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동시에 개인의 욕구에 공감할 수 있다고 했다. 이 의견에는 동의한다. 다만 통제된 개인의 욕구가 서로의 공감을 통해서 집단의 욕구로 표출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도덕적 개인이 모여 비도덕적인 집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직업 조합이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을 모두 포함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면 적절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아마 지금도 사회학자들은 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을 거다. 사회학에 완벽한 이론은 없다는 교수님의 말씀이 생각난다. 책을 자살이라는 표면적인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인 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서 보니 정말 생각지도 못 했던 부분들이 보였다. 이처럼 한발자국 떨어져서 사회학적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면 조금이라도 더 완벽에 가까운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까?
그러면 적절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아마 지금도 사회학자들은 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을 거다. 사회학에 완벽한 이론은 없다는 교수님의 말씀이 생각난다. 책을 자살이라는 표면적인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인 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서 보니 정말 생각지도 못 했던 부분들이 보였다. 이처럼 한발자국 떨어져서 사회학적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면 조금이라도 더 완벽에 가까운 해결책이 나오지 않을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