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Ⅱ.본 론
1.한국전쟁
2.도시산업선교
3.북한교회에 대한 서술
Ⅲ.결론
Ⅱ.본 론
1.한국전쟁
2.도시산업선교
3.북한교회에 대한 서술
Ⅲ.결론
본문내용
역사 Ⅲ」192
특히 민경배에 의해 북한교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의 근거로 제시되었던『현대조선말사전』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이 1992년 발간된 개정된『조선말대사전』에서는 북한당국의 종교관이 완전히 바뀌어 전체적으로『조선말대사전』의 “종교 관련 설명은 남한의 사전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중립적이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194
결론적으로 북한교회에 대해 『한국기독교의 역사 Ⅲ』에서는 “해방이후 고통스러운 길을 걸어 왔으나 사회주의 체제내에서 생존의 길을 모색했고 그 결과 북한사회에 적응한 사회주의적 종교를 만들어 냈으며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외부의 기독교인들과 교류하면서도 사회주의적인 특성을 유지하며 더욱 보편적인 기독교의 모습을 만들어 갔다”고 규정한다.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198
이외에 북한교회에 대한 자료는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1996년 발간한 『북한교회사』, 2002년 김흥수 · 류대영이 공저한 『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등이 있다.
Ⅲ.결론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좌우 이데올로기는 역사인식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모든 부분에서 지금 현재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단된 한반도를 통일하고 북한 민중들에 대한 기독교 선교를 위해서도 좌우이데올로기의 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국교회의 역사인식에 대해 다음의 질문을 던지고 대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좌파이데올로기에 근거한 역사인식이 존재하는가? 둘째, 한국사회에 현실적으로 국가보안법과 교권세력이 존재하고 있는 한, 좌파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역사인식이 존재하기 어렵다면 현재 좌편향 또는 좌파로 비판받는 역사인식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셋째, 한국교회의 역사인식이 현실적으로 우편향 되어 있다면 이를 극복하여 좌우를 뛰어넘고 통합하는 역사인식은 가능할 것인가? 특히 좌우 이데올로기는 정치, 경제권력의 문제와 관련되고 역사의 정통성 문제와도 깊은 연관을 갖는데, 성경적, 신앙적 기준에서 좌우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역사의 반성과 화해가 있을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 도서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2009.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2」서울:생명의 말씀사,2004.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2007.
김영재,「한국교회사」서울:이레서원,200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북한교회사」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1996.
김흥수·류대영,「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서울:다산글방,2002.
이종구 외,「1960-70년대 한국 노동자의 계급문화와 정체성」한울,2006.
김경학 외, 「전쟁과 기억」서울:한울,2005.
이찬영,「북한기독교100장면」서울:한기총 북한교회재건위원회,2000.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서울:선인,2009.
참고 논문
장석만,「한국 개신교의 또 다른 모색―기독교조선복음교회와 도시산업선교회―」
역사비평(2005년 봄호)
특히 민경배에 의해 북한교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의 근거로 제시되었던『현대조선말사전』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이 1992년 발간된 개정된『조선말대사전』에서는 북한당국의 종교관이 완전히 바뀌어 전체적으로『조선말대사전』의 “종교 관련 설명은 남한의 사전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중립적이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194
결론적으로 북한교회에 대해 『한국기독교의 역사 Ⅲ』에서는 “해방이후 고통스러운 길을 걸어 왔으나 사회주의 체제내에서 생존의 길을 모색했고 그 결과 북한사회에 적응한 사회주의적 종교를 만들어 냈으며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외부의 기독교인들과 교류하면서도 사회주의적인 특성을 유지하며 더욱 보편적인 기독교의 모습을 만들어 갔다”고 규정한다.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198
이외에 북한교회에 대한 자료는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1996년 발간한 『북한교회사』, 2002년 김흥수 · 류대영이 공저한 『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등이 있다.
Ⅲ.결론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좌우 이데올로기는 역사인식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모든 부분에서 지금 현재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분단된 한반도를 통일하고 북한 민중들에 대한 기독교 선교를 위해서도 좌우이데올로기의 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국교회의 역사인식에 대해 다음의 질문을 던지고 대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째, 좌파이데올로기에 근거한 역사인식이 존재하는가? 둘째, 한국사회에 현실적으로 국가보안법과 교권세력이 존재하고 있는 한, 좌파 이데올로기에 근거한 역사인식이 존재하기 어렵다면 현재 좌편향 또는 좌파로 비판받는 역사인식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셋째, 한국교회의 역사인식이 현실적으로 우편향 되어 있다면 이를 극복하여 좌우를 뛰어넘고 통합하는 역사인식은 가능할 것인가? 특히 좌우 이데올로기는 정치, 경제권력의 문제와 관련되고 역사의 정통성 문제와도 깊은 연관을 갖는데, 성경적, 신앙적 기준에서 좌우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역사의 반성과 화해가 있을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 도서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 Ⅲ」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2009.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2」서울:생명의 말씀사,2004.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연세대학교출판부,2007.
김영재,「한국교회사」서울:이레서원,2004.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북한교회사」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1996.
김흥수·류대영,「북한종교의 새로운 이해」서울:다산글방,2002.
이종구 외,「1960-70년대 한국 노동자의 계급문화와 정체성」한울,2006.
김경학 외, 「전쟁과 기억」서울:한울,2005.
이찬영,「북한기독교100장면」서울:한기총 북한교회재건위원회,2000.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서울:선인,2009.
참고 논문
장석만,「한국 개신교의 또 다른 모색―기독교조선복음교회와 도시산업선교회―」
역사비평(2005년 봄호)
추천자료
사관-역사주의 사관, 유물사관, 실증주의 사관
[식민사관][식민지근대성][식민지역사][식민지][식민성][일제시대][일제강점기]식민사관의 개...
역사학 - 마르크스의 유물사관
[사관][유물사관][사적유물론][역사적유물론]사관의 의의 고찰과 유물사관(사적유물론)의 수...
[유물론][유물사관][마르크스]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적 유물론(유물사관), 역사적 유물론(유...
한국 내의 식민사관 문제
[식민주의역사관]식민주의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사관)의 정의, 내용, 주장, 식민주의사관...
[식민사관]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주의사관)의 개념, 식민사관(식민주의역사관, 식민...
식민주의역사관(식민주의사관, 식민사관)의 의미, 내용, 식민주의역사관(식민주의사관, 식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