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의 이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리듬의 개념

2 리듬의 종류

3 운문의 근본 개념

4 시각의 종류

5 시 형식

6 韻: 각운(脚韻)

7 두운(頭韻)과 유운(類韻)

8 율격

9 음보율

10 오세영의 율격론

11 리듬의 형태

12 자유시와 산문시

13 리듬의 현대적 의의

14 리듬분석

15 <꿈과 시> 분석

본문내용

1. 리듬의 개념
언어의 형식면에서 볼 때 시는 소리의 연속이고 소리의 구조다. 시에서 언어학상의 소리는 음악과 도무지 경쟁할 수 없지만 의미, 문맥, 어조들과 결합하여 음악적 효과를 낼 수 있다. 시인은 이 음악적 효과를 창조하기 위하여 소리를 모형화한다. 소리의 모형화가 리듬이다.
리듬은 말소리의 모든 자질은 물론 휴지와 의미, 분행, 분절, 구두점의 종류 및 유무와 심지어 한글과 한자의 시각적 효과까지와도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다. 일반적으로 시의 리듬은 운율, 곧 운과 율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리듬은 기표의 ‘반복성’이며 동시에 이 반복성은 소리의 반복을 비롯하여 음절수, 음절의 지속, 성조, 강세 등 여러 상이한 토대에서 이루어진다.
2. 리듬의 종류
(1) 운 : 한시나 영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소리의 반복
압운이라고도 불리는 이 리듬은 각운, 두운, 자음운, 모음운 등으로 다시 세분된다.
두운은 단어의 첫 자음의 반복이고,
모음운은 강음절의 모음이 반복되는 현상이고,
각운은 시행 끝 강음절의 모음과 자음이 반복되는 현상인데,
이 각운은 운의 대표가 된다.
한국의 고전시가나 현대시의 경우 한시나 영시에서처럼 엄격한 규칙성의 운은 찾아볼 수 없다.
운문의 근본 개념
볼프강 카이저(『언어예술작품론』, 예림기획)의 이론 요약
1) 운문체계
운문: 분절상의 최소단위(즉 음절)의 무리로 이루어지는 질서있는 단위이다.
양격(揚格): 강세가 있는 음절.(운문은 양격의 수효에 의해 결정됨)
억격(抑格): 강세가 없는 음절.
2) 詩脚: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4.02.26
  • 저작시기2004.0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11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