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복지 정책의 개념
2. 아동복지 정책과 서비스 내용
3. 아동복지 정책의 범위
2. 아동복지 정책과 서비스 내용
3. 아동복지 정책의 범위
본문내용
보이고 있으며 2008년 12월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은 총 87,291명으로 전년에 비해 11,000여명이 증가하였다. 지역아동센터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학년은 초등학교 저학년이 41.2%(35,972명)이며 다음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38.0%(33,163명), 중학생 13.0%(11,380명), 미취학이 5.3%(4,585명), 고등학생이 2.1%(1,862명), 기타 0.4%(329명)의 순이다
(보건복지가족부, 2009)
2) 급식아동지원
아동급식지원 사업은 아동이 가정빈곤, 가족해체, 가정위탁, 소년소녀가정, 부모 보호자의 실직, 질병, 가출 및 직업적 특성, 아동학대, 방임, 유기, 부양 기피 및 거부, 그 밖에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한 가정 사정으로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해 끼니를 거르거나 먹는다 해도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식사를 제공하거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식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동급식지원사업의 목적은 빈곤아동 또는 기능 결손가정의 아동으로 결식하거나 결식할 우려가 있는 아동에게 식사를 제공함으로써 건전육성을 도모하는데 있다.
3) 결연사업
현재 결연사업의 목적을 시설보호아동, 가정위탁보호아동, 소년소녀가정 등 불우한 아동과 지역사회 이웃과의 결연으로 물질적, 정서적 자원을 통해 이웃사랑의 사회기풍을 조성하고 불우아동의 건전육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7)
결연사업은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공동모금회모금 등 민간자원 동원이 관건이므로 효과적인 자원개발전략이 필요하다.
(보건복지가족부, 2009)
2) 급식아동지원
아동급식지원 사업은 아동이 가정빈곤, 가족해체, 가정위탁, 소년소녀가정, 부모 보호자의 실직, 질병, 가출 및 직업적 특성, 아동학대, 방임, 유기, 부양 기피 및 거부, 그 밖에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한 가정 사정으로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해 끼니를 거르거나 먹는다 해도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식사를 제공하거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식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아동급식지원사업의 목적은 빈곤아동 또는 기능 결손가정의 아동으로 결식하거나 결식할 우려가 있는 아동에게 식사를 제공함으로써 건전육성을 도모하는데 있다.
3) 결연사업
현재 결연사업의 목적을 시설보호아동, 가정위탁보호아동, 소년소녀가정 등 불우한 아동과 지역사회 이웃과의 결연으로 물질적, 정서적 자원을 통해 이웃사랑의 사회기풍을 조성하고 불우아동의 건전육성을 도모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7)
결연사업은 한국복지재단, 사회복지공동모금회모금 등 민간자원 동원이 관건이므로 효과적인 자원개발전략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