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 올드보이를 해부하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분석] 올드보이를 해부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OLD BOY를 나는 왜 좋아하는가?

2. OLD BOY의 네러티브를 요약하라!

3. OLD BOY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4. OLD BOY를 자세히 분석해보자!

5. OLD BOY 내 마음대로 비틀기!

6. OLD BOY 프레임 집중 분석!

7. 리포트를 마치며.

본문내용

그 장면에서 오대수는 이렇게 말한다. “여기까지가 제가 겪은 모험의 전부입니다”그렇다. 주인공의 여정은 말 그대로 모험인 것이다. 그것도 괴물을 처치해 세상을 구원한다는 영웅의 모험(물론 실패했지만). 이 영화는 분명 매우 특이하게, 그러나 확실히 영웅 신화적 구조를 따르고 있다!
(보충 설명 : 4번에서의 결론은 이 영화가 단순한 복수극의 영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5번을 보면 이 영화가 영웅 신화의 구조를 충실히 따르는, 어떻게 보면 단순한 복수극의 영화에 가깝다고 말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내가 5번에서는 이 영화의 영웅 신화적 구조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그렇게 보인 것이고, 4번에서 언급했듯이 이 영화는 단순한 복수극의 영화는 아니라는 것이 나의 결론이다.)
6. OLD BOY 프레임 집중 분석!
영화 『OLD BOY』의 명장면은 과연 어떤 장면일까? 옥상에서의 첫장면? 이우진의 권총자살 장면? 오대수와 미도의 엔딩장면? 과연 어떤 장면일까? 그런데 나는 『OLD BOY』의 명장면을 꼽으라고 한다면 바로 오대수의 장도리 액션 장면을 꼽고 싶다. 복수를 하기 위해 7.5층 감금방에 장도리 하나 들고 침입한 오대수. 감금방 주인의 이를 무참히 뽑아 버린 후 수십명의 부하들과 말 그대로 17:1의 결투를 벌이게 된다. 장도리 하나 가지고.
이 장면을 명장면을 꼽은 이유는 이 장면이 단순히 화끈하고 시원한 액션 장면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물론 이 장면의 액션신은 매우 화려하였지만, 단순히 화려한 액션이라고 하기에는 무언가 달랐다. 과연 그 장면은 무슨 차이점이 있는 걸까? 그것은 바로 그 장면이 “One Scene One Cut"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시나리오에 나온 그 신은 다음과 같다.
35. 복도 (낮)
철웅 목에 장도리를 겨누고 막다른 벽을 등지고 선 대수.
대수
....에이비형, 손들어라.
(쭈뼛쭈뼛 손드는 두 놈에게 철웅을 떠밀며)
어서 가라, 피 많이 흘렸다.
철웅을 부축하고 뛰어가는 건달들. 덤벼드는 대수, 격투가 시작된다. 장도리를 휘둘러, 주로 상대의 슬개골을 찍어버리는 대수, 장도리를 놓치고 나서는 맨손으로 싸운다. 무수히 얻어맞으면서도 악착같이 싸운다.
대수
(소리)
때리고 맞으면서 점점 즐거워졌다.
그때 나는 속으로, 감금방 주인을 죽이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있었다.
복싱 자세를 취하며 몰려오는 덩어리들을 상대하기 시작하는 대수. 하나하나 쓰러뜨리며 전진, 엘리베이터 앞에 도착. 문 열리자 좁은 엘리베이터 가득, 각목 따위를 든 덩어리들. 진퇴유곡에 빠진 대수, 엘리베이터로 몸을 날린다.
그렇다면 감독은 이 장면을 “One Scene One Cut"으로 찍은 이유는 무엇일까? 관객들이 이 장면을 보면서 느끼는 감정은 오대수의 신들린 무술에 놀라기도 하겠지만, 철저히 혼자인 그를 바라보면서 처연함을 느끼지는 않았을까? 15년 동안도 혼자였던 오대수. 혼자만의 생활 속에서 오대수는 점점 괴물로 변해만 갔고, 그 괴물은 자신을 괴롭힌 상대에게 무참한 복수를 한다. 등에 칼을 맞기도 하고, 몸은 만신창이가 되지만 결국 장도리 하나만 가지고 외로운 싸움에서 승리하고 만다. 하지만 말 그대로 상처뿐인 영광. 처절한 복수극을 마치고 피를 흘리며 길을 걷던 오대수는 이미 사람이 아닌 괴물 그 자체였다. 그리고 감독은 이러한 오대수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지금까지 접해왔던 방식과는 다른 매우 특이한 방식의 액션신을 보여 준 것이라고 생각된다.
7. 리포트를 마치며.
2년 전쯤 처음 『OLD BOY』를 보고 느낀 생각과 지금 이 리포트를 마치면서 느낀 생각과는 매우 많이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처음 『OLD BOY』를 보고 대단한 영화라고 생각은 했지만, 정확히 무엇이 대단한 영화인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였는데, 이 리포트까지 쓰게 되면서 『OLD BOY』의 장단점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 같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영화 역시 마찬가지였다. 조금씩, 조금씩 영화에 대해 이해하면서, 영화에 대한 나의 눈은 점점 깊어지고 있는 기분이 든다.
이야기, 이미지, 음향이 훌륭한 하모니를 이루고 있는 영화. 영웅 신화적 구조를 따르고 있으면서도 인간에 대한 성찰을 하게끔 만드는 느와르 장르의 영화. 세계 제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칸느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차지한 그 영화. 영화학도의 꿈을 남몰래 꿈꾸고 있는 나로서는 비슷하게라도 만들어 보고 싶은 영화. 바로 『OLD BOY』다.
-The End-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