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II.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및 간호
I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내용
3. 간호과정 내용
IV. 결론 및 제언
V. 참고문헌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II.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및 간호
I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내용
3. 간호과정 내용
IV. 결론 및 제언
V.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흡하기 쉬운 체위를 취해준다.
②한시간에 한번씩 대상자 monitoring을 실시한다.
③기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호흡을 도와준다.
④의사 order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진해거담제, 항결핵제 투여)
①복근이나 흉근, 목빗근 등의 호흡부속근육의 작용을 도와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대상자가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②호흡 수를 모니터링하고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③자가 호흡이 힘든 경우 ventilator를 적용하여 환기를 도울 수 있다.
④결핵균을 제거함으로써 가스교환장애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가래 배출이 어려운 사람에게 거담제, 진해제를 공급해 기도를 청결하게 해준다.
①대상자의 침상머리를 올려
semi-Fowler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②한시간에 한번 호흡수를 모니터링 하였고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③대상자에게 ventilator를 적용하였다.
④Tubis 1일 1회 투여.
Ambroxol 1회 15mg 1일 3회 IV.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는 ABGA 수치가 정상범위 내로 돌아왔다. (미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SpO₂가 정상수치(95~100%)를 유지하였다. (미달성)
간호진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카테터 삽입 부위를 관찰한다.
②두시간에 한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치료적 활동 시 청결술, 무균술을 철저히 지킨다.
④대상자에게 억제대를 적용한다.
①카테터 삽입 부위와 같은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분을 통한 감염이 일어날 경우, 농과 같은 삼출물, 악취, 주변 피부의 발적과 같은 이상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②감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부 표면의 발적, 부종, 경결과 통증, 체온상승. 오한, 기침, 가래, 설사 등이 있다.
③3-way에 소독솜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패혈증, 정맥염을 예방할 수 있고 드레싱을 실시 할 때 무균술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 침습적 처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④대상자가 스스로 카테터를 제거할 위험이 있는 경우 손목 억제대를 적용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①환자의 체위를 변경할 때 마다 카테터 삽입부위에 발적과 같은 이상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②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여 감염의 증상으로 체온상승이 나타나는 지 확인하였다.
③3-way를 만지기 전 소독솜으로 소독하고, 드레싱 실시할 시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④카테터 제거로 인한 감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양쪽 손목에 억제대를 적용하였다.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 범위 내로 돌아왔다. (미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미달성)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는 braden scale 점수가 19점 이상이 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 손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욕창위험도를 사정한다.
②air mattress를 적용한다.
③침대 시트는 깨끗하고 구김이 가지 않게 유지한다.
④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⑤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⑥뼈 돌출부위에 베개를 적용한다.
①피부를 자주 사정함으로써 욕창을 예방하고 초기에 빠르게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마사지를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②air mattress는 피부의 혈액순환을 돕고 욕창 유발요인인 압력을 감소시킨다.
③침대 시트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오염물질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감염 및 피부의 연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구김이 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④적절한 영양섭취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고 욕창 발생을 예방한다.
⑤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부의 연화를 막아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⑥욕창은 뼈 돌출 부위에 자주 호발 하므로 베개를 적용함으로써 압박을 줄여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①2시간마다 한번씩 back massage를 시행하면서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Braden scale을 통해 욕창위험도를 사정하였다.(13점)
②대상자에게 air mattress를 적용하였다.
③침대 시트가 오염되었을 때마다 새것으로 교체하며 구김이 가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④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Winuf Peri를 IV로 주입하였다.
⑤하루에 한번씩 세척액을 묻힌 수건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이 닦아주고 건조하게 유지시켰다.
⑥뼈 돌출부위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베개를 대어주었다.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는 braden scale 점수가 19점 이상이 되었다. (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피부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미달성)
IV. 결론 및 제언
▶ **대학교병원 ICU에 계신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생소하게 들리지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으로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연구해 보고자 하여 케이스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연구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과 기구, 장치들이 어디에 쓰이는지 등을 공부해 보고 비록 대상자가 연구기간 중 사망하셔서 간호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였으나 직접 간호진단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봄으로써 대상자 간호에 대해 배울 수 있었으며 특히 무의식 상태의 대상자를 간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V. 참고문헌
이영진 외(1999). 근골격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초판). 서울시 : 한우리. 526~531p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제3판). 서울 : 현문사. 102, 285~286 307~310
신경외과학 Neurosurgery 대한 신경외과학회KLM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https://www.druginfo.co.kr/
②한시간에 한번씩 대상자 monitoring을 실시한다.
③기계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호흡을 도와준다.
④의사 order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진해거담제, 항결핵제 투여)
①복근이나 흉근, 목빗근 등의 호흡부속근육의 작용을 도와서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고 대상자가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②호흡 수를 모니터링하고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함으로써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③자가 호흡이 힘든 경우 ventilator를 적용하여 환기를 도울 수 있다.
④결핵균을 제거함으로써 가스교환장애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가래 배출이 어려운 사람에게 거담제, 진해제를 공급해 기도를 청결하게 해준다.
①대상자의 침상머리를 올려
semi-Fowler position을 취해주었다.
②한시간에 한번 호흡수를 모니터링 하였고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③대상자에게 ventilator를 적용하였다.
④Tubis 1일 1회 투여.
Ambroxol 1회 15mg 1일 3회 IV.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는 ABGA 수치가 정상범위 내로 돌아왔다. (미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SpO₂가 정상수치(95~100%)를 유지하였다. (미달성)
간호진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 범위에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카테터 삽입 부위를 관찰한다.
②두시간에 한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치료적 활동 시 청결술, 무균술을 철저히 지킨다.
④대상자에게 억제대를 적용한다.
①카테터 삽입 부위와 같은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분을 통한 감염이 일어날 경우, 농과 같은 삼출물, 악취, 주변 피부의 발적과 같은 이상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②감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피부 표면의 발적, 부종, 경결과 통증, 체온상승. 오한, 기침, 가래, 설사 등이 있다.
③3-way에 소독솜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패혈증, 정맥염을 예방할 수 있고 드레싱을 실시 할 때 무균술을 적용하는 것을 통해 침습적 처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④대상자가 스스로 카테터를 제거할 위험이 있는 경우 손목 억제대를 적용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①환자의 체위를 변경할 때 마다 카테터 삽입부위에 발적과 같은 이상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②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여 감염의 증상으로 체온상승이 나타나는 지 확인하였다.
③3-way를 만지기 전 소독솜으로 소독하고, 드레싱 실시할 시 무균술을 적용하였다.
④카테터 제거로 인한 감염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양쪽 손목에 억제대를 적용하였다.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 범위 내로 돌아왔다. (미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미달성)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는 braden scale 점수가 19점 이상이 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피부 손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 수행
①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하고 욕창위험도를 사정한다.
②air mattress를 적용한다.
③침대 시트는 깨끗하고 구김이 가지 않게 유지한다.
④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⑤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⑥뼈 돌출부위에 베개를 적용한다.
①피부를 자주 사정함으로써 욕창을 예방하고 초기에 빠르게 치료를 할 수 있으며 마사지를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②air mattress는 피부의 혈액순환을 돕고 욕창 유발요인인 압력을 감소시킨다.
③침대 시트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오염물질의 접촉을 줄임으로써 감염 및 피부의 연화를 예방할 수 있으며 구김이 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④적절한 영양섭취는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고 욕창 발생을 예방한다.
⑤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부의 연화를 막아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
⑥욕창은 뼈 돌출 부위에 자주 호발 하므로 베개를 적용함으로써 압박을 줄여주어 욕창을 예방한다.
①2시간마다 한번씩 back massage를 시행하면서 피부상태를 사정하고 Braden scale을 통해 욕창위험도를 사정하였다.(13점)
②대상자에게 air mattress를 적용하였다.
③침대 시트가 오염되었을 때마다 새것으로 교체하며 구김이 가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④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해 Winuf Peri를 IV로 주입하였다.
⑤하루에 한번씩 세척액을 묻힌 수건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이 닦아주고 건조하게 유지시켰다.
⑥뼈 돌출부위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베개를 대어주었다.
평가
▶단기평가 : 대상자는 braden scale 점수가 19점 이상이 되었다. (달성)
▶장기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피부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미달성)
IV. 결론 및 제언
▶ **대학교병원 ICU에 계신 척추전방전위증(Spondylolisthesis)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생소하게 들리지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으로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연구해 보고자 하여 케이스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연구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과 기구, 장치들이 어디에 쓰이는지 등을 공부해 보고 비록 대상자가 연구기간 중 사망하셔서 간호목표를 달성하지는 못하였으나 직접 간호진단을 내려보고 간호계획을 세워봄으로써 대상자 간호에 대해 배울 수 있었으며 특히 무의식 상태의 대상자를 간호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어 유익한 시간이었다.
V. 참고문헌
이영진 외(1999). 근골격계 진단 및 치료의 핵심(초판). 서울시 : 한우리. 526~531p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제3판). 서울 : 현문사. 102, 285~286 307~310
신경외과학 Neurosurgery 대한 신경외과학회KLM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https://www.druginfo.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