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덕목 선정의 이유
◉ 이야기 선정 이유
◉ 세상을 바꾼 두더지(데이비드 맥페일)
◉ 발문제시
◉ 이야기 교육법의 유의점과 활용방안
◉느낀점
◉ 참고문헌
◉ 이야기 선정 이유
◉ 세상을 바꾼 두더지(데이비드 맥페일)
◉ 발문제시
◉ 이야기 교육법의 유의점과 활용방안
◉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픔을 달래고 전쟁도 하지 않게 된 것은 모르고 평소처럼 잠자리에 듭니다.
6. 이 동화에서 몰과 다른 사람들의 삶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 굴속에 있는 몰의 연주를 듣고 실제로 땅위에 있는 사람들은 전쟁도 멈추고 왕과 대통령을 기쁘게 하는 등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7. 이 그림동화를 읽은 후 무엇을 느꼈나요?
- 우리의 삶은 다른 사람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자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할 때 삶의 질이 높아지고 각자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내가 맡은 작은 일이라도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이야기 교육법의 유의점과 활용방안
이 그림동화를 아이들에게 소개할 때 글과 그림의 유기적 관계를 알려 주어야한다. 왜냐하면 글에 표현되지 않은 것을 그림이 이야기함으로써 글과 그림의 유기적 관계가 잘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몰이 훌륭한 연주가가 되겠다는 꿈을 갖기 시작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있을 때 도토리나무에 새들이 모이기 시작하고, 몰의 바이올린 소리가 서툴자 그 소리에 새들은 나무에서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몰이 인내를 갖고 꾸준히 연습을 해서 아름다운 바이올린 소리가 나자, 그 소리에 나무는 무럭무럭 잘 자라고 새들도 다시 나무에 둥지를 틀고, 다른 동물이나 사람들도 나무 밑으로 와서 평화롭게 휴식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글은 몰이 자신의 꿈을 실현해가는 과정만을 이야기하고, 그림은 몰의 생활을 포함하여 땅 위의 세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글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땅 위의 이야기를 그림이 맡아서 끌고 감으로써 글과 그림이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훨씬 풍부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자기완성 과정, 즉 몰의 연주자로서의 자기완성 과정과 작은 싹으로부터 아주 큰 나무로 클 때까지의 나무의 자기완성 (모든 생명에게 안정, 휴식, 평안을 제공하는 일) 과정을 글과 그림을 통해 동시에 표현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둘 간의 관계에 주목하게 만든다. 글에 나타난 몰의 자기완성 과정은 그림에 나타난 나무의 자기완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글과 그림의 이러한 유기적 관계는 독자에게 모든 생명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그림책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기여한다.
이 그림책은 겉으로는 음악의 영향, 더 이상 전쟁이 없는 세상으로 바꾸어버린 아름다운 음악의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내가 맡은 일에(하고자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세상을 기준으로 볼 때 작은 것이든 큰 것이든,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 그림동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모여서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꿀지를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게 하고 싶다.
느낀점
이 그림동화는 책임뿐만 아니라 나의 행동이 어떻게 다른 생명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즉 나와 다른 생명의 관계가 어떠한지와 같은 철학적인 문제를 그림으로 아주 이해하기 쉽게 잘 표현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로 맺어져 있다. 한 예로 지금은 화물연대의 파업이 끝나서 물류 시스템이 회복되고 있지만 파업하는 일주일 동안 물류가 완전히 마비되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출과 수입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되었다. 이처럼 사회의 한 부분만 구멍이 생겨도 그 피해는 사회 전체에게 돌아간다. 그리고 소방관이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많이 잃어버릴 것이다.
이 그림동화를 읽고서 나도 감동도 받고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내가 지금 행하고 있는 어떤 작은 일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가? 하고 반성해 본다. 앞으로 내가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교육대학교에 다니는 나로서는 졸업을 하면 선생님이 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행동 하나하나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그 영향은 아이들의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나는 세상을 바꾼 두더지에서 몰이 연주를 통해서 세상을 변화시킨 것처럼 아이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싶다.
참고문헌
세상을 바꾼 두더지(문학동네), 초등학교 도덕 3학년 1학기 관련 사이트
http://blog.naver.com/spuk67?Redirect=Log&logNo=20007716206
6. 이 동화에서 몰과 다른 사람들의 삶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 굴속에 있는 몰의 연주를 듣고 실제로 땅위에 있는 사람들은 전쟁도 멈추고 왕과 대통령을 기쁘게 하는 등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7. 이 그림동화를 읽은 후 무엇을 느꼈나요?
- 우리의 삶은 다른 사람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자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할 때 삶의 질이 높아지고 각자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내가 맡은 작은 일이라도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이야기 교육법의 유의점과 활용방안
이 그림동화를 아이들에게 소개할 때 글과 그림의 유기적 관계를 알려 주어야한다. 왜냐하면 글에 표현되지 않은 것을 그림이 이야기함으로써 글과 그림의 유기적 관계가 잘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몰이 훌륭한 연주가가 되겠다는 꿈을 갖기 시작하고 설레는 마음으로 있을 때 도토리나무에 새들이 모이기 시작하고, 몰의 바이올린 소리가 서툴자 그 소리에 새들은 나무에서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몰이 인내를 갖고 꾸준히 연습을 해서 아름다운 바이올린 소리가 나자, 그 소리에 나무는 무럭무럭 잘 자라고 새들도 다시 나무에 둥지를 틀고, 다른 동물이나 사람들도 나무 밑으로 와서 평화롭게 휴식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글은 몰이 자신의 꿈을 실현해가는 과정만을 이야기하고, 그림은 몰의 생활을 포함하여 땅 위의 세계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글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땅 위의 이야기를 그림이 맡아서 끌고 감으로써 글과 그림이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보다 훨씬 풍부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자기완성 과정, 즉 몰의 연주자로서의 자기완성 과정과 작은 싹으로부터 아주 큰 나무로 클 때까지의 나무의 자기완성 (모든 생명에게 안정, 휴식, 평안을 제공하는 일) 과정을 글과 그림을 통해 동시에 표현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둘 간의 관계에 주목하게 만든다. 글에 나타난 몰의 자기완성 과정은 그림에 나타난 나무의 자기완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데, 글과 그림의 이러한 유기적 관계는 독자에게 모든 생명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는 그림책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기여한다.
이 그림책은 겉으로는 음악의 영향, 더 이상 전쟁이 없는 세상으로 바꾸어버린 아름다운 음악의 영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내가 맡은 일에(하고자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세상을 기준으로 볼 때 작은 것이든 큰 것이든,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 그림동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모여서 세상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세상을 바꿀지를 아이들에게 생각해 보게 하고 싶다.
느낀점
이 그림동화는 책임뿐만 아니라 나의 행동이 어떻게 다른 생명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즉 나와 다른 생명의 관계가 어떠한지와 같은 철학적인 문제를 그림으로 아주 이해하기 쉽게 잘 표현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로 맺어져 있다. 한 예로 지금은 화물연대의 파업이 끝나서 물류 시스템이 회복되고 있지만 파업하는 일주일 동안 물류가 완전히 마비되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수출과 수입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게 되었다. 이처럼 사회의 한 부분만 구멍이 생겨도 그 피해는 사회 전체에게 돌아간다. 그리고 소방관이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생명과 재산을 많이 잃어버릴 것이다.
이 그림동화를 읽고서 나도 감동도 받고 많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내가 지금 행하고 있는 어떤 작은 일이 다른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가? 하고 반성해 본다. 앞으로 내가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교육대학교에 다니는 나로서는 졸업을 하면 선생님이 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행동 하나하나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그 영향은 아이들의 삶을 변화 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나는 세상을 바꾼 두더지에서 몰이 연주를 통해서 세상을 변화시킨 것처럼 아이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싶다.
참고문헌
세상을 바꾼 두더지(문학동네), 초등학교 도덕 3학년 1학기 관련 사이트
http://blog.naver.com/spuk67?Redirect=Log&logNo=20007716206
키워드
추천자료
[역할극]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의의,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학습전개, 역할...
도덕과교육 가치갈등수업모형(가치갈등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도덕과교육 가치갈등수업모형(...
서로를 바라보는 세상을 꿈꾸며 - 이야기를 통한 교육 - 검정풍선 & 목도리녀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발달이론
[도덕과 교육] 성실에 관하여 (지도의핵심 교과서 반영 문제점 및 대안제시)
배려윤리와 초등도덕교육
초등도덕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와 덕윤리 - 도덕이론의 사례적용과 초등도덕교육과의 연계
초등도덕교육론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배려윤리 그리고 도덕교육 -이론 관련사례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