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운동발달] 영유아기(영아~유아) 반사운동발달 조작운동발달 이동운동발달 영유아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운동발달] 영유아기(영아~유아) 반사운동발달 조작운동발달 이동운동발달 영유아의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반사운동 발달
1. 찾기반사
2. 빨기반사
3. 파악반사
4. 바빈스키반사
5. 목강직반사
6. 모로반사
7. 걷기반사
8. 수영반사

II. 조작운동의 발달
1. 눈과 손의 협응력 발달
1) 제1단계 : 정적인 시각탐색(출생~16주)
2) 제2단계 : 능동적, 반복적 시각탐색(17~28주)
3) 제3단계 : 파악과 조작의 시도(28~40주)
4) 제4단계 : 정교화와 확장(40주~아동 중기)
2. 잡기능력의 발달
3. 자조기술의 발달

III. 이동운동의 발달
1. 영유아기 이동운동 발달과정
2. 이동운동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IV. 영유아기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성숙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발달
1. 영유아기의 이동운동 발달과정
Bukatko와 Daehler(1998)는 여러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영 유아의 이동운동 발달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표. 이동운동 발달과정(아래 표)
2. 이동운동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떤 한 가지 행동의 변화는 다른 행동을 변화시키게 된다. 영 유아기의 다양한 이동운동의 발달로 인해 유아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받게 된다.
첫째, 독립심이 향상된다. 영아가 기거나 걸어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점차 독립적으로 되며, 다양한 운동능력이 향상되면서 스스로 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독립심은 보다 증대된다.
둘째, 사회적 상호작용 방법에 변화가 오게 된다. 스스로 위치를 옮겨다닐 수 있고 여러 가지 운동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또래나 양육자와의 사회적 접촉이 보다 활성화되고 상호작용 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성인들도 유아의 발달 정도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바꾸게 된다. 영아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를 다시 제자리로 옮겨 놓거나,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재를 가하고, 특정 사물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아이들의 활동을 관여를 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운동이 발달하면서 양육자가 영아를 다루는 방식이 달라진다.
셋째, 인지발달이 촉진된다. 영 유아는 스스로 이동하면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세계가 넓어지게 되고 물리적 경험이 풍부해진다. 또한 자신의 지각적, 인지적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영 유아의 인지발달에 기여하게 된다.
자기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아는 공간 문제를 보다 잘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 못하는 영아, 배로 기는 영아, 손과 무릎으로 능숙하게 기어갈 수 있는 유아들에게 숨겨진 장난감을 찾아내는 능력을 알아보는 문제를 주었다. 장난감을 두 개의 상자 중 하나에 두고 영아를 180‘ 회전시켜 위치를 옮겨 놓았다. 이때 길 수 있는 영아들은 그렇지 못한 영아나 배로 기는 영아보다 이 문제를 더 잘 풀 수 있다. 이는 곧 이행운동이 영아의 공간방향 변화에 대한 조절력을 향상시켜줌을 의미한다. 또 이동운동이 가능한 영아들은 숨겨진 사물을 기억하는 과제에서도 의의 있게 더 잘 성취한다. 천으로 덮어 놓은 사물을 보고 난 후에 그것을 찾아내도록 했을 때, 걷거나 기어갈 수 있는 영아들이 더 잘 한다.
IV. 영유아기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른 영역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운동발달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된다. 운동발달의 일반적인 범위는 성숙에 의해 결정되며, 운동기능의 출현시기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고 늦어질 수도 있다.
1. 성숙적 요인
운동기능은 여러 가지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Thelen & Ulrich, 1991). 즉, 운동기능의 수준은 지각, 감정, 주의, 동기, 자세, 해부학적 요소 등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이동운동의 발달은 이들 모든 요인들이 적절하게 성숙되어야 하며 또한 상태와 상황이 적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신생아의 걷기반사가 사라지게 되는 것은 바로 이들 요소들의 부조화 때문이다. 2개월 때 걷기가 사라지는 것은 근육 형태를 통제하는 중추적 지시 때문이 아니라 신체 크기와 구성의 발달적 변화 때문이다. 즉, 아기의 크기와 몸무게가 근육에 비해 너무 무겁게 됨에 따라 아기의 능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영아가 걸을 수 없는 것은 그것을 할 수 없기 때문이 아니라 다리를 뒤로 뻗치는 자세를 지지해 주는 안정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Thelen은 걷지 못하는 7개월 아기에게 모터가 장착된 바퀴를 제공해주었다. 아기들을 움직이는 바취 위에 올려놓았을 때 능숙한 걷기와 비슷한 동작을 보였다. 그리고 바퀴가 양쪽 다리에 각각 다른 속도로 움직이게 했을 때 7개월 아기들은 걷는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었다. 즉, 아기들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운동을 더 잘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 같다. 이렇게 적절한 조건만 갖추어지면 자신의 소질을 충분히 발휘하며 걸을 수 있는 것이다.
2. 환경적 요인
런던, 파리, 스톡홀름 등 여러 도시에서 자란 아기들 간에 걷기 시작하는 연령이 서로 다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아기들은 런던이나 스톡홀름의 아이들보다 말리 걷는다. 도시간의 이러한 차이는 아주 현저하며 더욱 놀라운 것은 개인차의 폭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차는 성별이나 사회계층에 따른 차이는 없지만 영양 및 환경적인 요인이 이러한 차이를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문화 비교 연구들은 문화권에 따라 운동기능의 연습 기회가 서로 다른 것이 근육기능의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다(Hetherington & Parke, 1993). 예를 들어, 잠비아에서는 영아가 밝을 수 있을 때까지 엄마의 등에 멜빵으로 업고 어디든지 데리고 다닌다. 또 앉을 수 있게 된 후부터는 혼자 오랫동안 앉아서 운동기능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선 잠비아의 영아들은 시각, 청각, 촉각적 자극뿐만 아니라 운동적 자극을 많이 받는다. 그러나 멕시코의 어느 지방에서는 영아를 항상 꽁꽁 싼 채 데리고 다니고 생후 3개월 간은 얼굴까지도 덮어 둔다. 또 엄마들은 오로지 아기가 조용하도록 아기가 요구하는 것을 모두 다 채워주려고 한다. 따라서 이렇게 자란 아이들은 지각적 자극이나 운동적 자극을 거의 받지 못해 발달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초기의 양육환경이 신체 및 운동발달에 영향을 주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2.25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