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의 정의(Definition of Worship)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의 정의(Definition of Worshi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예배의 성경적 용어

B. 교회의 예배 용어

C. 예배의 성경적 배경

D. 예배의 신학적 배경

E. 예배의 개념

F. 예배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G. 예배에 대한 예배인도자들의 정의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고 집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끊임없는 구속사의 집약(recapitulation)과 확인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는 성령의 역사와 함께 그 분의 구속 사업을 완성하신다.”
예배란 구속사의 집약이기 때문에 교회를 교회답게 하는 것이며, 교회로 하여금 자기의식을 갖게 하고,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고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회의 모습을 보이게 된다. 교회는 예배를 통하여 교회 자체의 본질을 명백히 하고 교회 자체의 진실한 존재이유를 고백함으로써 스스로의 정체성(identity)을 확립한다.
4. 랄프 마틴(Ralph P. Martin)
예배는 무엇보다도 “하나님이 말씀하시고 그것에 대한 우리의 응답의 형식이다.” 계시와 응답의 두 박자 리듬(two-beat rhythm)으로 설명한다. 헤르만 베그만(Herman Wegman)도 이와 비슷한 견해로서 예배를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며 대화(dialogue)로서 하나님은 주시며, 인간은 받고 응답하는 것”으로 보고 또 이 대화는 단순한 영적인 것을 뛰어넘어 인간의 전인격적인 영과 육을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폴 훈(Paul Hoon)도 이와 비슷한 견해로서 예배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의 자기계시이며 인간의 성령을 통한(by) 응답”으로 본다.
예배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자신을 계시하시고 인간이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다양한 감성, 언어, 행동들을 사용하여 응답하는 상호적인 행위이다. 한 가지 유의해야할 사실은 이런 상호적인 형식 속에서도 그 기선성(initiative)과 주권성(sovereignty)은 하나님께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민장배, 14-16.
G. 예배에 대한 예배인도자들의 정의
1. 탐 크라우터
예배는 주일날 아침 또는 일주일 내내 찬양을 하는 것 그 이상이다. 예배는 살아가는 방법이어야 한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을 아우르는 것이며, 아주 작은 자비로운 행동들까지도 포함한다. 주일 아침 단지 목소리로만 찬양하는 것을 넘어 예배자의 삶을 살아가자.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진정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는 모델이 되자. 복잡한 음악 연주에 사로잡혀서 하나님의 마음을 놓치지 않도록 하자. 하나님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두신다. 우리의 예배는 교회의 벽을 넘어야 한다. 곤란에 처한 사람들에게 선행을 행함으로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드리자. 그것이 진정한 예배다. 탐 크라우터 지음, 박윤선 옮김,「하나님 손에 훈련된 예배인도자」, (예수전도단. 1995).
2. 게릿 구스타프슨
하나님이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기에 우리가 하나님을 사랑할 수 있다. 믿음이란 단지 하나님의 사랑을 인정하는 것이며, 예배는 그 사랑에 대한 믿음에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예배란 하나님을 사랑의 고백으로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 드리는 것이다. 게릿 구스타프슨 지음, 김동규 옮김,「멈출 수 없는 예배의 열정」, (예수전도단. 2006).
3. 스캇 브레너
하나님은 예배 행위를 찾으시는 게 아니라 예배자를 찾으신다. 하나님의 눈은 세상을 살피면서 하나님을 진정으로 알기 원하는 자들을 찾으신다. 하나님은 전심으로 주님을 찾는 자들에게 자신을 적극적으로 나타내신다. 진정한 예배는 하나님을 알기 원하는 자들과 살아계신 하나님과의 만남이다. 스캇 브레너 지음, 전의우 옮김, 「하나님 예배자」, (규장. 2009).
4. 마이크 필라바치
오늘도 교인들과 “은혜 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말을 습관처럼 주고받지는 않았는가? 예배가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불평하지 않았는가? 혹 예배 시간에 은혜를 받으려 하는 게 잘못이냐고 되묻고 싶은가?
그러나 당신이 누구이기에 예배가 우리를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가.
예배는 하나님의 것이지 우리의 것이 아니다. 예배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신 이유이자 목적이다. 예배는 예배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올려드리며, 우리의 삶을 완전히 쏟아부어드리는 것이다. 예배는 많은 사람들을 향해 펼치는 공연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 한 분께 바치는 것이다. 마이크 필라비치 지음, 채수범 옮김, 「하나님 한 분만을 위한 예배」, (규장. 2007).
5. 문희곤
예배란 주님께 구하는 시간보다 우리의 것을 드리는 시간이다. 문희곤 지음, 「예배는 콘서트가 아닙니다.」, (예수전도단. 2003).
6. 릭 무초
예배는 당신 삶의 가장 첫 번째 목적이다. 예수님께서는 가장 위대한 계명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으시고 “네 마음과 정성과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고 대답하셨다. 나에게 있어 예배란 하나님께 표현하는 사랑이다. 또한 예배는 우리가 드리는 무언가가 아니라 바로 나 자신이다. 릭 무초 지음, 도화진 옮김, 「예배의 해답」, (인피니스. 2007).
7. 김근형
예배는 나의 삶이고, 나의 찬양이다. 내가 살아있는 이유가 하나님의 은혜요, 하나님의 계획하신 뜻이기에 나를 구원하시고 나에게 은혜를 허락하신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 나의 삶, 곧 예배이다. 예배는 처음과 끝이 되시는 하나님께 영원히 찬양하는 나의 삶이다.
참고문헌
1) 국내 서적
김소영,「현대 예배학」,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문희곤 지음, 「예배는 콘서트가 아닙니다.」, (예수전도단. 2003)
민장배,「예배학」, (세화출판사, 2009)
정장복,「예배학 개론」,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1999)
황원찬,「예배학 총론」, (도서출판: 잠언, 1996)
2) 번역 서적
게릿 구스타프슨 지음, 김동규 옮김,「멈출 수 없는 예배의 열정」, (예수전도단. 2006).
릭 무초 지음, 도화진 옮김, 「예배의 해답」, (인피니스. 2007).
마이크 필라비치 지음, 채수범 옮김, 「하나님 한 분만을 위한 예배」, (규장. 2007).
스캇 브레너 지음, 전의우 옮김, 「하나님 예배자」, (규장. 2009).
탐 크라우터 지음, 장택수 옮김,「처음처럼 예배하라」, (예수전도단. 2008).
탐탐탐 지음, 박윤선 옮김,「하나님 손에 훈련된 예배인도자」, (예수전도단. 1995).
탐탐탐 지음, 김동규 옮김,「회중을 춤추게 하는 예배인도자」, (예수전도단. 2006).
  • 가격2,2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2.0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9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