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센터 회원이 많다. 단기간에 치료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는 속도도 느릴 수가 있다. 따라서, 우리 센터는 완벽한 치료가 되었다고 보장을 할 수는 없으나 회원이 어느 정도의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조그마한 변화를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개월에 한번씩 변화를 주던가, 6개월쯤에는 평가를 한 후 재계약을 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Q : 정신보건복지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이 있다면?
A : 스텝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대상자들은 어렸을 때의 상처, 증상, 사람들의 편견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어 쉽사리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관계를 맺는 것이 가장 어렵고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한다.
Q : 정신보건복지 분야에 일을 하면서 가장 힘든 점이 있다면?
A : 아무래도 병원에 계신, 의료 쪽에서 있으신 분들과의 마찰도 있고 업무의 과중으로 인해서 힘든 점이 많다. 또, 인력이 자주 바뀌어지기 때문에(대상자들과의 관계형성 후 이직하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많이 힘들어한다. 본 업무를 새로이 다시 새로운 사람이 시작해야 하는 점에서도 일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Q : 정신보건복지 분야의 발전을 위해 바라는 점이 있다면?
A : 가장 중요한 예산과 전문 인력이 확충되었으면 좋겠고, 사람들의 편견을 바꿀 수 있는 국가적인 캠페인 등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 참고 : 광주 동구 정신보건센터 http://www.hmt.or.kr/
2008 광주광역시 동구 지역정신보건사업 실행보고서
Q : 정신보건복지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이 있다면?
A : 스텝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이 가장 중요하다. 대상자들은 어렸을 때의 상처, 증상, 사람들의 편견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있어 쉽사리 자신을 드러내지 못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관계를 맺는 것이 가장 어렵고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한다.
Q : 정신보건복지 분야에 일을 하면서 가장 힘든 점이 있다면?
A : 아무래도 병원에 계신, 의료 쪽에서 있으신 분들과의 마찰도 있고 업무의 과중으로 인해서 힘든 점이 많다. 또, 인력이 자주 바뀌어지기 때문에(대상자들과의 관계형성 후 이직하기 때문에) 대상자들이 많이 힘들어한다. 본 업무를 새로이 다시 새로운 사람이 시작해야 하는 점에서도 일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Q : 정신보건복지 분야의 발전을 위해 바라는 점이 있다면?
A : 가장 중요한 예산과 전문 인력이 확충되었으면 좋겠고, 사람들의 편견을 바꿀 수 있는 국가적인 캠페인 등을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 참고 : 광주 동구 정신보건센터 http://www.hmt.or.kr/
2008 광주광역시 동구 지역정신보건사업 실행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