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과정(선택과 주의 조직화 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각과정(선택과 주의 조직화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지각과정

I. 선택과 주의

II. 조직화
1. 도형-배경의 법칙
2. 범주화

III. 해석
1. 전형
2. 기대
3. 투사
4. 귀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한 것 보다 애매한 것들이 많다. 정보가 불안정한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애인에게 전화하여 만나자고 하니까 일요일이라 교회에 가야 한다고 만남을 거절할 때 상대방이 자신을 사랑한다고 기대할 경우 이를 믿지만, 사랑하고 있지 않다고 기대할 경우는 이는 핑계일 것이라 해석한다.
<그림> 기대
해석은 애매한 상황에서 자신의 기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까다로운 상사로부터 핀잔을 몇 번 듣다보면 계속 그렇게 기대하기 때문에 보통의 충고도 핀잔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사랑하는 애인으로부터는 온정과 인정을 기대하기
때문에 무슨 말을 듣더라도 사람으로 느낀다. 위의 그림은 왼쪽부터 그림을 하나씩 천천히 보았을 때 위 줄은 옷을 벗은 여자로 아래 줄은 사람 얼굴로 보인다.
3) 투사(Projection)
투사(投射)란 지각대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자신의 생각과 느낌에 비추어 보는 것을 말한다.
조직에서의 직무와 직장에 만족을 느끼는 직원은 직장을 옮기는 동료가 불만족 때문에 직장을 옮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반면에 직무와 직장에 불만족을 느끼는 직원은 동료가 직장을 옮기는 이유가 바로 불만족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부정적 특성을 투사하게 되면 자신이 그러한 부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로도 작용된다. 예를 들어 조직에서 속이는 사람은 다른 사람도 다 속이고 있다고 지각하고, 무책임한 사람은 다른 사람도 다 무책임하다고 지각한다.
4) 귀인(attribution)
귀인이란 행동 또는 행동 결과의 원인을 추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행동의 원인을 찾아 해석하는 것을 말한다. 한겨울 누군가 집 앞에서 미끄러워 넘어졌을 경우 이를 길이 미끄러워 넘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당사자가 부주의해서 넘어졌을 것이라고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2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