 제사의식들을 통해 애도한다. 슬픔과 애도는 죽음을 받아들이고, 우리 인생의 마지막 모습을 재인식할 수 있게 하며, 우리가 고인에게 작별인사를 할 수 있도록 지탱해 주고, 인생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생명의 종말과 관련된 문제들 - 안락사, 낙태, 자살
죽음과 관련된 생명윤리적 문제들 (독후감 및 줄거리)
안락사의 의미와 시행조건 및 정당성 논의, 문제들과 안락사와 장기 이식과 관련한 문제
[노인의 죽음] 죽음과 임종의 개념과 단계, 의미, 태도, 노년기의 자살과 사별 애도과정
[죽음과 임종] 죽음의 정의와 판단기준 및 관점, 단계와 반응, 사별과 애도, 임종간호(호스피...
생명 존중과 현실 문제 (안락사, 자살 및 자살 사이트)
안락사와 자살 그리고.. 낙태문제
다양한 윤리적 문제,이슈에 대한 찬반논쟁(안락사, 자살, 배아 복제, 낙태, 환경 윤리, 온실...
[간호윤리] 뇌사와관련된윤리문제, 뇌사논란, 죽음, 뇌사, 뇌사의정의, 뇌사의판정기준, 뇌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