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개방] 조하리창 - 조하리창의 영역과 대인관계 형성방법(조하리창의 설명과 대인관계 역량개발에 활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개방] 조하리창 - 조하리창의 영역과 대인관계 형성방법(조하리창의 설명과 대인관계 역량개발에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아개방] 조하리창

I. 조하리의 창

II. 조하리 창의 네 가지 영역

III. 대인관계 형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화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Freud는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무의식의 세계라고 하였다. 이 무의식의 세계, 즉 우리가 가지고 있으면서도 알 수 없는 세계가 바로 알려지지 않은 영역이다.
III. 대인관계 형성
인간관계 발달을 위해서는 자아개방과 함께 피드백(feedback)도 중요하다. 피드백이란 상대방에게 그의 의사소통에 대한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우리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는 부분이나 모습들을 타인의 피드백을 통해 알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피드백은 타인들이 우리를 개방적이고 수용적이라고 지각하고 이해할 때 일어난다.
자아개방과 피드백 과정이 알려지지 않은 영역에서 개방된 영역으로 새로운 정보의 이동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아래의 그림의 인간관계의 발전 정도에 따른 Johari의 창에 의하면, 인간관계의 초기에는 개방된 영역이 매우 작지만 관계가 점차 발달하고 신뢰 수준이 증가하면 이 영역이 점차 커지게 된다. 마치 미팅에서 처음 만난 두 남녀가 일상적이고 상투적인 대화만을 나누다가 서로 간에 신뢰와 애정이 깊어가면서 대화의 폭을 점차 넓혀 가는 것과 같다. 두 사람 사이에 있는 신뢰성, 개방성, 그리고 수용성 수준은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자아개방과 피드백의 정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림> 인간관계의 발전정도에 따른 조하리창
이 모형에 의하면,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발달이란 지각하지 못하는 영역, 숨겨진 영역,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줄이고 개방된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는 특별히 자아개방의 용기와 훈련이 필요한데, 이러한 자아개방을 통해 자기성장은 물론이고 타인과의 효과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1.10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