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이론(호니-톰슨-애들러의 이론, 양성성이론, 성역할 초월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페미니즘 이론(호니-톰슨-애들러의 이론, 양성성이론, 성역할 초월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페미니즘 이론

I. 초기의 이론들
1. 카렌 호니의 이론
2. 크라라 톰슨의 이론
3. 알프레드 애들러의 이론

II. 양성성이론

III. 성역할 초월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성적인 사람은 독립적, 공격적, 모험적 등의 전형적인 남성적 특성과 함께 감정이입적, 정서적, 수동적 등의 전형적인 여성적 특성을 공유하는 개인들이다. 두 성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양성적인 사람들은 남성적인 특성이나 여성적인 특성만을 지닌 개인들보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상황에서 적응을 잘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성적인 사람들은 동조나 일치를 강요하는 상황에서는 남성 동료들과 같이 행동할 것이고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 주어야 할 상황에서는 여성 동료들과 같이 행동할 것이므로 그들의 행동은 대단히 큰 융통성을 지닐 것이다.
대조적으로 남성적 특성이나 여성적 특성만을 지닌, 강하게 성유형화된 사람들은 그들의 성역할 유형에 적합한 상황에서만 편안하고 적응적일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의 성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상황에서는 불편함을 느끼고 그 상황을 회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심리적 안녕감을 경험하지 못하고 그들의 잠재적 능력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그러나 벰이나 스펜스의 주장과는 상이하게 양성성의 바람직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연구들도 많이 있다(Signorella & Jamison, 1986). 오히려 남성적인 사람들이 양성적이거나 여성적인 사람들보다 다양한 과제의 수행에서 높은 자기신뢰를 바탕으로 더 잘 수행하였고 더 높은 자기존중감과 더 바람직한 심리적 적응을 나타내었다(Whitley, 1983). 우리 사회는 여성적 특성이 가정과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남성적 특성에 더 큰 보상과 사회적 힘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양성적인 사람들이 성유형화된 사람들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남성적 특성의 결과일 것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양성성 척도가 측정하는 양성성이란 무엇인가? 양성성 척도가 오히려 개인이 남성적 혹은 여성적으로 이분될 수 있음을 강화하고 단순히 성역할 고정관념을 측정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또한 우리가 양성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남성성과 여성성의 두 가지 특성을 통합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혹은 남성성과 여성성을 초월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양성성이론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양성성에 대한 분명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다.
III. 성역할 초월이론
성역할 초월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단계를 가정한다.
단계 1: 성차를 인식하지 못한다.
단계 2: 성역할 고정관념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적극적으로 선호한다.
단계 3: 성역할 고정관념을 초월한다.
처음 두 개의 단계는 콜버그의 성역할 발달단계와 유사하나 제 3단계는 개인적이고 독특한 방식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을 이루는 단계이다. 성역할 정체감 발달의 제 3단계에 이론 개인들은 전통적 남성성이나 여성성에 엄매이지 않고 자신이 갖는 잠재능력의 최상을 발휘하고 자기실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Pleck, 1975; Block, 1973). 성역할을 초월한 개인들은 성격검사에서 여성적, 남성적, 양성적 혹은 미분화의 점수를 받을 것이나 이 점수와 그들의 실제의 정체감과는 상관이 없다. 현실적으로 성역할 초월을 이룬 부부들은 남편과 아내로서의 전통적 역할구분에 구애됨이 없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사 일을 나누어 맡고 개인적 성장을 위해 서로 돕는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성역할 초월을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성역할 초월을 이룬 부부의 자녀들도 전통적 성역할을 고수하는 제 2단계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을 이루는 것처럼, 성역할 정체감 발달의 제 2단계에서 제 3단계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적 압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성인기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성역할 초월은 성역할 학습의 최상의 단계로서 자아와 사회 간의 관계를 재통합해야만 한다. 콜버그의 후인습적 수준의 도덕성 발달과 같이, 개인의 성역할 초월은 인간으로서의 성숙과 완성을 지향하고 개인의 자유의지를 중요시하는 소수의 사람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성역할 패턴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1.17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