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 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호자가 객담배출을 위한 타진을 도왔다.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효과적인 객담 배액법을 알고 취했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가슴 답답함이 없다.
호흡곤란이 완화되었다. (호흡이 힘든정도의 수치가 7→3이하로 감소하였다.)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숨쉬기가 한결 편해졌다고 표현했다.
호흡 곤란이 완화되고,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지 않는다.
Problem #2. :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불안정도가 0으로 감소하여 일상생활의 지장을 받지 않는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불안정도가 6에서 2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호흡이 편해졌다고 말한다. (1분간 호흡수 정상회복)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숨이 차지 않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①호흡양상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관찰한다.
-호흡의 깊이, 리듬, 횟수 등을 살핀다.
②호흡하기 쉽도록 좌위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 기좌호흡을 알려드리고 호흡을 돕는 체위라고 설명해 드렸다.
③ 환자의 질환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호흡곤란에 관한 효율적인 호흡법을 교육한다.
-폐쇄성 폐질환은 기도저항이 높아서 호기시 호흡이 힘들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코를 통해 흡기한 후 마치 촛불을 끌 때와 같이 입술을 모아 동그랗게 하여 호기시간을 길게 하는 호흡법이 도움이 된다고 교육했다.
-호흡할 때 깊은 호흡을 하도록 교육했다: 복식호흡으로, 코를 통해 천천히 깊게 호흡하도록 복부를 최대로 팽창시키며 천천히 숨을 들이마신 후 흡입공기가 폐에 잘 분포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흡기 마지막에 잠깐 동안 숨을 멈추게 하고 호기동안 복부를 수축하도록 교육했다.
④호흡 곤란시 처방에 따라 산소를 투여하며, nasal Cannula O2를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보호자에게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면서 nasal O2 를 설명하고, 적절하게 산소가 투여되고 있는지 옆에서 관찰하도록 하였다.
⑤ 환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한다.
-환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환자 옆에 있으면서 상태를 관찰하고,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한 처치과정에 대해 설명해 드렸다.
-V/S 측정시 손을 잡아주고, 환자에게 관심을 표현하여 정서적 지지를 하였다.
-대상자의 불안에 대해 말하도록 강요하지 않고, 경청하는 자세로 많은 이야기를 들어주었다.
-환자가 호흡곤란을 잘 견디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격려하여 긍정적인 마음으로 현재 상황을 받아들게 지지했다.
-명상, 즐거운 상상 등의 이완요법을 실시하도록 격려하였다.
-지시적 심상요법, 음악요법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켰다.
① 흉곽의 움직임이 감소하였고, 호흡의 횟수가 22회로 감소하였다.
②③ 누워계시지않고, 앉아서 호흡을 원활히 하기 위한 심호흡을 하셨다.
④cannula를 계속하고 계시며, 보호자와 대상자 모두 cannula의 사용법을 알고 왜 사용하는지 이해했다.
⑤ 불안도가 6→2로 감소하였다고 말했다.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불안정도가 6에서 2로 감소한다.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호흡이 편해졌다고 말한다. (1분간 호흡수 정상회복)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숨이 차지 않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대상자는 호흡곤란이 완화되어 불안정도가 0으로 감소하여 일상생활의 지장을 받지 않는다.
Problem #3. : 섭취 부족과 관련된 영양 부족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한달 이내에 준비된 식사의 2/3를 섭취하고, 감소된 체중이 정상 회복 할 것이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선호하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한다.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2주 이내에 허약감이나 피로감이 없다고 말한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① 식욕부진의 원인을 설명해드리고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② 대상자가 선호하는 음식을 파악하여 소량씩 자주 먹도록 격려한다.
③ 가족을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섭취량을 늘릴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한다.
④ 선호하는 음식을 파악하고, 식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리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⑤ 장관의 운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적절한 운동을 권유한다.
-적당량의 운동은 기분전환과 기혈순환의 효과 외에 장관의 운동을 촉진시켜 식사에 대한 생각을 유발시킬 수 있고, 뇌파의 변화를 유도하여 부교감 신경을 자극하고 식욕을 촉진시킬 수 있다.
① 호흡이 힘이들어 식사를 거부하심을 알고 호흡곤란을 완화하도록 도와드려, 식사를 권유하였다.
- 식사를 거부하셔서 힘이 없으시고 피로함을 느끼고, 축 쳐져 계셨는데 식사를 하고 운동과 활동을 하시며 피로감과 허약감이 줄었다고 하셨다.
② 소량의 잦은 식사는 소화량을 증가 시키고 중화된 HCl을 유지 시키며 역류를 방지한다는 것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고, 식사를 권유하였다.
③ 식사시간에 가족들도 함께 식사를 하였다.
④ 병원식이 아닌 사식으로 식사를 하셨다.
⑤ 5월5일이후, 식사를 거의 하지않으셔서 대변을 보지 못하셨는데, 식사를 한 후 운동을 하셨다.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선호하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섭취했다.
대상자는 1주 이내에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말했다.
대상자는 2주 이내에 허약감이나 피로감이 줄었다.
대상자는 한달 이내에 준비된 식사의 1/3이상 섭취하고, 감소된 체중이 증가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9.02.17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5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