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깨달음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의 밥상에 오르는 음식들이 내게 오는 과정을 생각하는 것, 그것은 카길이 우리의 밥상을 더 이상 지배하지 못하도록, 소들이 풀을 먹고 자랄 수 있도록, 내가 진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그게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이번 과제를 하면서 알았다. 그 과정을 생각 하는 일이 중요한 일인 것은 그것을 생각하는 일이 음식과 인간과의 관계를 놓지 않는 일이기 때문이다. 음식과 인간과의 관계를 아는 일이 곧 우리의 밥상에 오르는 음식이 어떻게 나에게 왔는지 관심을 가지는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음식과 인간의 관계가 많이 모이면 음식과 인간의 관계가 음식과 사회와의 관계도 된다는 것도 알았다. 리포트의 제목을 나의 밥상이 아니라 ‘우리의 밥상’이라고 쓴 이유이다.
과제를 하면서 매번 많이 공부를 하게 되고 깨닫게 된다. 저번 과제에서도 썼지만 리포트를 쓰는 일이 내가 공부한 과정을 나 스스로 마지막으로 정리하고 보고한다는 느낌이 든다. 저번에 주체적 글쓰기에 대한 공부를 한 것도 그랬지만, 이번에 음식과 인간의 관계, 음식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공부를 한 것은 나에게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다. 매번 배워가는 과정이 참 좋다.
과제를 하면서 매번 많이 공부를 하게 되고 깨닫게 된다. 저번 과제에서도 썼지만 리포트를 쓰는 일이 내가 공부한 과정을 나 스스로 마지막으로 정리하고 보고한다는 느낌이 든다. 저번에 주체적 글쓰기에 대한 공부를 한 것도 그랬지만, 이번에 음식과 인간의 관계, 음식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한 공부를 한 것은 나에게 도움이 정말 많이 되었다. 매번 배워가는 과정이 참 좋다.
추천자료
김치, 그것은 우리에게 왜 대단한 것인가?
[생물학과]'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
누가우리의밥상을지배하는가-위태롭고 위험한 밥상
[생물과학]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일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
(농학과 생물과학1B형)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브루스터 닌 저/ 안진환 역, 출판...
[생물과학]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현재를 진...
“누가 우리의 밥상을 지배하는가?”(브루스터 닌 저)를 읽고 세계화 시대에 맞설 한국 농업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