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윤리사] 현대 기독교 페미니스트 윤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윤리사] 현대 기독교 페미니스트 윤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김중은, 구약의 말씀과 현실, 한국성서학연구소, 1996. p.287.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8. 나오며
이상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일반적 사상으로서의 페미니즘의 역사, 전개, 특징과 좀더 테마를 집약하여 여성신학의 형성, 주장, 윤리적 특징과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여성신학이 지난 역사 속에서 있어온 성차별과, 업압과 왜곡을 지적할 때, 무엇보다 가장 커다란 요인으로 제기된 것은 가부장제이다. 물론 가부장제에 의해 추동된 역사 전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제도가 한 성에 의한 다른 한 성의 일방적 억압을 보장하고 부추겨 왔다고 할 때, 이는 양 성 모두에게 형벌(刑罰)로 작용했던 것이다. 이제 실천적 과제로서 우리의 일상생활과 의식 깊숙이에 침투해 있는 가부장제의 미시적 차원의 저항과 아울러 우리 삶의 한 형식으로 자리한 가부장제에 대한 거시적, 거대 담론적 지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자신도 모르게 차별을 낳은 구조 속의 한 축을 담당했던 남성들의 인식론적 변화와 실천적 회개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득권의 포기라는 아픔이 따르겠지만 하나님 앞에서 좀더 양심적일 것과 정의를 구현할 것과 사랑을 실천할 것을 고백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실천적 대의로의 극복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여성의 경우, 이제 더 이상 빼앗긴 영토의 반환 촉구라는 소극적 차원의 대응을 넘어 불의와 구조적 악에 저항하는 인간주의적, 나아가 그 어떤 차별이 존재할 수 없는 주체로서의 생명주의적우주적 대안의 적극적 제시를 꿈꾸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이성은 우리의 의식 가장 깊숙한 자리에 숨겨진 차별과 왜곡의 독성을 발견할 수 있을 만큼 발달했다. 우리의 감성은 ‘여성적이다’, 또는 ‘남성적이다’라는 판별을 내세우기 이전에 이미 충분히 감동할 수 있을 만큼 개방되어 있다. 우리의 신념은 하나님 앞에 마지막까지 남겨진 생물학적 욕망도 굴복시킬 수 있을 만큼 순수하다. 아니 전존재를 걸고 그러한 발달과 개방과 순수를 지향한다. 2000년을 수 십, 수 백 번 헤아려 온 무구한 인간의 역사는 그래서 언제든지 다시 기록될 수 있고, 아직까지도 우리에게 남은 차별과 왜곡은 계속해서 지양(止揚)될 수 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나아가 ‘복을 주시며 생육하고, 번성하고, 충만하라’고 하신 말씀이 남아있는 시간의 끝까지 우리의 희망은 유효(有效)하다. 오랜 역사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희망이 동시에 하나님의 은총임을 깨달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지금은 우리의 희망, 즉 하나님의 은총을 얻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태도, 수용의 자세를 취할 때이다. 우리의 ‘생육’과 ‘번성’과 ‘충만’이 ‘보기에 좋구나’라는 궁극(窮極)의 응답을 다시 듣는 그날까지 우리의 희망, 곧 하나님의 은총은 영원하길 간절히 기원하다.
토론
트렌스젠더(Transgender)적 성향을 교회는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보다 명확한 주제로서 이른바 ‘게이’(남성 동성애자)나 ‘레즈비언’(여성 동성애자)이라 불리는 사람들을 교회는 남성으로 볼 것인가? 여성으로 볼 것인가? 이태원과 같은 특정 지역에 집단적으로 모여 생활하는 기독교인 게이들의 경우 주변의 교회들에 의해 배척당하고 있으며, 자신들끼리 모여 예배를 드리고, 기도하며 신앙을 지켜나간다고 한다. 보다 실제적으로 문제를 설정하여 만약 자신이 사역을 하고 있는 교회에 트렌스젠더가 새로 출석한다면 이들의 성정체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다른 교인들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 것인가? 교리적 판단보다는 보다 내밀한 차원의 고백으로서 우리는 이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랑해야 하는 것인가?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1.26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