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별자질 개념][모음 변별자질][자음 변별자질][변별자질접근치료][최대 대립 접근법]변별자질의 개념, 모음의 변별자질, 자음의 변별자질, 변별자질접근치료 Maximal Opposition Approach(최대 대립 접근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변별자질 개념][모음 변별자질][자음 변별자질][변별자질접근치료][최대 대립 접근법]변별자질의 개념, 모음의 변별자질, 자음의 변별자질, 변별자질접근치료 Maximal Opposition Approach(최대 대립 접근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변별자질의 개념

Ⅲ. 모음의 변별자질
1. 모음의 자질 표기
2. 분절음의 잉여성(Segment Redundancy)

Ⅳ. 자음의 변별자질
1. 주요부류자질
1) 자음성(consonantal)-비자음성(nonconsonantal): [±cons]
2) 성절성(syllabic)-비성절성(nonsyllabic): [±syllabic]
3) 공명성(sonorant)-비공명성(nonsonorant): obstruent): [±sonorant]
2. 조음방법자질
1) 지속성(continuant)-비지속성(noncontinuant): [±cont]
2) 설측음성(lateral)-비설측음성(nonlateral): [±lateral]
3) 비음성(nasal)-구강음성(nonnasal/oral): [±nasal]
4) 조찰성(strident)-비조찰성(nonstrident): [±strident]
5) 개방 지연성(delayed release)-순간개방성(instantaneous release): [±del rel]
3. 조음 위치 자질
1) 전방성(anteroir)-비전방성(nonanteroir): [±anteroir]
2) 설정성(coronal)-비설정성(noncoronal): [±coronal]
3) 순음(labial)-비순음(nonlabial): [±labial]
4) 분산성(distributed)-비분산성(distributed): [±distributed]
5) 원자질(round)-비원자질(nonround): [± round] [±labial]
4. 혀의 위치자질
1) 고음성(high)-비고음성(nonhigh): [±high]
2) 저음성(low)-비저음성(nonlow): [±low]
3) 후설성(back)-비후설성(nonback): [±back]
4) 연구개음 흡인(velar suction)-비연구개 흡인(nonvelar suction): [±velar suction]
5. 설근 자질
1) 설근의 전진성(advanced tongue root: ATR): [±ATR]
2) 긴장성(tense)-이완성(lax): [±tense]
6. 후두 자질
1) 기식성(aspirated): [±aspirated]
2) 협착 성문성(constricted glottis)-비협착 성문성(nonconstricted glottis): [±constr]
3) 유성(voiced)-무성(voiceless): [±voice]
7. 초분절적(운율적) 자질

Ⅴ. 변별자질접근치료 Maximal Opposition Approach(최대 대립 접근법)
1. 최대 대립 접근법의 개념
2. 대상
3. 목표음 선택법
4. 절차 및 방법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onhigh): [±high]
혀가 중립위치에서 위로 올라감으로서 생성되는 음. 비고음성은 혀의 올림없이 산출되는 음.
[+] 고모음, 활음, 치경구개음, 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음화된 음
[-] 저모음, 중모음. 그 외 자음.그 외 모든 음
2) 저음성(low)-비저음성(nonlow): [±low]
혀몸을 중립위치에서 내리면서 산출되는 소리. 비저음성 음은 혀의 내림없이 산출되는 소리
[+] 저모음, 인두자음, 성문음, 인두음화된 자음
[-] 그 외 모든 음.
3) 후설성(back)-비후설성(nonback): [±back]
중립위치에서 혓몸을 뒤로 수축하면서 생성하는 음. 비후설성은 혀의 후퇴없이 산출하는 음
[+] 후모음, 연구개, 목젖음, 인두음, 연인두화된 자음과 인두화된 자음
[-] 성문음, 순음, 치음, 구개음
4) 연구개음 흡인(velar suction)-비연구개 흡인(nonvelar suction): [±velar suction]
혀 차는 소리등을 기술할 때 사용. 국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5. 설근 자질
1) 설근의 전진성(advanced tongue root: ATR): [±ATR]
설근을 앞으로 밀면서 산출되므로 인두의 공명강이 확대. 비전진설근 음은 설근을 밀지 않으면서 산출. 아프리카 언어에서 모음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
2) 긴장성(tense)-이완성(lax): [±tense]
긴장음은 설근의 근육운동이 증대되어 산출되며, 이완음에서보다 증가된 방해의 정도를 가져온다. 이자질의 가치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다.
[+] 영어의 장모음, 이중모음
[-] 단모음
6. 후두 자질
1) 기식성(aspirated): [±aspirated]
성문이 닫히거나 좁혀져서 나는 소리. 즉, 성문을 통과하는 기류가 증가되어 나는 소리
[+] 기식화된 소리, 기식음.
[-] 그 외의 모든 음
2) 협착 성문성(constricted glottis)-비협착 성문성(nonconstricted glottis): [±constr]
성도에 심한 방해가 있어 성대의 자유로운 진동을 방해함으로써 음이 산출된 음. 성대의 긴장을 동반, 조음체와 조음점이 닿는 길이가 길다.
[+] 경음, 내파음, 불파음.
[-] 단모음
3) 유성(voiced)-무성(voiceless): [±voice]
성대의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진동 유무에 따른 분류
[+] 유성음
[-] 무성음
7. 초분절적(운율적) 자질
강세:[+/-stress]: 모음의 강세유무
장단:[+/-long] : 음의 장단구별
고저:[+/- H], [+/- L]: 성조 (+/- High, Low tone
Ⅴ. 변별자질접근치료 Maximal Opposition Approach(최대 대립 접근법)
1. 최대 대립 접근법의 개념
- 개발자: Elbert와 Gierut(1989)
- 개발 배경: 음운적 지식이 가장 적은 것에서 가장 많은 것 순으로 치료된 아동은 전반적 음 시스템으로 일반화를 보여주었다고 하였다(Gierut, 1985). 음운지식이 빈약한 음부터 치료하는 것이 일반화가 더 용이하다.
- 치료 개념의 변화
초기: 발음적으로 매우 다른 음을 목표음으로 선택
최근: 최대 대립이라는 용어는 변별자질의 차이를 의미한다.
① 두 음소를 구별짓는 자질의 수
② 자질의 본질 → 즉 차이가 주요부류 자질인지 아닌지
→ Chomsky-Hall(1968)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즉 자음성, 공명성, 모음성을 주요부류자질로 정의
2. 대상
중도에서 심한 음운장애 아동에게 적합
3. 목표음 선택법
- 최대 대립 치료의 초기 version과 최근 version사이는 목표선택에 대한 절차가 변화한다. 최근 방법 중심으로 진술한다.
- 아동의 목록에 없고 변별자질이 최대로 다른 두음 선택 후 최소 단어짝을 이용하여 치료
- 임상적 적용
① 목록
, , , , , , , ,
,


② 목록에 없는 음소
,




4. 절차 및 방법
- 두 단계로 구성 : 실제적인 임상에서 이용하면서 만들어진 단계이다. 임상가는 목적에 따라, client들에게 적절한 활동을 추가할 수 있다.
① 모방단계 : 임상가는 최대 변별짝 그림카드를 제시하고 모델을 제시하면 client는 그림을 보고 반복
활동의 예
→ 짝맞추기, 그림 분류하기
→ 단어가 모방될 때마다 트랙에서 한 공간씩 자동차 움직이기.
→ 그림을 이용한 다양한 카드 게임
준거: 연속해서 27세션에 걸쳐 모방 정확도가 75% 성취한다.
② 자발적 단계 : 임상가의 모델 없이 단어짝을 client가 발음한다.
준거: 연속해서 312세션에 걸쳐 모델 없이 90% 정확하게 발음한다.
Ⅵ. 결론
변별적 자질이란, 언어적 의의가 있는 차이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음성적 특질들을 말한다. 영어에서 최소 대립쌍인 pin과 bin의 첫 음끼리를 비교해 보면 유성자질 유무 차이가 있다. 이것은 단순한 잉여 자질이 아니라 의미의 차이를 일으키는 대립이므로 변별적 자질이다. 한편, 우리 국어에서는 [p], [Ρ ], [Ρ] 들끼리는 각각 다른 변별적 자질을 가진 음소들로 구별되어야 하나, 유성음은 잉여 자질일뿐 을 [p]나 [b] 어느 쪽으로 발음하여도 의미에는 변함이 없다. 이와 같이 음성적 특질을 인지하는 데에는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것은 언어마다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성적 특질들은 모든 언어에 공통되는 것이므로 보편 음성학을 성립시킬 수 있다. 그 가운데 개별 언어에서만 나타나는 발음을 토대로 개별 음성학을 세워 그 언어에 국한된 이음들에 대해 다루게 되며, 다시 그 이음들을 토대로 음소를 추출하는 것이다. 어린이가 어떤 언어를 배워 가는 과정도 위와 비슷하다. 인간이 보편적으로 발음할 수 있는 음들 가운데서 자기 모국어를 말하는데 필요한 항목들만을 체계화시켜 가는 것이다.
참고문헌
◇ 김영석(1996), 영어음운론 , 한신 문화사
◇ 배주채(1996), 국어음운론개설. 신구문화사
◇ 배양서(1984), 영어의 음성음운발음, 한신 문화사
◇ 이영길(1996), 영어음운론의 기초, 한국문화사
◇ 이기문 외(2001), 국어음운론, 학연사
◇ 정국(1999), 영어음운론, 한국문화사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