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이론 공리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도덕이론 공리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리주의◇◆◇◆

◆◇◆◇공리주의의 출현배경과 기본사상◇◆◇◆

◆◇◆◇벤담의 양적 공리주의◇◆◇◆

◆◇◆◇밀의 질적 공리주의◇◆◇◆

◆◇◆◇공리주의의 단점◇◆◇◆

◆◇◆◇공리주의의 반박◇◆◇◆

◆◇◆◇공리주의의 경험사례◇◆◇◆

◆◇◆◇공리주의 초등교육에 적용하기◇◆◇◆

◆◇◆◇맺음말◇◆◇◆

본문내용

익과 여러 사람들의 이익이 대립할 때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까?
- 자신이 하영이라면 어떤 입장이었을까?
- 자신이 동네 아이였다면 어떤 입장이었을까?
- 두 입장이 아닌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어떤 쪽의 행복이 더 큰 것일까?
( 어느 쪽의 입장을 선택해야 더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 할까? )
활동 2. 자신의 경험 이야기하기
- 자신의 이익과 여러 사람의 이익이 대립했던 경험을 얘기해 보기.
- 만약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여러 사람의 이익을 포기하게 했다면 그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 쓰기 ( 미안하다는 말 등)
- 만약 자신의 이익을 포기했더라면 왜 그렇게 선택을 했었는지 말해보기.
- 똑같은 상황이 온다면 어떻게 선택할지 말해보기.
활동 3. 빈터 분석하며 공리주의 배우기
[지금은 표가 작성되어 있지만, 학생들에게 나눠줄 때는 빈칸]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최대 다수가 행복하려면?
최대 행복은 무엇일까?
하영이네 가족이 빈터에
밭을 일구지 않고
아이들이 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하영이네 가족 수 〈아이들 수 )
많은 아이들이 위험한 찻길이 아닌
빈터에서 놀 수 있는 것.
※주의사항
아이들에게 공리주의는 이런 것이다 라고 설명을 한다는 것은 중·고등학교 때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을 하고, 초등학교 때는 그저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생각을 인식할 수 있게 자연스럽게 접근해 가야 한다. 그럼으로써 인성교육을 같이 해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들의 행복도 생각을 해보며 행동하는 어린이가 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초등학교 교육은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통해서 아이들의 바른 인성을 길러내 줄 수 있기 때문에 그 점에 유의하면서 도덕시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해야 한다.
◆◇◆◇맺음말◇◆◇◆
이론에 대해서 배우기만 했었지 이렇게 지도안을 짜본 것은 처음이었다. 내가 경험했던 일 중에서 도덕이론과 연관 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을 많이 해봤었다. 지금 공리주의에 대해서 쓰고 있었지만 내가 살아오면서 겪었던 일들을 생각해 보니까 칸트의 이론이나 선의지와 같은 다양한 사상들과도 내 삶이 연관되어 있었다. 철학이라는 것들 우리가 무심코 나와는 먼 것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생활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였다.
그리고 이렇게 지도안을 짜보면서 내가 배우는 입장에 서있을 때와, 가르치는 입장이 되었을 때 완전히 다르구나... 라는 생각도 하였다. 솔직히 내가 배운대로 가르치면 되겠지 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다양한 아이들에게 내가 배운대로 똑같이 가르칠 수 없고, 시대도 변하고 있는데 그것을 답습한다는 것은 힘든 일 같다. 내가 어떻게 가르칠 것인 가를 생각하면서 배우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다. 이렇게 깊이 단원을 찾아가면서가 아니라, 오늘은 무엇을 배웠는데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을까에 대해서 학교에서 집에 가는 동안이라던가, 자기 전 잠깐이라도 생각해 보는 것이 예비교사로서의 꾸준한 노력이 아닐까. 더 나은 교사가 되기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겠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2.02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