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의 자아개념발달
I. 자아개념의 정의
II. 자아개념의 발달
1. 영아기
1) 자아 출현
2) 자아 인식
2. 유아기
3. 아동기
III.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측정 및 위계적 구조
2. 자아존중감의 변화
3.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
* 참고문헌
I. 자아개념의 정의
II. 자아개념의 발달
1. 영아기
1) 자아 출현
2) 자아 인식
2. 유아기
3. 아동기
III. 자아존중감
1. 자아존중감의 측정 및 위계적 구조
2. 자아존중감의 변화
3.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은 자신의 욕망과 실제 능력의 차이를 잘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떤 일을 얼마나 잘 하는지 물었을 때 그들은 보통 자신의 능력을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하며, 작업의 난이도를 종종 낮게 추정한다(Harter, 2003).
그러나 아동기에 들어서면서 자신을 다양한 영역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유아기에 보였던 자아존중감에 대한 극단적인 긍정적 반응은 사라진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점차 하락하고 보다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된다(Marsh, Craven, & Debus, 1998). 이러한 현상은 능력과 관련하여 피드백이 잦아지고, 아동의 행동이 다른 사람과 비교되어 평가되면서 자신에 대한 판단을 타인의 견해나 객관적인 수행능력에 맞추어 조정하려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모든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12-13세에는 자아존중감이 떨어지고, 그 후 몇 년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한다(McCarthy & Hoge, 1982; O' Malley & Bachman, 1983).
9-90세까지 3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Robins, Trzesniewski, Tracey, Gosling, & Potter, 2002)에 따르면, 9-20세 사이에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점차 회복되면서 성인 초기부터 65세까지는 서서히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다가 이후 노인기에 다시 떨어진다.
(3)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부모의 앙육태도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부모가 온정적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취할 경우에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반면, 거부 통제 간섭 같은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53명과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공경혜, 2003)에서도 어머니가 민주적인 양육방식으로 자녀를 대할 때 가족 간의 유대관계와 애정 및 적응 정도를 지각하는 자녀의 가족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만 3-5세까지의 유아들에게도 부모들의 양육행동이 애정적, 자율적, 긍정적일 때는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부모가 거부적, 통제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종희, 2007). 높은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민주적인 양육태도의 정적 상관관계는 미국이나 캐나다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Scott, Scott, & McCabe, 1991). 더불어 부모에게 안정애착한 아동일수록 자신을 더욱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알 수 있다(박연경, 2006).
둘째, 또래와 교사 및 유의미한 타인들의 반응 역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준다. 만 4-5세 정도부터 이미 아동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또래들보다 더 잘 한다든지 더 못 한다든지 비교하는 반응을 받으면서 자신이 또래들과 다른 점을 인식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비교는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고 더 민감해진다(Butler, 1998; Pomerantz, Ruble, Frey, & Grenlich, 1995). 또래보다 좋은 반응을 얻고 또래로부터 인기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았다(이사라, 2000; 김윤하, 2006). 특히 또래의 영향은 초등학교 1학년 때와 고등학교 1학년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보다는 또래의 영향이 자아존중감 발달에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사라, 2000). 또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교사의 높은 기대, 더 많은 기회와 선택부여 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행동은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 적응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손미정, 2007). 청소년의 경우도 교사의 격려가 긍정적 자아감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Carlson et al., 2000).
셋째,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도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강영희, 2006)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임정, 2006;손미정, 2007). 또한 초등학교 4-6학년 영재와 일반아를 대상으로 인물화 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Moon & Lee, 1992)에서 영재아들이 일반 아동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경제적 지위 역시 자아존중감과 관계가 있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재효, 2002). 경제적인 스트레스로 갈등을 경험하는 부모는 아동에게 적대적인 양육행동을 보이게 되며, 이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Conger, Ge, Elder, Lorenz, & Simons, 1994). 또한 아동 자신이 또래집단보다 가난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면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 밖에 중국, 일본, 한국과 같은 집단의식이 강한 나라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미국, 캐나다, 호주와 같은 개인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나라의 아동과 청소년들보다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Harter, 1999). 또한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성 유형의 집단이 남성성유형이나 여성성유형, 미분화유형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그러나 아동기에 들어서면서 자신을 다양한 영역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유아기에 보였던 자아존중감에 대한 극단적인 긍정적 반응은 사라진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점차 하락하고 보다 현실적인 수준으로 조정된다(Marsh, Craven, & Debus, 1998). 이러한 현상은 능력과 관련하여 피드백이 잦아지고, 아동의 행동이 다른 사람과 비교되어 평가되면서 자신에 대한 판단을 타인의 견해나 객관적인 수행능력에 맞추어 조정하려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모든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12-13세에는 자아존중감이 떨어지고, 그 후 몇 년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고 보고한다(McCarthy & Hoge, 1982; O' Malley & Bachman, 1983).
9-90세까지 30만 명을 대상으로 한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Robins, Trzesniewski, Tracey, Gosling, & Potter, 2002)에 따르면, 9-20세 사이에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점차 회복되면서 성인 초기부터 65세까지는 서서히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다가 이후 노인기에 다시 떨어진다.
(3)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부모의 앙육태도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부모가 온정적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취할 경우에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반면, 거부 통제 간섭 같은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53명과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공경혜, 2003)에서도 어머니가 민주적인 양육방식으로 자녀를 대할 때 가족 간의 유대관계와 애정 및 적응 정도를 지각하는 자녀의 가족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만 3-5세까지의 유아들에게도 부모들의 양육행동이 애정적, 자율적, 긍정적일 때는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부모가 거부적, 통제적인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종희, 2007). 높은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민주적인 양육태도의 정적 상관관계는 미국이나 캐나다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Scott, Scott, & McCabe, 1991). 더불어 부모에게 안정애착한 아동일수록 자신을 더욱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알 수 있다(박연경, 2006).
둘째, 또래와 교사 및 유의미한 타인들의 반응 역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준다. 만 4-5세 정도부터 이미 아동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또래들보다 더 잘 한다든지 더 못 한다든지 비교하는 반응을 받으면서 자신이 또래들과 다른 점을 인식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비교는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고 더 민감해진다(Butler, 1998; Pomerantz, Ruble, Frey, & Grenlich, 1995). 또래보다 좋은 반응을 얻고 또래로부터 인기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이 높았다(이사라, 2000; 김윤하, 2006). 특히 또래의 영향은 초등학교 1학년 때와 고등학교 1학년에서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보다는 또래의 영향이 자아존중감 발달에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사라, 2000). 또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교사의 높은 기대, 더 많은 기회와 선택부여 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부정적 피드백과 지시행동은 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 적응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손미정, 2007). 청소년의 경우도 교사의 격려가 긍정적 자아감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Carlson et al., 2000).
셋째, 지적 능력이나 학업성취도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강영희, 2006)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이 높았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임정, 2006;손미정, 2007). 또한 초등학교 4-6학년 영재와 일반아를 대상으로 인물화 검사를 통해 심리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Moon & Lee, 1992)에서 영재아들이 일반 아동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경제적 지위 역시 자아존중감과 관계가 있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재효, 2002). 경제적인 스트레스로 갈등을 경험하는 부모는 아동에게 적대적인 양육행동을 보이게 되며, 이는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Conger, Ge, Elder, Lorenz, & Simons, 1994). 또한 아동 자신이 또래집단보다 가난하다고 지각하고 있으면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 밖에 중국, 일본, 한국과 같은 집단의식이 강한 나라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미국, 캐나다, 호주와 같은 개인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나라의 아동과 청소년들보다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였다(Harter, 1999). 또한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성 유형의 집단이 남성성유형이나 여성성유형, 미분화유형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