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연구방법론] 2011년 대학생의 북한 핵문제 및 통일에 대한 의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학연구방법론] 2011년 대학생의 북한 핵문제 및 통일에 대한 의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설문조사 설계 및 분석
2. 설문지 구성
3. 조사대상자 특성

Ⅱ. 북한 핵문제에 대한 의식
1. 성별에 따른 의식실태
2. 이념 성향에 따른 의식실태

Ⅲ. 통일에 대한 의식
1. 성별에 따른 의식실태
2. 이념 성향에 따른 의식실태

Ⅳ. 결론

본문내용

“매우 이롭다”, 42.1%는 “어느 정도 이롭다”, 6.3%는 “별 상관없다”, 9.8%는 “어느 정도 해롭다”, 1.6%는 “매우 해롭다”고 응답하였다.
보수 성향의 응답자 중 29.6%는 “매우 이롭다”, 44.1%는 “어느 정도 이롭다”, 10.8%는 “별 상관없다”, 11.3%는 “어느 정도 해롭다”, 3.3%는 “매우 해롭다”고 응답하였다.
중도 성향의 응답자의 경우 “매우 이롭다”를 응답한 사람의 비율을 35.4%, “어느 정도 이롭다”의 응답을 선택한 사람은 50.2%, “별 상관없다”의 응답을 선택한 사람은 5.7%, “어느 정도 해롭다”를 응답한 사람은 8.0%, “매우 해롭다”를 선택한 사람은 0.7%로 나타났다.
[표-21] 이념 성향에 따른 통일이 한국 국방안보에 미치는 영향
구분
이념성향
전체
무응답
진보
보수
중도
무응답
빈도
0
1
2
0
3
%
.0%
.4%
.9%
.0%
.2%
매우 이롭다
빈도
6
101
63
256
426
%
30.0%
39.8%
29.6%
35.4%
35.2%
어느 정도 이롭다
빈도
7
107
94
363
571
%
35.0%
42.1%
44.1%
50.2%
47.2%
별 상관없다
빈도
6
16
23
41
86
%
30.0%
6.3%
10.8%
5.7%
7.1%
어느 정도 해롭다
빈도
1
25
24
58
108
%
5.0%
9.8%
11.3%
8.0%
8.9%
매우 해롭다
빈도
0
4
7
5
16
%
.0%
1.6%
3.3%
.7%
1.3%
전체
빈도
20
254
213
723
1210
%
100.0%
100.0%
100.0%
100.0%
100.0%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측검정)
Pearson 카이제곱
46.060(a)
15
.000
Ⅳ. 결론
2011년 대학생의 북한 핵문제와 통일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이화여대와 성균관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본 연구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을 활용하여 설문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성별, 연령, 병역여부 등 응답자의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설문지 1건을 제외 한 1,210부의 설문지가 양적 통계분석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은 주로 북한 핵문제와 한국 경제, 정치, 국방안보에 관한 질문과 통일과 한국 경제, 정치, 국방안보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각 질문에 해당하는 문항별 빈도분석과 성별, 이념성향 별 요인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설문결과를 도출하였다.
북한 핵문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학생의 대부분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남성의 경우 38.5%가 질문에 “매우 해롭다”고 응답해 34.4%가 응답한 여성보다 북한 핵문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 핵문제와 한국 정치의 관계에 대해서 전체 응답자 중 86.2%가 북한 핵문제가 한국 정치에 매우 해롭거나, 어느 정도 해롭다는 응답을 했다. 북한 핵문제가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 “매우 해롭다”고 응답한 비율이 40.0%, “어느 정도 해롭다”고 응답한 비율이 52.9%로 각각 39.8%와 46.6%의 비율로 응답한 남성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89.7%가 북한 핵문제가 국방안보에 매우 해롭거나, 어느 정도 해롭다는 응답을 했다. 교차분석 결과가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 유의확률이 0.345로 0.05보다 크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성향을 가진 응답자에게서 한국 경제에 북한 핵문제가 해롭게 작용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북한 핵문제가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이념 성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 응답자 중 89.2%가 한국 정치에 북한 핵문제가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북한 핵문제와 국방안보에 대해 전체 응답자 중 89.7%가 국방안보에 북한 핵문제가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이념 성향에 따라 북한 핵문제가 한국 국방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의 차이가 나타났다. 보수 성향을 가진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북한 핵문제가 한국 국방안보에 “매우 해롭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학생의 대부분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통일과 한국 경제의 연관성에 대해 남성과 여성의 차이도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가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 유의확률이 0.007로 0.05보다 작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60.6%가 이로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남성과 여성사이의 인식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한국 국방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82.4%가 이롭다는 응답을 해 다른 영역에 비해 통일이 한국 국방안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통일과 한국 경제에 대한 인식은 이념 성향과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가 이념 성향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 결과, 점근 유의확률이 0.472로 0.05보다 크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한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롭다고 응답한 비율은 이념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진보 성향을 가진 응답자가 다른 성향의 응답자 보다 통일이 한국 정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일이 한국 국방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롭다고 응답한 비율은 이념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중도 성향을 가진 응답자가 다른 성향의 응답자 보다 더 많이 통일이 한국 국방안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격2,6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