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서울 선교지부와 타 지역 선교지부의 관계
1) 서울 선교지부의 타 지역 선교지부 개설
2) 서울 선교지부의 중심적 위상
3. 평양 선교지부의 영향력 확대
1) 평양 선교지부의 성장과 이에 대한 반응
2) 평양 선교지부의 전국적인 영향력 확대
4. 평양 선교지부에 대한 서울 선교지부의 대응
1) 세브란스 병원의 신축
2) 에큐메니즘의 강화
3) 백만인 구령운동 주도
4) 고등교육기관의 유치
5. 맺음말
2. 서울 선교지부와 타 지역 선교지부의 관계
1) 서울 선교지부의 타 지역 선교지부 개설
2) 서울 선교지부의 중심적 위상
3. 평양 선교지부의 영향력 확대
1) 평양 선교지부의 성장과 이에 대한 반응
2) 평양 선교지부의 전국적인 영향력 확대
4. 평양 선교지부에 대한 서울 선교지부의 대응
1) 세브란스 병원의 신축
2) 에큐메니즘의 강화
3) 백만인 구령운동 주도
4) 고등교육기관의 유치
5. 맺음말
본문내용
l, Korea Sept. 1901.
Brown, Arthur J. Report of a Visitation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Board of Foreign Missions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902.
Brown, Arthur J. Report on a Second Visit to China, Japan, and Korea New York: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United States of America, 1909.
Brown, G. T. Mission to Korea Nashville: Board of World Missions, Presbyterian Church U. S., 1962.
Clark, C. A. The Korean Church and the Nevius Method New York: Fleming H. Revell, 1930.
Harrington, Fred Harvey God, Mammon, and the Japanese: Dr. Horace N. Allen and Korean-American Relations, 1884-1905 Madison: The Un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6.
Kerr, Edith A. Anderson, George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889~1941 Australian Presbyterian Board of Missions, 1970.
McCully, Elizabeth A. and Fraser, E. J. O. Our Share in Korea: Supplementary to the Land of the Dawn by James Dale Van Buskirk Tronto: Published for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United Church of Canada, by the Committee on Literature, General Publicity and Missionary Education, 1931.
Rhodes, Harry A. ed.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 S. A. vol. Ⅰ, 1884~1934 Seoul: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Department of Education, 1984.
Speer, Robert E. Report of the Mission in Korea of the Presbyterian Board of Foreign Missions(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897.
Speer, Robert E. ed. Report of Deputation Sent by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in the Summer of 1915: To Visit the Missions in Siam and the Philippine Islands and on the Way Home to Stop at Some of the Stations in Japan, Korea and China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916.
L. H. 언더우드, 이만열 역.『언더우드: 한국에 온 첫 선교사』서울: 기독교문사, 1999.
류대영.『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민경배. “언더우드와 연세정신,” 제1회 언더우드 기념강좌, 연세대학교 루스채플, 2001. 10. 22.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민경배.『한국민족교회형성사론』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백낙준.『한국개신교사, 1832-1910』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사무엘 마펫, 김인수 역.『마포삼열 목사의 선교편지』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서정민.『제중원과 초기 한국 기독교』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손정목.『한국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서울: 일지사, 1982.
손정숙.『한국 근개 주한 미국공사 연구(1883-1905)』서울: 한국사학, 2005.
송현강. “남장로교 목포지부(Station)의 설치와 운영,”『교회와 역사: 청암 박정규목사 고희기념논문집』(서울: 서울교회사연구소, 2009): 459~477.
송현숙. “호남지방 기독교 선교기지 형성과 확장에 관한 연구,”「한국기독교와 역사」제19호(2003, 9): 225~260
아세아 문제연구소 구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구한국외교문서 제10권(미안 1)』(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7.
연세의료원 120년사 편찬위원회.『인술, 봉사 그리고 개척과 도전의 120년 1. 한국의 현대의학 도입과 세브란스(1885~1945)』서울: 연세의료원, 2005.
의학백년 편찬위원회.『의학백년』서울: 연세대학교 츨판부, 1986.
이만열.『한국기독교의료사』서울: 아카넷, 2003.
이만열옥성득 편역.『언더우드 자료집Ⅰ,Ⅱ,Ⅲ,Ⅳ,Ⅴ』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2006, 2007, 2009, 2010.
정해식 편.『구한말조약휘찬 상중하』서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1964, 1965. 1965.
하원호 외.『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한국 기독교의 역사Ⅰ』서울: 기독교문사, 1999.
The Korea Field
The Korea Mission Field
The Korea Review
Brown, Arthur J. Report of a Visitation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Board of Foreign Missions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902.
Brown, Arthur J. Report on a Second Visit to China, Japan, and Korea New York: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United States of America, 1909.
Brown, G. T. Mission to Korea Nashville: Board of World Missions, Presbyterian Church U. S., 1962.
Clark, C. A. The Korean Church and the Nevius Method New York: Fleming H. Revell, 1930.
Harrington, Fred Harvey God, Mammon, and the Japanese: Dr. Horace N. Allen and Korean-American Relations, 1884-1905 Madison: The Un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6.
Kerr, Edith A. Anderson, George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889~1941 Australian Presbyterian Board of Missions, 1970.
McCully, Elizabeth A. and Fraser, E. J. O. Our Share in Korea: Supplementary to the Land of the Dawn by James Dale Van Buskirk Tronto: Published for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United Church of Canada, by the Committee on Literature, General Publicity and Missionary Education, 1931.
Rhodes, Harry A. ed.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U. S. A. vol. Ⅰ, 1884~1934 Seoul: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Department of Education, 1984.
Speer, Robert E. Report of the Mission in Korea of the Presbyterian Board of Foreign Missions(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897.
Speer, Robert E. ed. Report of Deputation Sent by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in the Summer of 1915: To Visit the Missions in Siam and the Philippine Islands and on the Way Home to Stop at Some of the Stations in Japan, Korea and China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1916.
L. H. 언더우드, 이만열 역.『언더우드: 한국에 온 첫 선교사』서울: 기독교문사, 1999.
류대영.『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민경배. “언더우드와 연세정신,” 제1회 언더우드 기념강좌, 연세대학교 루스채플, 2001. 10. 22.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민경배.『한국민족교회형성사론』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백낙준.『한국개신교사, 1832-1910』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5.
사무엘 마펫, 김인수 역.『마포삼열 목사의 선교편지』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2000.
서정민.『제중원과 초기 한국 기독교』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3.
손정목.『한국개항기 도시변화과정연구』서울: 일지사, 1982.
손정숙.『한국 근개 주한 미국공사 연구(1883-1905)』서울: 한국사학, 2005.
송현강. “남장로교 목포지부(Station)의 설치와 운영,”『교회와 역사: 청암 박정규목사 고희기념논문집』(서울: 서울교회사연구소, 2009): 459~477.
송현숙. “호남지방 기독교 선교기지 형성과 확장에 관한 연구,”「한국기독교와 역사」제19호(2003, 9): 225~260
아세아 문제연구소 구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구한국외교문서 제10권(미안 1)』(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7.
연세의료원 120년사 편찬위원회.『인술, 봉사 그리고 개척과 도전의 120년 1. 한국의 현대의학 도입과 세브란스(1885~1945)』서울: 연세의료원, 2005.
의학백년 편찬위원회.『의학백년』서울: 연세대학교 츨판부, 1986.
이만열.『한국기독교의료사』서울: 아카넷, 2003.
이만열옥성득 편역.『언더우드 자료집Ⅰ,Ⅱ,Ⅲ,Ⅳ,Ⅴ』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2006, 2007, 2009, 2010.
정해식 편.『구한말조약휘찬 상중하』서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국, 1964, 1965. 1965.
하원호 외.『개항기의 재한 외국공관 연구』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한국 기독교의 역사Ⅰ』서울: 기독교문사, 1999.
The Korea Field
The Korea Mission Field
The Korea Review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