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도원제도
Ⅱ.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특성 및 평가
Ⅲ. 수도원 윤리의 현대화
Ⅳ. 결론과 질의응답
Ⅴ. 참고도서 및 자료안내
Ⅱ.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특성 및 평가
Ⅲ. 수도원 윤리의 현대화
Ⅳ. 결론과 질의응답
Ⅴ. 참고도서 및 자료안내
본문내용
질의응답
급속한 성장과 함께 현 한국 교회는 여러 가지 병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이러한 반성 속에서 더 큰 문제는 한국 교회 안의 폐단을 정화시킬 뚜렷한 제도나 장치가 없다는 것에 있다. 최근의 모 CCM 가수의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교단정치, 감독제독의 잡음, 국가 대형 비리 사건의 연루, 개 교회의 크고 작은 금권비리, 부자세습, 대형교회화 등의 문제들이 교회내의 깊은 반성과 회개가 없이 급히 덮어서 그 썩음을 가리려 하며 목회자, 성도 개개인의 신앙의 수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가려진다. 더욱이 ‘은혜로’라는 면죄부가 남용되고 있다는 것에 그 심각함이 있다.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특징은 청빈, 순결, 겸손, 복종을 통한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윤리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윤리라는 점은 현 한국 개신교가 소홀히 해서는 안될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수도원의 자세는 현 교회가 다시금 회복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청빈한 삶, 순결한 정신, 겸손한 자세, 복종의 눈빛이 목회자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추구해야 할 도덕적 모토라고 할 수 있다. 중세 수도자들이 보여주었던 영혼의 고결함에 대한 자세와 정결한 삶의 자세는 오늘날 타락한 교회에게 경종을 울린다고 본다.
그러나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자세를 맹목적으로 추구해서는 안된다. 수도원주의가 보여준 이분법적인 사고 방식과 수도원이라는 울타리로 자신을 가린 채 사회적 책임을 외면한 것에 대해서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사회정화적 장치로서의 교회적인 면과 함께 부정과 부패를 향한 소금으로서의 뚜렷한 자세와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짐과 함께 수도원의 윤리적 특징을 균형있게 추구하는 것이 현명한 자세라 본다.
* 현대교회는 영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본다 수도원과 수도사를 만드는 것에 대한 의견나눔.
* 수도원 운동이 왜 개신교 안에서 끊여져 버렸는가?
* 문제가 발생한 신부에게는 ‘피정의 집’이 있다면 개신교는 무엇이 있는가?
* 신학대학 또는 대학원기간 동안의 교육과정 속에 인격론, 성직자로서의 품위, 도덕적 가치에 대한 교 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Ⅳ. 참고도서 및 자료안내
박충구, 「기독교 윤리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이종성, 「윤리학Ⅰ」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2
St. Augustinus. 「아우구스띠누스 규칙서」줌켈러 해설, 이형우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90
St. Benedict.「성베네딕도 수도규칙」 이형우 역주, 왜관: 분도출판사, 1995
「기독교대백과사전」vol.9. “수도원,수도원제도”항목, 서울: 기독교문사, 1983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vol.12. “수도원제도”항목, 서울: 한국브리태니커, 1993
임대식, “중세 수도원운동의 윤리적 특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6
http://sgti.kehc.org/data/field/church/2.html 초기 수도원 영성에 있어서의 덕목의 삶
급속한 성장과 함께 현 한국 교회는 여러 가지 병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고 본다. 이러한 반성 속에서 더 큰 문제는 한국 교회 안의 폐단을 정화시킬 뚜렷한 제도나 장치가 없다는 것에 있다. 최근의 모 CCM 가수의 문제에서부터 시작하여 교단정치, 감독제독의 잡음, 국가 대형 비리 사건의 연루, 개 교회의 크고 작은 금권비리, 부자세습, 대형교회화 등의 문제들이 교회내의 깊은 반성과 회개가 없이 급히 덮어서 그 썩음을 가리려 하며 목회자, 성도 개개인의 신앙의 수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가려진다. 더욱이 ‘은혜로’라는 면죄부가 남용되고 있다는 것에 그 심각함이 있다.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특징은 청빈, 순결, 겸손, 복종을 통한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윤리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윤리라는 점은 현 한국 개신교가 소홀히 해서는 안될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도덕적 완성을 추구하는 수도원의 자세는 현 교회가 다시금 회복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청빈한 삶, 순결한 정신, 겸손한 자세, 복종의 눈빛이 목회자를 꿈꾸는 이들에게는 추구해야 할 도덕적 모토라고 할 수 있다. 중세 수도자들이 보여주었던 영혼의 고결함에 대한 자세와 정결한 삶의 자세는 오늘날 타락한 교회에게 경종을 울린다고 본다.
그러나 수도원주의의 윤리적 자세를 맹목적으로 추구해서는 안된다. 수도원주의가 보여준 이분법적인 사고 방식과 수도원이라는 울타리로 자신을 가린 채 사회적 책임을 외면한 것에 대해서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사회정화적 장치로서의 교회적인 면과 함께 부정과 부패를 향한 소금으로서의 뚜렷한 자세와 적극적 참여가 이루어짐과 함께 수도원의 윤리적 특징을 균형있게 추구하는 것이 현명한 자세라 본다.
* 현대교회는 영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본다 수도원과 수도사를 만드는 것에 대한 의견나눔.
* 수도원 운동이 왜 개신교 안에서 끊여져 버렸는가?
* 문제가 발생한 신부에게는 ‘피정의 집’이 있다면 개신교는 무엇이 있는가?
* 신학대학 또는 대학원기간 동안의 교육과정 속에 인격론, 성직자로서의 품위, 도덕적 가치에 대한 교 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Ⅳ. 참고도서 및 자료안내
박충구, 「기독교 윤리사」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2
이종성, 「윤리학Ⅰ」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2
St. Augustinus. 「아우구스띠누스 규칙서」줌켈러 해설, 이형우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90
St. Benedict.「성베네딕도 수도규칙」 이형우 역주, 왜관: 분도출판사, 1995
「기독교대백과사전」vol.9. “수도원,수도원제도”항목, 서울: 기독교문사, 1983
「브리태니커세계대백과사전」vol.12. “수도원제도”항목, 서울: 한국브리태니커, 1993
임대식, “중세 수도원운동의 윤리적 특성”,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1996
http://sgti.kehc.org/data/field/church/2.html 초기 수도원 영성에 있어서의 덕목의 삶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