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
2. ADHD 아동생활교육
1) ADHD 원인과 진단방법
(1) 원인
(2) 진단방법
2) ADHD 아동을 위한 가정교육법
(1) 주의집중곤란
(2) 충동성
(3) 과잉행동
3. 결론
※ 참고문헌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
2. ADHD 아동생활교육
1) ADHD 원인과 진단방법
(1) 원인
(2) 진단방법
2) ADHD 아동을 위한 가정교육법
(1) 주의집중곤란
(2) 충동성
(3) 과잉행동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두려움을 바로 알기
- 반영적 경청
- ‘나’ 전달법
3)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교육방법
(1) 스티커 상 주기
①스티커 구하기 ②아동에게 스티커 제도 설명하기 ③스티커 달력 만들기 ④상의 목록 정하기 ⑤고치고 싶은 행동이나 해야 할 일의 목록 정하기 ⑥점수 주는 방법 정하기 ⑦스티커 받는 방법 설명하기 ⑧매일 스티커 점수 기록하기
(2) 효과적으로 벌주기(야단치기) : 아동을 똑바로 보며 단호한 어조로 검정을 표현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내용을 간단히 말한다.
(3) 타임아웃 : 유아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준다.
(4) 공공장소에서 아이의 행동을 다루기 : 공공장소에 가기 전에 규칙을 정한다. 잘 지켜질 경우 상을 주고 규칙대로 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정한다. 김유숙, 박진희, 최지원 「ADHD 아동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이너북스, 2010, p.179.
3. 결론
이상으로 ADHD 아동을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ADHD의 성향을 충동성,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가정교육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충동성의 아동은 감정의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과잉행동의 아동은 첫째, 스티커 상 주기 둘째, 타임아웃 셋째, 효과적인 벌주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주의력 결핍의 아동을 위해서는 첫째, 주변 정리정돈 방법 둘째, 효과적인 지시 내리기 등의 방법을 알아보았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ADHD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법이나 사회적인 대처가 많은 도움을 주지 못 했다. ADHD 자녀를 둔 부모라면 효과적인 치료법이 절실하고 성인이 돼서까지 ADHD 성향을 갖고 있지 않았으면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가정에서의 사소한 습관의 변화, 가정환경의 변화로 ADHD 아동의 성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 참고문헌
김남형(2009).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부모-교사의협력적 관계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사회산업학회 임상사회사업연구.
김동일, 이명경(200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DHD) 원인론의 경향과 정망: 애착이론에 의한 대안적 접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김유숙, 박진희, 최지원(2010). ADHD 아동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서울, 이너북스 (한국)
- 반영적 경청
- ‘나’ 전달법
3)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교육방법
(1) 스티커 상 주기
①스티커 구하기 ②아동에게 스티커 제도 설명하기 ③스티커 달력 만들기 ④상의 목록 정하기 ⑤고치고 싶은 행동이나 해야 할 일의 목록 정하기 ⑥점수 주는 방법 정하기 ⑦스티커 받는 방법 설명하기 ⑧매일 스티커 점수 기록하기
(2) 효과적으로 벌주기(야단치기) : 아동을 똑바로 보며 단호한 어조로 검정을 표현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내용을 간단히 말한다.
(3) 타임아웃 : 유아 스스로 생각할 시간을 준다.
(4) 공공장소에서 아이의 행동을 다루기 : 공공장소에 가기 전에 규칙을 정한다. 잘 지켜질 경우 상을 주고 규칙대로 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정한다. 김유숙, 박진희, 최지원 「ADHD 아동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이너북스, 2010, p.179.
3. 결론
이상으로 ADHD 아동을 위한 교육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ADHD의 성향을 충동성,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가정교육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충동성의 아동은 감정의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과잉행동의 아동은 첫째, 스티커 상 주기 둘째, 타임아웃 셋째, 효과적인 벌주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주의력 결핍의 아동을 위해서는 첫째, 주변 정리정돈 방법 둘째, 효과적인 지시 내리기 등의 방법을 알아보았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ADHD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법이나 사회적인 대처가 많은 도움을 주지 못 했다. ADHD 자녀를 둔 부모라면 효과적인 치료법이 절실하고 성인이 돼서까지 ADHD 성향을 갖고 있지 않았으면 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가정에서의 사소한 습관의 변화, 가정환경의 변화로 ADHD 아동의 성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 참고문헌
김남형(2009).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부모-교사의협력적 관계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임상사회산업학회 임상사회사업연구.
김동일, 이명경(2006).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DHD) 원인론의 경향과 정망: 애착이론에 의한 대안적 접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김유숙, 박진희, 최지원(2010). ADHD 아동 산만하고 충동적인 아이를 어떻게 도울 것인가?. 서울, 이너북스 (한국)
추천자료
ADHD 중재
[특수아교육 A] ADHD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방안에 대하여 논의...
2017년 2학기 특수아교육 중간시험과제물 B형(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정서및행동장애)
2018년 2학기 특수교육학개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정서및행동장)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
특수교육학개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
특수교육학개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