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글
2. 한국 교회의 피해상황
3. 기독교 박해의 원인
3.1. 사상적 접근으로 보는 공산주의의 종교관
3.2. 경제적 접근으로 보는 기독교의 사회적 위치
3.3. 정치적 접근으로 보는 기독교의 정치화
4. 피해 ․ 가해의 입장에 대한 문제
4.1. 기독교 내부에서 발생한 피해 ․ 가해의 문제
4.2. 기독교와 민간인 측면에서 발생한 피해 ․ 가해의 문제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2. 한국 교회의 피해상황
3. 기독교 박해의 원인
3.1. 사상적 접근으로 보는 공산주의의 종교관
3.2. 경제적 접근으로 보는 기독교의 사회적 위치
3.3. 정치적 접근으로 보는 기독교의 정치화
4. 피해 ․ 가해의 입장에 대한 문제
4.1. 기독교 내부에서 발생한 피해 ․ 가해의 문제
4.2. 기독교와 민간인 측면에서 발생한 피해 ․ 가해의 문제
5. 나가는 글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임문철 신부를 비롯한 천주교 제주교구에서는 교과서 포럼의 ‘대안교과서’의 43사건 서술이 문제시되자 ‘이 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고 과거 국가공권력에 의한 인권유린 사태를 역사적으로 정당화하는 왜곡에’ 대해 그 내용을 폐기하고 4 3영령과 유가족앞에 사과하라고 촉구했던 예가 있다. 서성환,『제주선교 100년 어제와 오늘과 내일』(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2008), 40.
제주도에서 20년 동안 거의 세 배에 가까운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에 기독교가 쇠퇴하는 이유는, 물론 기독교에 대한 그들의 잘못된 인식과 편견일수도 있으나, 그들을 이해해보고자 하지 않고 자신들의 입장만을 강조하기 때문이며 이는 기독교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쟁으로 인한 절망감에 빠진 사람들의 피폐해진 영혼을 전적으로 위로하지 못했던 것이다. 기독교의 사랑을 실천해야할 이 때에 오히려 분열과 갈등을 일으키며, 기독교로 들어오는 압박만을 견디고자 그 아래 있는 한국교회의 교인들과 민중들을 더욱 큰 압박으로 내몰지 않았는지는 앞으로도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한국교회는 당시 전쟁으로 인한 극심했던 교회의 피해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폐해진 이 땅을 위해 행했던 구호의 모습 등 좋은 기억들만을 품고 가는 것이 아닌 그 당시의 태도와 그러한 과거를 평가했던 지금까지의 입장에 대해서도 반성하고 새로운 시각을 정립하는 자세를 취할 줄 알아야 하겠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인수.『한국기독교회의 역사』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김일성.『세기와 더불어 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2』서울: 생명의말씀사, 2004.
서성환.『제주선교 100년 어제와 오늘과 내일』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북한교회사』 서울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Ⅲ』서울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사와 마사히코.『남북한기독교사론』김숙자강문규 역. 서울: 도서출판 민중사, 1997.
연구논문
강명숙. “1920년대 한국 개신교의 사회주의에 관한 인식-경제적 입장을 중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제 5권(1996.12), 145.
강명숙. “1920년대 조선개신교의 사회주의 인식”.『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제 18호(1995.1), 23.
강인철. “한국개신교회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1945-1960”.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강인철. “해방이후 419까지의 한국교회와 과거 청산 문제”.『한국기독교와 역사』제 24호(2006.3), 16-21.
김득중. “여순사건의 실상과 민중피해”.『내일을 여는 역사』제 2호(2000.7), 108.
박용규. “제주선교 100년 그 역사와 의미”.『신학지남』제295호(2008.6), 234.
서정민. “한국 기독교 반공 역사적 이해”. 『기독교사상』제 355호(1988.7), 66.
서정민. “해방전후의 한국기독교계동향”. 『기독교사상』제 29권(1985.8), 34.
서정민. “해방 전후의 한국 기독교계동향”.『기독교사상』제 326호(1985.8), 33-34.
최상철. “사회주의와 종교”.『정세와 노동』 제 19호(2006.12), 33.
양한권. “제주도43폭동의 배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제1공화국과 한국전쟁 그리고 한국교회”.『현대기독교총서』제 4호(2009), 273.
홍용표. \"이승만 대통령의 38도선 폐지론과 북진통일론“『이승만과 625전쟁』제 1호 (2010)
제주도에서 20년 동안 거의 세 배에 가까운 성장을 하고 있는 반면에 기독교가 쇠퇴하는 이유는, 물론 기독교에 대한 그들의 잘못된 인식과 편견일수도 있으나, 그들을 이해해보고자 하지 않고 자신들의 입장만을 강조하기 때문이며 이는 기독교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쟁으로 인한 절망감에 빠진 사람들의 피폐해진 영혼을 전적으로 위로하지 못했던 것이다. 기독교의 사랑을 실천해야할 이 때에 오히려 분열과 갈등을 일으키며, 기독교로 들어오는 압박만을 견디고자 그 아래 있는 한국교회의 교인들과 민중들을 더욱 큰 압박으로 내몰지 않았는지는 앞으로도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이다. 한국교회는 당시 전쟁으로 인한 극심했던 교회의 피해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폐해진 이 땅을 위해 행했던 구호의 모습 등 좋은 기억들만을 품고 가는 것이 아닌 그 당시의 태도와 그러한 과거를 평가했던 지금까지의 입장에 대해서도 반성하고 새로운 시각을 정립하는 자세를 취할 줄 알아야 하겠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인수.『한국기독교회의 역사』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7.
김일성.『세기와 더불어 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2』서울: 생명의말씀사, 2004.
서성환.『제주선교 100년 어제와 오늘과 내일』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북한교회사』 서울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Ⅲ』서울 :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사와 마사히코.『남북한기독교사론』김숙자강문규 역. 서울: 도서출판 민중사, 1997.
연구논문
강명숙. “1920년대 한국 개신교의 사회주의에 관한 인식-경제적 입장을 중심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제 5권(1996.12), 145.
강명숙. “1920년대 조선개신교의 사회주의 인식”.『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제 18호(1995.1), 23.
강인철. “한국개신교회의 정치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1945-1960”.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강인철. “해방이후 419까지의 한국교회와 과거 청산 문제”.『한국기독교와 역사』제 24호(2006.3), 16-21.
김득중. “여순사건의 실상과 민중피해”.『내일을 여는 역사』제 2호(2000.7), 108.
박용규. “제주선교 100년 그 역사와 의미”.『신학지남』제295호(2008.6), 234.
서정민. “한국 기독교 반공 역사적 이해”. 『기독교사상』제 355호(1988.7), 66.
서정민. “해방전후의 한국기독교계동향”. 『기독교사상』제 29권(1985.8), 34.
서정민. “해방 전후의 한국 기독교계동향”.『기독교사상』제 326호(1985.8), 33-34.
최상철. “사회주의와 종교”.『정세와 노동』 제 19호(2006.12), 33.
양한권. “제주도43폭동의 배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제1공화국과 한국전쟁 그리고 한국교회”.『현대기독교총서』제 4호(2009), 273.
홍용표. \"이승만 대통령의 38도선 폐지론과 북진통일론“『이승만과 625전쟁』제 1호 (2010)
추천자료
분단과 냉전-한국 전쟁에 대한 이해
한국장로교회사와 장로교 고신교단의 목사후보생 양육에 대한 소고
[교회][예배][교회개혁][이단]교회와 예배 및 교회개혁과 이단(교회의 본질, 교회에 대한 신...
한국교회 제사의 문제점, 유래, 역사, 의미, 제사문제 논쟁, 조상제사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기독교사회주의의 기원과 개념 - 한국교회사 제문제
일제 말 한국기독교의 피해, 가해, 훼절에 대한 - 역사 서술 인식 이해
한국 민족교회의 재평가 문제 - 한국민족교회의 새로운 서술에 대한 제시 -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비판적 관점에게 본 이승만 정권과 기독교 -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한국기독교 용공시비의 타당성 문제 -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 세계교회협의회)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