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역할 고정관념
I. 남녀의 고정관념적 특성
1. 일반적 범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2. 역할이나 속성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II. 대중매체의 영향
III.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된 현상들
1. 성역할 고정관념과 개인의 수행
2. 성역할 고정관념과 사회적 귀인
3. 성역할 고정관념과 신체적 매력
IV. 고정관념의 유지와 변화
1. 고정관념의 유지에 기여하는 요인들
1) 하위유형들의 형성
2) 인지적 범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3) 자기충족적 예언
2. 고정관념의 변화
V. 지위가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1. 귀속지위와 획득지위
2. 홍일점과 청일점
* 참고문헌
I. 남녀의 고정관념적 특성
1. 일반적 범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2. 역할이나 속성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II. 대중매체의 영향
III. 성역할 고정관념과 관련된 현상들
1. 성역할 고정관념과 개인의 수행
2. 성역할 고정관념과 사회적 귀인
3. 성역할 고정관념과 신체적 매력
IV. 고정관념의 유지와 변화
1. 고정관념의 유지에 기여하는 요인들
1) 하위유형들의 형성
2) 인지적 범주로서의 성역할 고정관념
3) 자기충족적 예언
2. 고정관념의 변화
V. 지위가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1. 귀속지위와 획득지위
2. 홍일점과 청일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당된 남학생들의 사진만을 제시받았고 그들의 남성 파트너들이 그녀 자신의 매력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파트너들은 여성들과의 짧은 대화 후에 매력적이라고 명명된 여성을 매력적이지 못하다고 명명된 여성들보다 더 친절하고 사교적이며 호감이 간다고 평정하였다. 또한 남성들은 그들의 파트너를 남성이라고 생각하거나 파트너의 성별을 알지 못할 때보다 파트너가 여성이라고 생각될 때 더 남성적인 과제를 선택하였다(Skrypnek & Snyder, 1982).
자기충족적 예언에 의해 생성된 행동은 내면화되기 때문에 그것은 성역할 고정관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남성들도 여성이 원한다고 지각하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우리 사회의 성 역할 고정관념은 영속화한다.
2) 고정관념의 변화
그렇다고 해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변화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이 자주 나타날 때, 성역할 고정관념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전투기 비행사, 여성 암벽등반가, 여성 건설현장근로자들은 성역할 고정관념과는 일치하지 않는 직업들이다. 이 직업들은, 여성들은 격렬하고 힘든 일을 할 수 없다는 고정관념에 위배된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불일치하는 직업이나 행동들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변화는 촉진된다.
고정관념의 변화는 개인들의 상대적 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Fiske, 1993). 나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거나 힘을 가진 사람이 고정관념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 우리는 그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오히려 바람직하게 생각하게 된다. 예를 들어 라켓볼치기를 좋아하는 여사장이 있다고 하자. 그 회사의 한 남자 부하직원은 라켓볼은 여성의 운동이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부하직원은 여사장에 대해 존경심을 갖는 것이 그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라켓볼을 좋아하는 여사장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자기주장적일 것이라고 추론한다. 만약 부하직원과 여사장이 상호의존적인 상하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았다면, 그 부하직원은 여사장의 라켓볼에 관심을 기울이지도 않았을 것이고 라켓볼은 여성의 운동이 아니라는 고정관념을 변화시킬 수도 없었을 것이다.
V. 지위가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우리 사회에서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더 우월하고 중요시된다. 남성들은 그들의 높은 지위에 의해 더 많은 힘을 행사하고 여성의 종속적 지위가 유지되도록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남녀간의 성차별은 성(sex)이 갖는 귀속적 특성에 기인된다.
1) 귀속지위와 획득지위
지위(status)는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언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회학자들은 지위를 귀속지위(ascribed status)와 획득지위(achieved status)로 구분한다.
획득지위가 개인이 수행하는 역할(사장 대 사원, 아버지 대 아들, 교사 대학생)에 기초한다면, 귀속지위는 개인이 태어날 때 갖는 특성들에 기초한다. 귀속지위는 획득지위와 달리 개인의 노력에 의해 수정되기 어렵거나 수정불가능하며 사회가 특정한 특성에 부여하는 가치에 의존한다.
연령이나 사회적 계층과 같이 성은 귀속지위의 대표적인 결정인자이다. 하나의 귀속적 특성으로서 성은 지위와 힘을 전달한다. 여기서의 힘이란 사회적 힘(social power)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효능성을 의미한다. 우리 사회에서 남성다움은 여성다움보다 더 큰 힘과 권위 그리고 사회적 가치와 연합된다(Unger, 1998).
여성들보다 높은 귀속지위를 갖는 남성들은 공적 집단이나 직업상황에서는 물론 낭만적 커플 사이에서도 우월한 위치를 차지한다. 남성에 대해 힘을 행사하는 여성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정적 특성을 지닌다고 평가되고 처벌받기까지 한다. 동일한 아이디어가 남성에 의해 제안 될 때까지 여성의 제안은 무시되기 쉽다. 남성들과 동등한 수준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여성들은 보다 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해야만 한다. 전문분야에서 성공한 여성들은 대부분 뻔뻔스럽고 수다스러우며 냉담하고 까다롭다고 지각된다(Unger & Crawford, 1992).
이와 같이 여성들은 우리 사회에서 평가절하된 집단이다. 집단 속의 여성들은 집단 속의 남성들보다 서로서로 더 유사하게 보이고 문화적 상징주의 속에서 쉽게 훼손된다. 여성들은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이라는 범주의 일원일 뿐 그들이 소유한 다른 인간적 특성들은 무시된다. 사회는 단지 여성이라는 사실만으로 여성들에게 오명을 씌우고 그들을 일탈자로 간주한다.
2) 홍일점과 청일점
남성이나 여성이 집단 내의 유일한 구성원일 때 그들이 갖는 지위는 현저하게 다르다. 집단 내의 청일점인 유일한 남성들은 지도자로 선출되고 집단기능을 부드럽게 만들 가능성이 많은 반면, 집단 내에서 혼자인 소위 홍일점의 여성들은 집단의 지도자로 선택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전체적 집단만족의 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Crocker & McGraw, 1984).
집단 속의 유일한 남성들은 집단 내의 타인들에 의해 보다 더 남성적으로 지각될 수 있지만, 집단 속의 유일한 여성들은 거의 여성적으로 지각되지 않는다. 그들은 집단 내에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들이다. 동시에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유능성에서 뒤떨어진다고 인식되므로 집단의 지도자로 선택될 가능성은 더욱 희박하다. 어느 문화에서나 여성이 정치 지도자로 선택되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파트너들은 여성들과의 짧은 대화 후에 매력적이라고 명명된 여성을 매력적이지 못하다고 명명된 여성들보다 더 친절하고 사교적이며 호감이 간다고 평정하였다. 또한 남성들은 그들의 파트너를 남성이라고 생각하거나 파트너의 성별을 알지 못할 때보다 파트너가 여성이라고 생각될 때 더 남성적인 과제를 선택하였다(Skrypnek & Snyder, 1982).
자기충족적 예언에 의해 생성된 행동은 내면화되기 때문에 그것은 성역할 고정관념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키고 남성들도 여성이 원한다고 지각하는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우리 사회의 성 역할 고정관념은 영속화한다.
2) 고정관념의 변화
그렇다고 해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변화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이 자주 나타날 때, 성역할 고정관념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전투기 비행사, 여성 암벽등반가, 여성 건설현장근로자들은 성역할 고정관념과는 일치하지 않는 직업들이다. 이 직업들은, 여성들은 격렬하고 힘든 일을 할 수 없다는 고정관념에 위배된다. 성역할 고정관념과 불일치하는 직업이나 행동들이 서로 다른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때 변화는 촉진된다.
고정관념의 변화는 개인들의 상대적 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Fiske, 1993). 나보다도 더 높은 지위에 있거나 힘을 가진 사람이 고정관념과 일치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 우리는 그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것을 오히려 바람직하게 생각하게 된다. 예를 들어 라켓볼치기를 좋아하는 여사장이 있다고 하자. 그 회사의 한 남자 부하직원은 라켓볼은 여성의 운동이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 부하직원은 여사장에 대해 존경심을 갖는 것이 그에게 이익이 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라켓볼을 좋아하는 여사장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자기주장적일 것이라고 추론한다. 만약 부하직원과 여사장이 상호의존적인 상하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았다면, 그 부하직원은 여사장의 라켓볼에 관심을 기울이지도 않았을 것이고 라켓볼은 여성의 운동이 아니라는 고정관념을 변화시킬 수도 없었을 것이다.
V. 지위가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우리 사회에서 남성들은 여성들보다 더 우월하고 중요시된다. 남성들은 그들의 높은 지위에 의해 더 많은 힘을 행사하고 여성의 종속적 지위가 유지되도록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남녀간의 성차별은 성(sex)이 갖는 귀속적 특성에 기인된다.
1) 귀속지위와 획득지위
지위(status)는 타인에게 영향을 주는 개인의 잠재적 능력을 언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사회학자들은 지위를 귀속지위(ascribed status)와 획득지위(achieved status)로 구분한다.
획득지위가 개인이 수행하는 역할(사장 대 사원, 아버지 대 아들, 교사 대학생)에 기초한다면, 귀속지위는 개인이 태어날 때 갖는 특성들에 기초한다. 귀속지위는 획득지위와 달리 개인의 노력에 의해 수정되기 어렵거나 수정불가능하며 사회가 특정한 특성에 부여하는 가치에 의존한다.
연령이나 사회적 계층과 같이 성은 귀속지위의 대표적인 결정인자이다. 하나의 귀속적 특성으로서 성은 지위와 힘을 전달한다. 여기서의 힘이란 사회적 힘(social power)으로 개인이나 집단이 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효능성을 의미한다. 우리 사회에서 남성다움은 여성다움보다 더 큰 힘과 권위 그리고 사회적 가치와 연합된다(Unger, 1998).
여성들보다 높은 귀속지위를 갖는 남성들은 공적 집단이나 직업상황에서는 물론 낭만적 커플 사이에서도 우월한 위치를 차지한다. 남성에 대해 힘을 행사하는 여성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부정적 특성을 지닌다고 평가되고 처벌받기까지 한다. 동일한 아이디어가 남성에 의해 제안 될 때까지 여성의 제안은 무시되기 쉽다. 남성들과 동등한 수준의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여성들은 보다 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해야만 한다. 전문분야에서 성공한 여성들은 대부분 뻔뻔스럽고 수다스러우며 냉담하고 까다롭다고 지각된다(Unger & Crawford, 1992).
이와 같이 여성들은 우리 사회에서 평가절하된 집단이다. 집단 속의 여성들은 집단 속의 남성들보다 서로서로 더 유사하게 보이고 문화적 상징주의 속에서 쉽게 훼손된다. 여성들은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이라는 범주의 일원일 뿐 그들이 소유한 다른 인간적 특성들은 무시된다. 사회는 단지 여성이라는 사실만으로 여성들에게 오명을 씌우고 그들을 일탈자로 간주한다.
2) 홍일점과 청일점
남성이나 여성이 집단 내의 유일한 구성원일 때 그들이 갖는 지위는 현저하게 다르다. 집단 내의 청일점인 유일한 남성들은 지도자로 선출되고 집단기능을 부드럽게 만들 가능성이 많은 반면, 집단 내에서 혼자인 소위 홍일점의 여성들은 집단의 지도자로 선택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전체적 집단만족의 정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Crocker & McGraw, 1984).
집단 속의 유일한 남성들은 집단 내의 타인들에 의해 보다 더 남성적으로 지각될 수 있지만, 집단 속의 유일한 여성들은 거의 여성적으로 지각되지 않는다. 그들은 집단 내에서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들이다. 동시에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유능성에서 뒤떨어진다고 인식되므로 집단의 지도자로 선택될 가능성은 더욱 희박하다. 어느 문화에서나 여성이 정치 지도자로 선택되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전래동화에서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하여
순정만화 속에서의 성역할 고정관념의 재현
[성역할][광고에서의 성역할][광고][성역할 이미지][성역할 고정관념]성역할의 개념, 성역할 ...
성차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과 남녀리더십의 인식
성역할(gender role) 고정관념과 메트로섹슈얼(metrosexual)에 관한 인식 조사 - 성역할 (성...
[성격심리학 연구논문][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
[유아기 성발달] 유아기 성역할 발달(성역할 발달이론, 유아기 성역할의 형성과정) - 유아의 ...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 완화를 위한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