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과목표를 상사와 조직목표와 연계하여 정량적으로 설정하고 본인의 적극성과 창의성에 의하여 자기통제(self-control)를 중심으로 성과목표를 실현하고, 그 성과를 평가하여 보상함으로써 개인발전과 조직발전을 통합시키고자 하는 관리방식이다.
종래에는 감독자가 작업자들 앞에서 직접 감독을 하여 생산성을 높이려고 하였으나, 미국에서는 1950년대 이후 드러커(P. F. Drucker)에 의하여 개인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였나 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감독하는 목표관리기법이 전개되면서, 이러한 기법이 기업 전반에 보급되게 되었다.
<표> 관리방식의 구분
4) 권한위양과 직무충실화
권한위양(delegation of authority)은 조직원칙 중에 하나의 원칙이다. 권한위양의 원칙이란 상사가 가지고 있는 권한 중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업무(routine work)에 따른 권한은 하급자에게 위양하고, 상급자는 대외적 돌발적 예외적인 업무(exception work)만을 담당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와 관련하여 직무설계에 있어서도 권한위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설계해야 하는데, 그 방법이 바로 직무충실화인 것이다. 직무충실화는 허즈버그(F. Herzberg)가 이요인이론(tow factor theory)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동기부여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란 전통적인 직무설계 방법과는 달리 경제적 보상과 심리적 만족을 높여 동기부여 시킴으로써 개인이 자아실현의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하는 것이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 직무수행에 따른 권한을 최대한도로 많이 위양해 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개인적 성장과 의미 있는 작업환경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끔 직무를 재편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종래에는 감독자가 작업자들 앞에서 직접 감독을 하여 생산성을 높이려고 하였으나, 미국에서는 1950년대 이후 드러커(P. F. Drucker)에 의하여 개인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얼마나 달성하였나 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감독하는 목표관리기법이 전개되면서, 이러한 기법이 기업 전반에 보급되게 되었다.
<표> 관리방식의 구분
4) 권한위양과 직무충실화
권한위양(delegation of authority)은 조직원칙 중에 하나의 원칙이다. 권한위양의 원칙이란 상사가 가지고 있는 권한 중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업무(routine work)에 따른 권한은 하급자에게 위양하고, 상급자는 대외적 돌발적 예외적인 업무(exception work)만을 담당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와 관련하여 직무설계에 있어서도 권한위양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설계해야 하는데, 그 방법이 바로 직무충실화인 것이다. 직무충실화는 허즈버그(F. Herzberg)가 이요인이론(tow factor theory)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동기부여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란 전통적인 직무설계 방법과는 달리 경제적 보상과 심리적 만족을 높여 동기부여 시킴으로써 개인이 자아실현의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하는 것이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 직무수행에 따른 권한을 최대한도로 많이 위양해 주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개인적 성장과 의미 있는 작업환경에 대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끔 직무를 재편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