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퍼스낼리티
I. 퍼스낼리티의 개념
1. 정의
2. Personality(인성, 사람됨, 인격)에 관련된 유사용어
II. 퍼스낼리티의 이론
1. 유형학적 이론
가) 골상, 인상, 수상 - 관상
나) 체격형성
(1) 크레츠머의 설
(2) 셸던의 설
다) 혈액형설
2. 특성이론
3. 역동적 이론
4. 사회, 문화적 이론
III. 퍼스낼리티의 형성
1. 유전과 환경
2. 가정환경
3. 자아의 발달
4. 사회적 환경
IV. 퍼스낼리티의 검사
1. 질문지법
2. 작업조사법
3. 투영법
V. 퍼스낼리티의 지도
1. 기본적 습관 형성
1) 식사습관
2) 배설습관
3) 수면시간
4) 착의습관
5) 청결습관
2. 건강관리
3. 가족의 화목
* 참고문헌
I. 퍼스낼리티의 개념
1. 정의
2. Personality(인성, 사람됨, 인격)에 관련된 유사용어
II. 퍼스낼리티의 이론
1. 유형학적 이론
가) 골상, 인상, 수상 - 관상
나) 체격형성
(1) 크레츠머의 설
(2) 셸던의 설
다) 혈액형설
2. 특성이론
3. 역동적 이론
4. 사회, 문화적 이론
III. 퍼스낼리티의 형성
1. 유전과 환경
2. 가정환경
3. 자아의 발달
4. 사회적 환경
IV. 퍼스낼리티의 검사
1. 질문지법
2. 작업조사법
3. 투영법
V. 퍼스낼리티의 지도
1. 기본적 습관 형성
1) 식사습관
2) 배설습관
3) 수면시간
4) 착의습관
5) 청결습관
2. 건강관리
3. 가족의 화목
* 참고문헌
본문내용
팀센터의 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응 적성종합검사, 한국가이던스의 다면적 인성검사 등 많은 검사가 있다.
2) 작업조사법(Performance test)
피험자에게 일정한 작업을 시켜서 그 적나한 행동에서 성격특성을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 작업검사법이다. 이 검사는 피험자에게 검사의 목적을 알리지 않고 하기 때문에 위장검사(僞裝檢査)라고도 불린다. 이래서 피험자의 작위에 의한 영향이 경감된다.
이 같은 작업조사법은 미국 히일리(Healy. W. )가 시작했으며 그 뒤 여러 나라에 보급되었는데 그의 회화완성검사(picture completion test), 나무토막검사(cube test), 형반검사(form board test), 미로검사(maze test) 등은 지금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3) 투영법(Projective method)
다소 모호한 시각적, 또는 언어적 자극을 제시하여 놓고 피험자에게 그 자극을 재구성시킨 다음,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자기도 모르게 노출된 피험자의 욕구나 감정 등을 중심으로 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이다.
벨라크(L. Bellak)는 이런 변용한 지각을 통각이 라고 했다. 이 통각적 왜곡을 통해서 피검사자들의 퍼스낼리티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표준조사와는 달라서 통계적, 집단파악에 의거하지 않고 개인의 전체적, 역동적 퍼스낼리티상을 총합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따라서 평가는 주관적, 통찰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런 점에서는 임상심리학자의 누적된 경험과 깊은 인간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것이 이런 종류의 테스트에 있어서 난점의 하나라고도 볼 수 있다.
이것을 주어지는 자극에서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가) 언어자극에 의한 것
* 자유연상검사 즉 음(C. Jung), 라파포트(D. Rapaport) 등의 자극어에 대해서 자유로운 반응을 요구하는 것
* 문장완성법 즉 룻터(J. B. Rotter), 색스(J. M. Sacks) 등과 같이 불완전한 문장을 완성시키는 형성이 있다.
(나) 시각자극에 의한 것
* 롤샤하 잉크오점테스트(Rorschach Ink-blot Test)는 잉크의 흔적으로 된 카드를 보여 그것에 부여시키는 것
* T. A. T(thematic apperception test)즉 애매한 상황을 그린 그림을 주고 이야기를 꾸미게 하여 거기에서 피검사자의 욕구 압력들을 분석하는 것이 밖에 P. F 검사(picture frustration test), 약화법, 색채상징검사 등이 있다.
(다) 청각자극에 의한 것
(라) 표현운동에 의한 것(지회법 - finger painting, 인물묘화법 - figure drawing)
(마) 유회나 극에 의한 것(인형놀이 - doll play, 심리극 - psychodrama) 등이 사용되고 있다.
V. 퍼스낼리티의 지도
퍼스낼리티의 지도에는 유전적, 후천적 요인을 강조할 수가 있으며, 특히 어렸을 때의 기본적 습관은 일생동안 그 자신의 생활습관 모형으로 정착되는 수가 많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인성 및 성격이 세 이전에 거의 형성된다고 보고 있으며, 우리의 옛 속담에도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고 하였다.
1) 기본적 습관 형성
1/ 식사습관
* 모유는 병에 대한 면역성과 더불어 영양과 애정을 섭취하며, 인공유는 많은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다.
* 이유 이유식을 주는 시기는, 문치(門齒)가 나서 고형식이 가능해질 때가 좋으며 너무 일찍 떼면 정서적 불안정을 가져 오기 쉽고 너무 늦게 떼면 의존적 성격이 되기 쉽다.
* 식사지도 태도는 시기를 엄격히 정하고 편식, 과식은 특히 주의한다.
2/ 배설습관(toilet training)
* 유아가 보행을 시작하는 만 15개월쯤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일찍 또는 늦게도 좋지 않다.
3/ 수면시간
* 시간
신생아 18 ~ 20시간정도
유치원 10 ~ 12시간정도
초등학교 9시간정도
성인 7 ~ 8시간정도
* 수면자세의 지도
* 규칙적 조침 조기의 습관
4/ 착의습관
* 3.5세 ~ 4세에 시작한다.
* 박의나 후의는 운동신경장애를 가져 오며 어린이의 사회화에 영향을 준다.
* 지나치게 값이 비찰 옷은 어린이에게 괴벽을 기르고 운동신경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5/ 청결습관
이것이 지나치면 어린이가 결벽중이 되어 청결 공포중이 되는 수가 있으며 치료가 상당히 곤란한 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2) 건강관리
건강은 인간 삶의 기본이다 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고 하듯 건강하면 생활이나 태도에 여유가 있고 포용적이 되며, 반대로 신체가 허약하면 대체로 세밀하고 날카롭고, 모가 나며, 신경질적인 경향을 보이기 쉽다.
3) 가족의 화목
가정은 우리의 보금자리요 안식처이며 가족의 위안의 장소이며 자녀들의 교육의 장소이기도 한다. 인간이 시간적으로 처음 접하는 사회적 환경은 가정이며, 처음으로 맺는 사회관계도 역시 가족에서인 것이다. 그래서 가족 집단의 집단적 성격으로 운명적인 집단, 1차적 집단, 근원적 집단, 인격집단, 세속집단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부모의 퍼스낼리티가 건전할 때, 그 자녀의 성격도 건전해진다. 여기서 Symond P. M. 의 연구로 된 부모의 전형적 양육상태 유형을 소개한다.
Symond는 이상적 부모의 태도는 중앙의 위치라고 보고 있다. 즉 중용적 태도를 강조하는데, 그 위치를 고수하라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신축성 있게 약간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태도는 동일해야 하며, 또 시간이 경과해도 일관성을 유지하며, 엄격과 감상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2) 작업조사법(Performance test)
피험자에게 일정한 작업을 시켜서 그 적나한 행동에서 성격특성을 알아내고자 하는 것이 작업검사법이다. 이 검사는 피험자에게 검사의 목적을 알리지 않고 하기 때문에 위장검사(僞裝檢査)라고도 불린다. 이래서 피험자의 작위에 의한 영향이 경감된다.
이 같은 작업조사법은 미국 히일리(Healy. W. )가 시작했으며 그 뒤 여러 나라에 보급되었는데 그의 회화완성검사(picture completion test), 나무토막검사(cube test), 형반검사(form board test), 미로검사(maze test) 등은 지금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3) 투영법(Projective method)
다소 모호한 시각적, 또는 언어적 자극을 제시하여 놓고 피험자에게 그 자극을 재구성시킨 다음,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자기도 모르게 노출된 피험자의 욕구나 감정 등을 중심으로 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이다.
벨라크(L. Bellak)는 이런 변용한 지각을 통각이 라고 했다. 이 통각적 왜곡을 통해서 피검사자들의 퍼스낼리티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표준조사와는 달라서 통계적, 집단파악에 의거하지 않고 개인의 전체적, 역동적 퍼스낼리티상을 총합적으로 진단하고자 한다. 따라서 평가는 주관적, 통찰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런 점에서는 임상심리학자의 누적된 경험과 깊은 인간이해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것이 이런 종류의 테스트에 있어서 난점의 하나라고도 볼 수 있다.
이것을 주어지는 자극에서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가) 언어자극에 의한 것
* 자유연상검사 즉 음(C. Jung), 라파포트(D. Rapaport) 등의 자극어에 대해서 자유로운 반응을 요구하는 것
* 문장완성법 즉 룻터(J. B. Rotter), 색스(J. M. Sacks) 등과 같이 불완전한 문장을 완성시키는 형성이 있다.
(나) 시각자극에 의한 것
* 롤샤하 잉크오점테스트(Rorschach Ink-blot Test)는 잉크의 흔적으로 된 카드를 보여 그것에 부여시키는 것
* T. A. T(thematic apperception test)즉 애매한 상황을 그린 그림을 주고 이야기를 꾸미게 하여 거기에서 피검사자의 욕구 압력들을 분석하는 것이 밖에 P. F 검사(picture frustration test), 약화법, 색채상징검사 등이 있다.
(다) 청각자극에 의한 것
(라) 표현운동에 의한 것(지회법 - finger painting, 인물묘화법 - figure drawing)
(마) 유회나 극에 의한 것(인형놀이 - doll play, 심리극 - psychodrama) 등이 사용되고 있다.
V. 퍼스낼리티의 지도
퍼스낼리티의 지도에는 유전적, 후천적 요인을 강조할 수가 있으며, 특히 어렸을 때의 기본적 습관은 일생동안 그 자신의 생활습관 모형으로 정착되는 수가 많다. 프로이드는 인간의 인성 및 성격이 세 이전에 거의 형성된다고 보고 있으며, 우리의 옛 속담에도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고 하였다.
1) 기본적 습관 형성
1/ 식사습관
* 모유는 병에 대한 면역성과 더불어 영양과 애정을 섭취하며, 인공유는 많은 문제성을 내포하고 있다.
* 이유 이유식을 주는 시기는, 문치(門齒)가 나서 고형식이 가능해질 때가 좋으며 너무 일찍 떼면 정서적 불안정을 가져 오기 쉽고 너무 늦게 떼면 의존적 성격이 되기 쉽다.
* 식사지도 태도는 시기를 엄격히 정하고 편식, 과식은 특히 주의한다.
2/ 배설습관(toilet training)
* 유아가 보행을 시작하는 만 15개월쯤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너무 일찍 또는 늦게도 좋지 않다.
3/ 수면시간
* 시간
신생아 18 ~ 20시간정도
유치원 10 ~ 12시간정도
초등학교 9시간정도
성인 7 ~ 8시간정도
* 수면자세의 지도
* 규칙적 조침 조기의 습관
4/ 착의습관
* 3.5세 ~ 4세에 시작한다.
* 박의나 후의는 운동신경장애를 가져 오며 어린이의 사회화에 영향을 준다.
* 지나치게 값이 비찰 옷은 어린이에게 괴벽을 기르고 운동신경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5/ 청결습관
이것이 지나치면 어린이가 결벽중이 되어 청결 공포중이 되는 수가 있으며 치료가 상당히 곤란한 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2) 건강관리
건강은 인간 삶의 기본이다 A Sound Mind in a Sound Body라고 하듯 건강하면 생활이나 태도에 여유가 있고 포용적이 되며, 반대로 신체가 허약하면 대체로 세밀하고 날카롭고, 모가 나며, 신경질적인 경향을 보이기 쉽다.
3) 가족의 화목
가정은 우리의 보금자리요 안식처이며 가족의 위안의 장소이며 자녀들의 교육의 장소이기도 한다. 인간이 시간적으로 처음 접하는 사회적 환경은 가정이며, 처음으로 맺는 사회관계도 역시 가족에서인 것이다. 그래서 가족 집단의 집단적 성격으로 운명적인 집단, 1차적 집단, 근원적 집단, 인격집단, 세속집단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부모의 퍼스낼리티가 건전할 때, 그 자녀의 성격도 건전해진다. 여기서 Symond P. M. 의 연구로 된 부모의 전형적 양육상태 유형을 소개한다.
Symond는 이상적 부모의 태도는 중앙의 위치라고 보고 있다. 즉 중용적 태도를 강조하는데, 그 위치를 고수하라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서 신축성 있게 약간씩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자녀에 대한 태도는 동일해야 하며, 또 시간이 경과해도 일관성을 유지하며, 엄격과 감상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