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적 합리성의 거대 서사적 기능을 비판하고, 다양한 인식의 가능성과 차이에 주목하는 입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확실성과 절대성에 기초한 전체주의적 이론을 비판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교육자들에게 특정한 지식과 관념을 배제하게 하며, 반면에 지금까지 사소하고 하찮은 것으로 취급되어 오던 사적이고 우연적이며 주변적인 문제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 의미와 중요성을 부각시키도록 요구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지엽적이고, 주변적인 문제에 주목하고 사적인 가치와 다양한 담론의 활용을 지지하는 입장이라는 측면에서 근대적 합리성 즉 모더니즘 합리성의 대안적 시각으로 연구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의 합리성 논의는 모더니즘 합리성의 영향으로 초래된 한국교육의 역기능을 극복하고 새로운 교육의 재개념화를 위한 이론적 안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나의 가설이나 이론이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사회상, 시민의식과 국민들의 가치관이 큰 영향을 준다. 이론이 받아들여지기까지 충분한 검토 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 중 하나이다. 하나의 학문이 세상에 나와 우리의 입에 거론되기 까지는 많은 장애물과 시간이 걸린다. 완벽한 이론은 없어도 충분히 가치 있는 이론들은 많다.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그렇다. 다소 이 책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 바가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히 의미 있는 논의와 설명이 뒷받침해주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는 철학적 사고를 통해 심화된 논의를 끌고 나가야 한다.
하나의 가설이나 이론이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그 시대의 사회상, 시민의식과 국민들의 가치관이 큰 영향을 준다. 이론이 받아들여지기까지 충분한 검토 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이유 중 하나이다. 하나의 학문이 세상에 나와 우리의 입에 거론되기 까지는 많은 장애물과 시간이 걸린다. 완벽한 이론은 없어도 충분히 가치 있는 이론들은 많다.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그렇다. 다소 이 책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의의와 한계에 대해서 논하고 있는 바가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히 의미 있는 논의와 설명이 뒷받침해주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는 철학적 사고를 통해 심화된 논의를 끌고 나가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