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전적 조직이론
I.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II. 메이요의 호손실험
1) 1차 조명실험
2) 2차 계전기조립실험
3) 3차 면접실험
4) 4차 배전기 권선작업 관찰실험
III. 페이욜의 일반관리론
IV. 포드의 포드시스템
V. 베버의 관료제
* 참고문헌
I.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론
II. 메이요의 호손실험
1) 1차 조명실험
2) 2차 계전기조립실험
3) 3차 면접실험
4) 4차 배전기 권선작업 관찰실험
III. 페이욜의 일반관리론
IV. 포드의 포드시스템
V. 베버의 관료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권한에 기초한 조직이 바로 관료제 조직이다.
관료제 조직은 관리의 주관적 요소와 인간적 요소를 배척하고 합리적 근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조직을 관리할 것을 주장하였다.
관료제의 4가지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분업(division of labor) : 과업을 가능한 한 분업화하여 전문인을 양성하여 분업화된 직무를 맡김으로써 업무의 능률을 극대화 시키고자 한다.
2/ 계층적 권한(hierarchy authority) : 조직의 계층에 따라 책임과 권한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권한의 남용이나 임의성을 최소화 한다.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하고 의사결정을 공식화하기 위하여 의사소통도 문서화를 강조하고 있다.
3/ 규칙의 틀(framework of rules) : 주관적 판단에 의한 일 처리의 불합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업무수행의 규칙과 절차를 공식화 한다.
4/ 비인격성(impersonality) : 사람을 채용하고 승진시킬 때 정실에 의하지 않고 그 사람의 능력을 기준으로 결정함을 뜻하는 것이다.
관료제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봉건적 또는 전제주의 시대의 전통적 권한 또는 카리스마적 권한에 의한 조직관리에서 탈피하여 합리적 합법적 권한에 의한 조직관리를 주장한 것은 그 당시의 시대적 관점에서 볼 때 관리 사상에 있어서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관료제를 비판할 때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베버가 의도한 근본 사상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관료제는 규칙과 절차를 너무 강조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조직의 전형으로 부정적 의미를 띄고 있다. 정형화된 작업의 대규모 조직에는 적합하지만, 비정형화 된 업무가 많고 경영환경의 변화가 심할 때는 관료제 조직이 적합하지 않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관료제 조직은 관리의 주관적 요소와 인간적 요소를 배척하고 합리적 근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조직을 관리할 것을 주장하였다.
관료제의 4가지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분업(division of labor) : 과업을 가능한 한 분업화하여 전문인을 양성하여 분업화된 직무를 맡김으로써 업무의 능률을 극대화 시키고자 한다.
2/ 계층적 권한(hierarchy authority) : 조직의 계층에 따라 책임과 권한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으로써 권한의 남용이나 임의성을 최소화 한다.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하고 의사결정을 공식화하기 위하여 의사소통도 문서화를 강조하고 있다.
3/ 규칙의 틀(framework of rules) : 주관적 판단에 의한 일 처리의 불합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업무수행의 규칙과 절차를 공식화 한다.
4/ 비인격성(impersonality) : 사람을 채용하고 승진시킬 때 정실에 의하지 않고 그 사람의 능력을 기준으로 결정함을 뜻하는 것이다.
관료제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봉건적 또는 전제주의 시대의 전통적 권한 또는 카리스마적 권한에 의한 조직관리에서 탈피하여 합리적 합법적 권한에 의한 조직관리를 주장한 것은 그 당시의 시대적 관점에서 볼 때 관리 사상에 있어서 큰 획을 긋는 중요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관료제를 비판할 때에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베버가 의도한 근본 사상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관료제는 규칙과 절차를 너무 강조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조직의 전형으로 부정적 의미를 띄고 있다. 정형화된 작업의 대규모 조직에는 적합하지만, 비정형화 된 업무가 많고 경영환경의 변화가 심할 때는 관료제 조직이 적합하지 않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