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형화 과정(성의 이해 성역할 고정관념 양성성 성유형화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유형화 과정(성의 이해 성역할 고정관념 양성성 성유형화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유형화 과정

I. 성의 이해

II. 성역할 고정관념

III. 양성성

IV. 성유형화 이론
1. 전통적 이론
2. 생물사회적 이론
3. 성도식 이론
4. 성역할 초월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콜버그에 의하면, 아동의 성역할에 대한 이해도 그의 지적 발달수준의 변화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6, 7세경에 이르면 거의 모든 아동들은 인지적 성숙의 결과로 성의 안정성과 항상성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동성의 행동을모방하기 시작한다. 특히 이 연령의 아동들은 그들의 성역할을 지나치게 과장하는 경향이 있어 여아는 전통적 여성 역할을 선호하고 남아는 전통적 남성역할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인다.
2) 생물사회적 이론
머니와 엘하트(Money & Ehrhardt, 1972)의 생물사회적 이론은 개인의 생물학적 특성과 아동의 신체에 대한 주위 타인들의 반응이 개인의 성역할을 결정한다고 설명한다. 이 이론에서 중요한 것은 개인의 성염색체가 XX인가 혹은 XY인가이다. 성염색체의 유형에 따라 여성적 혹은 남성적 생식기관들이 분화되고 특히 분화된 외부생식기는 주위 사람들이 여성적 성역할이나 남성적 성역할을 요구하는 기준으로 작용한다. 물론 아동 자신도 외부생식기의 모습을 기초로 자신의 행동반응을 결정한다. 주위 사람들의 반응과 아동 자신의 행동선택은 기본적 성역할 정체감을 형성하게 한다.
3) 성도식 이론
이 이론은 인지발달 이론의 기본개념인 도식을 기초로 성유형화를 설명하는 정보처리적 접근이다. 도식이란 지식체계의 기본단위로 정보처리의 바탕이 된다. 출생 직후에는 지식체계 내에 도식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도식들이 형성되어 간다. 정보처리 이론에 의하면, 아동은 형성된 도식을 바탕으로 외부적 자극을 지각하고 반응하기 때문에 기존의 도식과 연결되지 못한 정보나 잘못된 도식과 연결된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성도식이론(gender schema theory)을 제시한 마틴과 할버슨(Martin & Halverson, 1981, 1987)은 우리의 지식체계 내에 성도식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아주 어린 연령에서 형성되는 성도식은 일반도식(in-group-out-group schema)과 고유도식(own-sex-schema)으로 구분된다. 일반도식은 무엇이 성에 적절한지를 알려주어 행동을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고유도식은 개인이 자신의 성에 적절한 행동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림. 성유형화된 행동에 미치는 성도식의 효과
위의 그림과 같이 일반도식은 트럭이 소년에게 적절한 장난감이고 인형은 소녀에게 적절한 장난감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나는 소녀이고 그래서 인형이 나에게 적절한 장난감이므로 그것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은 고유도식의 기능이다.
문제는 성도식을 획득한 아동들이 성별 -전형적(gender-typical)인 행동에만 관심을 갖기 때문에 성역할 고정관념적 안경을 통해서만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이다(Liben & Bigler, 2002). 따라서 이 이론은 사회가 성도식의 발달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아동을 교육한다면, 아동은 성유형화된 사고와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4) 성역할 초월이론
성역할 초월이론은 남녀 동등주의의 시각에서 성유형화를 보는 관점으로서 대표적 이론가로 블록(Block, 1976)과 플렉(Pleck, 1981) 및 카프(Kats & Walsh, 1991; Katz, 1986)등이 있다. 그들은 세 개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과정을 가정한다.
단계 1: 성차를 인식하지 못한다.
단계 2: 성역할 고정관념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선호한다.
단계 3: 성역할 고정관념을 초월한다.
성역할 정체감 발달의 제3단계에 이론 개인들은 전통적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이 지니고 있는 잠재능력의 최상을 성취하고 자기실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이 유형의 개인들은 가정 내에서도 전통적인 남녀의 역할구분에 구애됨이 없이, 가사 일을 나누어 맡고 개인적 성장을 위해 서로 돕는다.
그러나 이 단계에 이를 수 있는 개인의 수는 많지 않으며, 단지 소수의 성인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성 역할 유형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