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문법과 표현의 발달)의 언어발달이론 (변형규칙, 문법과 표현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촘스키(문법과 표현의 발달)의 언어발달이론 (변형규칙, 문법과 표현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촘스키의 언어발달이론

I. 변형규칙
1. 규칙의 중요성
2. 변형규칙
3. 언어획득장치

II. 문법과 표현의 발달
1. 영아기의 언어
1) 초기언어
2) 단일 단어 표현
3) 두 단어 표현
2. 문법의 발달
3. 변형
4. 보편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 'no drop mitten', get car no'등을 들 수 있다. 얼마동안 아동들은 'no'를 문장의 앞이나 뒤에 높긴 하나 문장 중간에 넣지는 않는다. 이러한 사용법은 다시 한 번 심층구조에 대한 무의식적인 이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심층구조에서 부정어는 문장 바깥쪽에 붙어 있으며, 변형을 하는 데 사용되어진다.
3) 변형
약 3세와 6세 사이에, 아동들의 문법은 급속히 매우 복잡해진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그들이 변형을 만들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Where can I put it?"은 본질적으로 "I can put it where"의 변형이다. 아동들이 변형 조작을 급속히 숙달하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으로 그들은, 먼저 "Where I can put it"식의 문장으로 말한다.
'where', 'what'은 문장 앞으로 맞게 옮겨 놓지만, 주어와 조동사의 순서를 바꾸는 데 실패한다. 모방해 보라고 요구했을 때조차도, 주어-조동사 순서 바꾸기는 보통 실패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성인 : "아담, 내가 말하는 것을 그대로 따라해 봐. Where can I put them?"
아담 : "Where I can put them ?"
아마도 영어권에 있는 아동들은 주어-동사-목적어 순의 단어 배열을 쉽게 변경하지 않으려 하는 것 같다. 이러한 주어-동사-목적어 순서는 아동들이 이제 막 숙달한 심층구조에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잘 연구된 변형으로는 부가 의문문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Chomsky의 피험자인 Adam이 4세 반일 때 1시간 동안 자발적으로 했던 말 가운데 많은 부가의문문이 있었다. 여기에는 다음의 문장들이 포함된다.
Ursula's my sister, isn't she?
I made a mistake, didn't I?
Diandros and me are walking, aren't we?
He can't beat me, can he?
He doesn't know how to do it, does he?
부가된 것들은 문장의 끝부분에 있는 짧은 의문문들이다.
부가의문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작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먼저, 화자(話者)는 문장의 앞부분에 있는 부정 진술문이나 긍정 진술문을 반대로 바꾸어야 한다. 예를 들어, Adam이 "I made a mistake"라는 긍정 진술문을 말할 때 부가되는 것은 "Didn't I ?"라는 부정문이어야 하고, "He can't beat me"라는 부정 진술문을 말할 때 부가되는 것은 "Can he?"라는 긍정문이어야 한다. 또한 Adam은 문장의 주어 "Diandros and me"를 찾아내어, 적절한 대명사 'we'로 바꾼 다음 부가문에 넣는다. 게다가 부가의문문에서는 적절한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I made a.mistake, didn't I"라는 문장에서, 조동사 'did'는 첫째 구절에서는 나타나 있지도 않다. Adam은 복잡한 규칙에 따라서 이것을 생각해내야 하는데, Choms가 이러한 규칙을 밝혀내기 전까지, 우리는 그것에 대해 인식조차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관계되는 조작들의 일부에 불과하다. Adam이 4세나 4세 반 정도에 올바른 부가의문문을 생성해낼 수 있고 또 이러한 점에 있어서 그가 비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정말로 놀랄 만한 것이다. Adam의 언어 기록에서 흥미로운 측면은, 이러한 문장들의 시간에 따른 빈도 분포이다. Adam은 4세나 4세 반 이전까지는 전혀 부가의문문을 생성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갑자기 부가의문문이 쏟아져 나오게 된 것이다. Adam은 1시간에 32개의 부가의문문을 생성한데 비해, 성인의 평균 빈도는 3-6개 정도이다. 아동들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서 새로운 역량을 견고히 하려는 내적 욕구를 갖는 것처럼 보인다.
4) 보편성
타론 문화권에 있는 아동들은 각기 다른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homsky와 그의 추종자들은 여러 가지 다양성 가운데에서도 발달과정에 대한 어떤 보편성이 있다고 믿는다. 어느 곳에 있는 아동이든, 처음에는 단일 단어에서 두 단어 표현으로 넘어가고 다음으로 굴절, 심층구조, 구(句) 구조 단위, 그리고 다른 요소 등에 관한 규칙을 작동시키고 마지막으로 변형생성을 시작하게 된다.
이렇듯, 어느 곳에 있는 아동이든지 표준적 순서로 학습하는 듯이 보이는데, 이 순서는 아마도 관련된 과제들의 복잡성을 반영해 줄 것이다.
게다가, 연구자들은 각각의 일반적인 시기에서 범문화적 유사성도 찾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옹알이는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어느 곳에 있는 아동이든 같은 종류의 두 단어 표현을 사용하며, 말의 어느 부분을 과일반화하고, 처음에는 부정어도 같은 방식으로 다룬다.
그러나 아동이 변형을 다를 수 있는 연령쯤 되면, 이들은 언어에 따라 조금씩 다른 규칙들을 학습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homsky는 보편적 제어장치(universal constraints)가 변형이 가능한 범위를 제한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는 이미 하나의 주요 제어장치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즉, 모든 언어는 단지 구조 의존적 규칙만을 사용하는 것 같다 Chomsky는 보편적 제어장치가 학습괴정을 촉진시킨다고 하였다.
아동들은 모든 가능한 종류의 변형 규칙을 가설화할 필요는 없다. 그들은 어떤 종류의 규칙만을 탐색하도록 생래적으로 성형지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들이 가능한 변형체계 전부에 대해 생각한 후 그 중에서 결정해야 한다면, 그들은 결코 언어를 숙달할 수 없을 것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1.17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