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당 호흡수 : 36회/min
호흡시 짧고 얕은 호흡양상 보임
SpO2 96%
-비효율적 호흡
-흉부 견축 양상 있음
-빈호흡
“가래가 나오긴 하는데 뱉지는 않고 입에 머금고 있어요.. ”
“밤에 잘 때도 우리 아이숨소리 밖에 안 들려요.. ”
기침 시 객담배출
(객담의 양상은 조금 노란빛이 돌고
거품이 드문드문있음.)
호흡 시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들림
‘어머니가 수시로 기도분비물 흡인함
-비정상적 호흡음
-기관지 확장제 투여
-흉부물리요법(타진법) 사용
-침상 옆에 suction기계 준비해 두고 있음.
“해줘야지 그럼 .. 안해주면 울고 짜증부터 내는데 어떻해요 ”
“첫째아이는 할머니집에 맡겨놨어요. 안그래도 엄마 어디 갔냐고 찾는다던데..”
어머니에게 항상 칭얼대고 요구를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음.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도 혼자
힘으로 해결하지 않고 보호자에게
전적으로 의지 하려고 함.
-대상자에 대한 가족의 과잉보호
“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거에요..”
-입원과 동시에 보호자에 대한 의존성이 커지고, 자기수행능력이 저하됨.
(2) 간호진단과 기대되는 결과
#1. 질병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관련요인:
진잔근거(sign & simptom):
ㆍ기대성과 : 환아는 퇴원 전까지 호흡시 불편감이 줄었다고 표현한다.
ㆍ측정 지침 : 환아와 부모의 언어적 표현, 행동, 표정 등을 살피고
: 분당 호흡수와 호흡곤란 증상의 유, 무를 통해 측정한다.
ㆍ기대 성과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ㆍ호흡불편감이 줄었다고
표현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분당호흡수가 14~25회이다
11/9
11/10
11/11
v
v
v
ㆍ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1/9
11/10
11/11
v
v
v
※ 퇴원후에도 위의 내용을 계속 해야하나? (예/ 아니오)
= 이 문제는 입원 중에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퇴원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수행 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측정빈도:
= 하루에 4시간 마다 환아와 보모의 표정과 행동 등을 사정하고, 분당 호흡수와 호흡곤란 증상은 하루 2시간마다 상태를 사정한다.
※ 기타 내용:
1) 위의 측정표를 보고 환자 상태 설명 및 해석. 환자가 나아지고 있는지?
나아지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환자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간호활동
이론적근거
①비강 캐뉼라로 산소를 투여한다.
②2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한다.
③타진법을 통한 물리적 객담배출을
시행한다.
④상체를 올린 자세를 취해준다.
① 저농도의 산소를 지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② 호흡수 사정을 통하여 치료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치료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③ 누적된 객담의 배출과정 대부분은 물리적 방법에 의하기 때문에 물리적 객담 배출법은 호흡기 관리에 반드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④상체를 올린 체위는 페의 확장을 증진시켜 대상자의 호흡시에 도움을 준다.
#2. 분비물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관련요인:
진잔근거(sign & simptom):
ㆍ기대성과 : 대상자는 11월 11일까지 분비물이 감소하거나 없다.
ㆍ측정 지침 : 환아의 기침 양상, 분비물 점도, 호흡음을 사정한다.
ㆍ기대 성과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ㆍ효과적인 기침을 자주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객담을 삼키지 않고
배출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분비물이 묽다.
11/9
11/10
11/11
v
v
v
※ 퇴원후에도 위의 내용을 계속 해야하나? (예/ 아니오)
= 퇴원 후에도 기도개방을 유지하기 위한 분비물 배출을 필요하다.
※ 측정빈도:
= 매 시간 마다 환아의 기도개방 상태를 사정하고, 간호활동을 시행한다.
※ 기타 내용:
1) 위의 측정표를 보고 환자 상태 설명 및 해석. 환자가 나아지고 있는지?
나아지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환자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간호활동
이론적근거
①잦은 기침, 심호흡을 격려하고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②객담을 삼키지 말고, 체위배액을 통해 분비물의 배출을 쉽게하며, 효과적인 기침을 통해 객담을 배출하도록 가르친다.
③가습기를 이용해 적절한 습도를 제공한다.
④필요시 suction기를 이용하여, 기도분비물을 제거한다.
①기침은 기도의 자연적인 자가 청소기전이므로 기도 개방 유지에 큰 의미가 있다
②객담을 삼키는 것은 기도폐쇄의 한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감염의 위험요인이기도 하다.
③적절한 수액의 공급은 분비물을 묽게하고 객담배출을 쉽게한다.
④효율적으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4) 환아의 교육요구
- 환아 : 효과적인 기침을 자주하도록 격려하고, 왜 기침을 해야 하는지에, 기침을 쉽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환아가 이해 할 수 있는 수준에서 반복적으로 설명이 되어야 한다. 또 객담이 배출되었을 때는 삼키거나 입에 머금고 있지 않고 즉시 배출 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만약 배출이 힘들 경우에는 기관지 흡인을 할 수 있음을 일러둔다.
- 보호자 : 보호자들은 호흡기 감염시에 병원에 재입원해야 한다는 사실과 이것이 보호자들이 환아 관리에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시킨다.
치료적 처치와 관련하여서 교육할 것은 흡인기를 사용하여 분비물을 배출시킬 때, 흡인 시간은 15초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흡인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흡인기를 세척하고, suction catheter를 잘 보관해야 함을 기억시켜야 한다.
환아는 구강위생을 실시하거나, 구강위생을 실시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입을 헹구도록 한다.그리하여 흡인성폐렴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 예방 해야한다.
※ 참고
4. 성장곡선챠트
※ 참고 문헌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이은옥외 수문사저
소아과학 홍창의 대한교과서저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병원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아동간호학 2002 수문사
포켓간호진단 가이드
기본간호학 각론 이명화외 2002 정담
호흡시 짧고 얕은 호흡양상 보임
SpO2 96%
-비효율적 호흡
-흉부 견축 양상 있음
-빈호흡
“가래가 나오긴 하는데 뱉지는 않고 입에 머금고 있어요.. ”
“밤에 잘 때도 우리 아이숨소리 밖에 안 들려요.. ”
기침 시 객담배출
(객담의 양상은 조금 노란빛이 돌고
거품이 드문드문있음.)
호흡 시 ‘쌕쌕~’거리는 천명음이 들림
‘어머니가 수시로 기도분비물 흡인함
-비정상적 호흡음
-기관지 확장제 투여
-흉부물리요법(타진법) 사용
-침상 옆에 suction기계 준비해 두고 있음.
“해줘야지 그럼 .. 안해주면 울고 짜증부터 내는데 어떻해요 ”
“첫째아이는 할머니집에 맡겨놨어요. 안그래도 엄마 어디 갔냐고 찾는다던데..”
어머니에게 항상 칭얼대고 요구를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음.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도 혼자
힘으로 해결하지 않고 보호자에게
전적으로 의지 하려고 함.
-대상자에 대한 가족의 과잉보호
“나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거에요..”
-입원과 동시에 보호자에 대한 의존성이 커지고, 자기수행능력이 저하됨.
(2) 간호진단과 기대되는 결과
#1. 질병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관련요인:
진잔근거(sign & simptom):
ㆍ기대성과 : 환아는 퇴원 전까지 호흡시 불편감이 줄었다고 표현한다.
ㆍ측정 지침 : 환아와 부모의 언어적 표현, 행동, 표정 등을 살피고
: 분당 호흡수와 호흡곤란 증상의 유, 무를 통해 측정한다.
ㆍ기대 성과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ㆍ호흡불편감이 줄었다고
표현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분당호흡수가 14~25회이다
11/9
11/10
11/11
v
v
v
ㆍ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1/9
11/10
11/11
v
v
v
※ 퇴원후에도 위의 내용을 계속 해야하나? (예/ 아니오)
= 이 문제는 입원 중에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퇴원이후에도 지속적인 관리와 수행 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측정빈도:
= 하루에 4시간 마다 환아와 보모의 표정과 행동 등을 사정하고, 분당 호흡수와 호흡곤란 증상은 하루 2시간마다 상태를 사정한다.
※ 기타 내용:
1) 위의 측정표를 보고 환자 상태 설명 및 해석. 환자가 나아지고 있는지?
나아지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환자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간호활동
이론적근거
①비강 캐뉼라로 산소를 투여한다.
②2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한다.
③타진법을 통한 물리적 객담배출을
시행한다.
④상체를 올린 자세를 취해준다.
① 저농도의 산소를 지속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산소포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② 호흡수 사정을 통하여 치료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치료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③ 누적된 객담의 배출과정 대부분은 물리적 방법에 의하기 때문에 물리적 객담 배출법은 호흡기 관리에 반드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수단이다.
④상체를 올린 체위는 페의 확장을 증진시켜 대상자의 호흡시에 도움을 준다.
#2. 분비물과다와 관련된 기도개방유지불능
관련요인:
진잔근거(sign & simptom):
ㆍ기대성과 : 대상자는 11월 11일까지 분비물이 감소하거나 없다.
ㆍ측정 지침 : 환아의 기침 양상, 분비물 점도, 호흡음을 사정한다.
ㆍ기대 성과
날짜
전혀 달성하지 못함
약간
달성함
보통정도
달성함
상당히
달성함
완전히
달성함
ㆍ효과적인 기침을 자주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객담을 삼키지 않고
배출한다.
11/9
11/10
11/11
v
v
v
ㆍ분비물이 묽다.
11/9
11/10
11/11
v
v
v
※ 퇴원후에도 위의 내용을 계속 해야하나? (예/ 아니오)
= 퇴원 후에도 기도개방을 유지하기 위한 분비물 배출을 필요하다.
※ 측정빈도:
= 매 시간 마다 환아의 기도개방 상태를 사정하고, 간호활동을 시행한다.
※ 기타 내용:
1) 위의 측정표를 보고 환자 상태 설명 및 해석. 환자가 나아지고 있는지?
나아지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환자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간호활동
이론적근거
①잦은 기침, 심호흡을 격려하고 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②객담을 삼키지 말고, 체위배액을 통해 분비물의 배출을 쉽게하며, 효과적인 기침을 통해 객담을 배출하도록 가르친다.
③가습기를 이용해 적절한 습도를 제공한다.
④필요시 suction기를 이용하여, 기도분비물을 제거한다.
①기침은 기도의 자연적인 자가 청소기전이므로 기도 개방 유지에 큰 의미가 있다
②객담을 삼키는 것은 기도폐쇄의 한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감염의 위험요인이기도 하다.
③적절한 수액의 공급은 분비물을 묽게하고 객담배출을 쉽게한다.
④효율적으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4) 환아의 교육요구
- 환아 : 효과적인 기침을 자주하도록 격려하고, 왜 기침을 해야 하는지에, 기침을 쉽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환아가 이해 할 수 있는 수준에서 반복적으로 설명이 되어야 한다. 또 객담이 배출되었을 때는 삼키거나 입에 머금고 있지 않고 즉시 배출 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만약 배출이 힘들 경우에는 기관지 흡인을 할 수 있음을 일러둔다.
- 보호자 : 보호자들은 호흡기 감염시에 병원에 재입원해야 한다는 사실과 이것이 보호자들이 환아 관리에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시킨다.
치료적 처치와 관련하여서 교육할 것은 흡인기를 사용하여 분비물을 배출시킬 때, 흡인 시간은 15초 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흡인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흡인기를 세척하고, suction catheter를 잘 보관해야 함을 기억시켜야 한다.
환아는 구강위생을 실시하거나, 구강위생을 실시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입을 헹구도록 한다.그리하여 흡인성폐렴의 발생 가능성을 줄여 예방 해야한다.
※ 참고
4. 성장곡선챠트
※ 참고 문헌
간호진단과 임상활용 이은옥외 수문사저
소아과학 홍창의 대한교과서저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병원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아동간호학 2002 수문사
포켓간호진단 가이드
기본간호학 각론 이명화외 2002 정담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질병보고서.
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케이스, 폐렴
폐렴, 천식 케이스
아동케이스 천식,폐렴 pneumonia, asthma 케이스 case
[케이스스터디][급성위장염][미숙아]급성위장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미숙아 케이스스터...
[아동간호학] 폐렴(broncho pneumonia), 천식(Asthma) case study
[아동간호] 폐렴(Pneumonia) & 천식(Asthma)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pneumonia unspecified Asthma unspecifie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