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와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
(2)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와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
(2)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인간의 욕구를 이해할 때 욕구에 차이를 인정하는 인본주의적 접근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이것이다. 안전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불안에 떠는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 ‘저 사람은 왜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하게 대하지 않은 것인가, 왜 결속되려는 마음을 보이지 않는가.’를 요구하는 것은 욕구 단계 실현 측면에서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은 한 사람의 내면적인 욕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는 하지만 인간의 욕구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비판하는 의견도 있었다. 각각의 단계를 구분하기가 모호하고 과학적으로 검증하기가 어려우며 실증을 위한 근거가 없다는 점이 비판의 주요 쟁점이다. 욕구의 우선순위란 없으며 한 시점에 동시에 두 가지 욕구가 일어나기도 한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위험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은 안전 욕구를 충족시키지 않는 사람이지만 스포츠를 하는 이유가 존경 욕구나 자아실현 욕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라면 욕구 단계에 모순이 생긴다. 또한, 여러 욕구를 차례대로 만족하는 대신 이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경우는 욕구 단계만으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할 수 없다. 승용차를 구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신체적 편의라는 생리적 욕구, 재력을 뽐내고 싶은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 등 거의 모든 단계의 욕구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이렇듯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은 무조건적인 수용에는 한계가 있지만, 동기(motivation)와 관련된 이론의 기초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현상을 통해 이를 증명할 수 있다. 단계별로 욕구의 차이를 인정하는 측면을 고려해보자면 욕구위계이론은 욕구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구조화시키고 실체화시켰다는 관점에서 충분히 가치가 있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2)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매슬로우의 단계별 욕구 중 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욕구는 4단계인 자기존중의 욕구와 최종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라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했던 학교 교육의 기능에서 이러한 욕구와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우선 학교는 단순히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기도 하는데 학력과 교육 수준에 따라 사회적인 지위가 정해지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명망 있는 학교, 기본 교육을 이수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학이나 석박사 학위 등 상위 학력으로의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은 그 속에서 전문성, 명성, 자신감, 지위 등을 얻고자 함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학교라는 것이 교육의 장을 넘어 많은 학생이 소속된 공동체라는 점에서 3단계 소속의 욕구와도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욕구위계이론이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아실현의 욕구와의 연관성을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매슬로우가 ‘자아실현적 인간’을 규정한 것을 보면, 자아실현적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타인에 의사에 결정 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 및 의지로 의사 결정을 한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행동하며 스스로 생활을 관리하고 스스로 생활을 규제하고 규범을 정하는 사람이다. 또한, 자아실현은 기본적인 생활의 욕구는 모두 충족시킨 사람만이 생각할 수 있는 단계로, 인본주의 심리학과 교육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가치 있는 개념으로 간주한다. 김병원, 「A. H. Maslow의 「자아실현 욕구」의 개념과 禪思想」,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2008., 289~290쪽 참고
이에 따라 학교 교육에서 개인이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즉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역할을 학교 교육의 기능에 포함하도록 한다. 앞서 전문성이나 사회적 인정의 측면에서 설명한 상위 학력으로의 진학 또한 자아실현을 위해 상위 학력의 교육이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평생교육의 목적이나 평생교육 학습자, 즉 졸업 후의 성인교육이나 노인교육에 참여하는 사람의 공부에 대한 열정 및 동기 부여와 같은 현상은 의무교육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아직 공부할 수 있는 역량을 확인하고 싶다는 자아실현의 욕구나 의무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의 경우라면 늦은 나이에도 지식을 습득하고 싶다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인본주의 심리학자 매슬로우는 욕구는 5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 단계를 충족시켰을 때 상위 단계의 욕구를 느낀다고 하였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서 최종단계 욕구에 해당하는 자아실현의 욕구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욕구위계이론에 따르면 총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 욕구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등의 기본 욕구와 소속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 등 관계 속에서 충족해야 하는 고차원적 단계의 욕구까지 모두 충족시킨 후의 최종단계 욕구인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킨 사람이 인간으로서 가장 고차원적이고 상위 가치를 실현했다 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욕구이며 교육학적으로도 중요하다고 한다. 그런 관점에서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은 교육은 인간이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즉 가장 상위 단계의 가치를 실현하는 인간이 될 수 있는 노력이며 과정이며 그런 의미에서 평생에 걸쳐 배우고 공부하며 개인의 성숙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인 다방면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이라는 평생교육의 신념과 교육의 실행은 충분히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조미헌, 허희옥, 강의성, 류숙희, 김용대, 서정희,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제3호, 2013.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322077582671&SITE=CLICK
최윤진, 「교육의 형식성과 형식화 과정에 관한 고찰」, 『교육철학연구』, 제33권 제2호, 2011.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951096
(2)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매슬로우의 단계별 욕구 중 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욕구는 4단계인 자기존중의 욕구와 최종단계인 자아실현의 욕구라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했던 학교 교육의 기능에서 이러한 욕구와의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우선 학교는 단순히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기도 하는데 학력과 교육 수준에 따라 사회적인 지위가 정해지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명망 있는 학교, 기본 교육을 이수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학이나 석박사 학위 등 상위 학력으로의 진학을 목표로 하는 것은 그 속에서 전문성, 명성, 자신감, 지위 등을 얻고자 함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학교라는 것이 교육의 장을 넘어 많은 학생이 소속된 공동체라는 점에서 3단계 소속의 욕구와도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욕구위계이론이 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아실현의 욕구와의 연관성을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매슬로우가 ‘자아실현적 인간’을 규정한 것을 보면, 자아실현적 인간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타인에 의사에 결정 당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 및 의지로 의사 결정을 한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행동하며 스스로 생활을 관리하고 스스로 생활을 규제하고 규범을 정하는 사람이다. 또한, 자아실현은 기본적인 생활의 욕구는 모두 충족시킨 사람만이 생각할 수 있는 단계로, 인본주의 심리학과 교육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가치 있는 개념으로 간주한다. 김병원, 「A. H. Maslow의 「자아실현 욕구」의 개념과 禪思想」,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2호, 2008., 289~290쪽 참고
이에 따라 학교 교육에서 개인이 발전하고 성장할 수 있는, 즉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역할을 학교 교육의 기능에 포함하도록 한다. 앞서 전문성이나 사회적 인정의 측면에서 설명한 상위 학력으로의 진학 또한 자아실현을 위해 상위 학력의 교육이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평생교육의 목적이나 평생교육 학습자, 즉 졸업 후의 성인교육이나 노인교육에 참여하는 사람의 공부에 대한 열정 및 동기 부여와 같은 현상은 의무교육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은 아직 공부할 수 있는 역량을 확인하고 싶다는 자아실현의 욕구나 의무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의 경우라면 늦은 나이에도 지식을 습득하고 싶다는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3. 결론
인본주의 심리학자 매슬로우는 욕구는 5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 단계를 충족시켰을 때 상위 단계의 욕구를 느낀다고 하였다.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에서 최종단계 욕구에 해당하는 자아실현의 욕구와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욕구위계이론에 따르면 총 다섯 단계로 이루어진 욕구에서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등의 기본 욕구와 소속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 등 관계 속에서 충족해야 하는 고차원적 단계의 욕구까지 모두 충족시킨 후의 최종단계 욕구인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킨 사람이 인간으로서 가장 고차원적이고 상위 가치를 실현했다 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욕구이며 교육학적으로도 중요하다고 한다. 그런 관점에서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은 교육은 인간이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즉 가장 상위 단계의 가치를 실현하는 인간이 될 수 있는 노력이며 과정이며 그런 의미에서 평생에 걸쳐 배우고 공부하며 개인의 성숙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인 다방면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가치 있는 삶이라는 평생교육의 신념과 교육의 실행은 충분히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조미헌, 허희옥, 강의성, 류숙희, 김용대, 서정희, 「형식 교육과 비형식 학습 경험을 통합한 스마트 프로젝트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제17권 제3호, 2013.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201322077582671&SITE=CLICK
최윤진, 「교육의 형식성과 형식화 과정에 관한 고찰」, 『교육철학연구』, 제33권 제2호, 2011.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951096
추천자료
2018 인간과교육]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
[인간과교육] 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
인간과 교육 =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
인간과교육 2018년) 1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
인간과교육)1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
인간과교육]사회변화에 따른 교육형태의 변화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