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보이> 분석 및 감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드보이> 분석 및 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올드보이의 내러티브 분석
1. 시놉시스 개요
2. 플롯 구조

Ⅲ. 올드보이의 기법 / 미장센 분석
1. 롱테이크
2. 색조와 조명
3. 아웃포커싱
4. 구도와 앵글
5. 시점샷

Ⅳ. 전체적인 감상

본문내용

사용되어 등장인물에게로의 효과적인 감정이입을 유도해낸다.
Ⅳ. 전체적인 감상
이렇듯 <올드보이>는 내러티브와 미장센, 각종 촬영기법면에서 미학적으로 뛰어난 완성도를 보이며 상업적, 오락적인 성격이 다분한 이 영화를 작가주의 영화의 수준까지 끌어올린다. 다만 아쉬운 점은 이 영화가 지극히‘영화를 위한 영화’라는데 있다. 즉, 감독의 요란한 상상력들을 표현해내기 위해 너무 분위기와 스타일에만 치중한 것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너무나 절실하게 컬트영화가 되기를 원한 나머지 일관성 유지 면에서 약간의 허점을 보이고 있다. 때때로 과도한 감정의 기복과 만화적 설정으로 인해 영화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여유를 주지 않고 관객들을 몰아붙이는 리드미컬한 시청각 이미지들은 결국 이 부족한 요소 들을 충분히 덮어버린다. 박찬욱 감독은 이 공격적이고 매혹적인 주제를 신경을 자극시키는 스타일을 통해 성공적으로 시각화 시킨다. 즉 비틀린 내러티브를 폭력적 이미지들로 점철시켜, 미학이 철학을 짓누르게끔 만든 것이다. 이 같은 박찬욱의 미학이 성공하게 된 요소로 등장인물들의 명연기 또한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우리는 영화를 보는 내내 최민식의 광기에 완전히 고정되어 버린다. 이 영화는 박찬욱의 영화이기도 하지만 최민식의 영화이기도한 것이다. 이렇듯 훌륭한 감독과 훌륭한 배우의 존재는 칸의 쾌거가 아무렇게나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 참고 자료
「영화 <올드보이>의 주체 소멸에 관한 서사론적 연구」 / 서은선 / 한국문학논총
「<올드보이> 한 스타일리스트의 만화같은 상상력」 / 정희모 / 영화읽기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9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