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학사 시대 구분에 앞서
2. 조동일 ․ 서동문의 『국문학사』의 국문학사 시대 구분
3. 문학사 서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조동일 ․ 서동문의 『국문학사』의 국문학사 시대 구분
3. 문학사 서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한문학의 퇴조(1894년 갑오경장 이후)
*구어문학(국문학)을 문학으로 규정
*서정시와 서사시의 공존을 허용하지 않음
*서정시, 소설, 희곡이 대표 장르
*언문일치의 시대
*문학이 상품화(방각본 소설 등장)
3. 문학사 서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43쪽.
문학사 서술이 사상사나 사회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희망이다.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가 모두 합쳐져 하나가 되게 하면 기대하는 최상의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가가 그 어려운 작업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사회사 서술에서는 그 나름대로 독립되어 있는 영역만 다루는 자족적인 작업을 하는 데 그치고, 사상사 또한 내부적인 연관을 해명하는 데 치중하면 된다고 인정되는데, 문학사의 영역에서만 총체적인 역사를 해명하기 위해서 유독 거심하고 성과가 부족하다고 자책하니 공평하지 못하다. 통합을 위한 노력은 세 영역에서 모두 균등하게 힘써 해야 성취될 수 있다.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에서 각기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살리면서 다른 쪽의 작업을 포괄하기 위해서 애쓰는 것이 지금 가능한 최상의 방안이다.
*구어문학(국문학)을 문학으로 규정
*서정시와 서사시의 공존을 허용하지 않음
*서정시, 소설, 희곡이 대표 장르
*언문일치의 시대
*문학이 상품화(방각본 소설 등장)
3. 문학사 서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1994, 43쪽.
문학사 서술이 사상사나 사회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희망이다.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가 모두 합쳐져 하나가 되게 하면 기대하는 최상의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가가 그 어려운 작업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사회사 서술에서는 그 나름대로 독립되어 있는 영역만 다루는 자족적인 작업을 하는 데 그치고, 사상사 또한 내부적인 연관을 해명하는 데 치중하면 된다고 인정되는데, 문학사의 영역에서만 총체적인 역사를 해명하기 위해서 유독 거심하고 성과가 부족하다고 자책하니 공평하지 못하다. 통합을 위한 노력은 세 영역에서 모두 균등하게 힘써 해야 성취될 수 있다. 문학사 사상사 사회사에서 각기 그 나름대로의 장점을 살리면서 다른 쪽의 작업을 포괄하기 위해서 애쓰는 것이 지금 가능한 최상의 방안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