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후>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고 느낀 의의는 두 가지 였다. 첫째로는 이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횡행하고 있는 아전인수적인 정의론들을 물리칠 나름의 정의관을 세울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우리 사회에서 극히 심해지고 있는 불평등의 해소에 있어 막스주의 외의 대안을 찾았다는 것이다. 그다지 막스주의에 대해 공부를 한 적은 없지만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함에 있어 막스주의 외의 뚜렷하게 설득력있는 대안을 접해 보지 못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롤즈의 강력한 평등주의적인 정치철학을 접하면서 이젠 막스주의자 보다는 비판적 합리주의자로서 정치적 입장을 명확히 할 수 있게 되었다. ‘정의’라는 주제는 우리사회에서 최근 큰 화두중의 하나였다. 정의에 대해 묻고 갈망하는 이유는 아마도 우리 사회가 부정의로 물들고 있음을 발견하고 정의에 다가가고자 하는 반성적 사고에서 시작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롤즈의 정의론을 읽고 진정한 정의가 무엇인가라는 해답을 찾았다기보다는 우리가 적어도 지향해야할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윤리교사를 꿈꾸는 나로서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물음을 끝없이 고민하고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리라 다짐해본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고 느낀 의의는 두 가지 였다. 첫째로는 이책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횡행하고 있는 아전인수적인 정의론들을 물리칠 나름의 정의관을 세울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우리 사회에서 극히 심해지고 있는 불평등의 해소에 있어 막스주의 외의 대안을 찾았다는 것이다. 그다지 막스주의에 대해 공부를 한 적은 없지만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함에 있어 막스주의 외의 뚜렷하게 설득력있는 대안을 접해 보지 못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롤즈의 강력한 평등주의적인 정치철학을 접하면서 이젠 막스주의자 보다는 비판적 합리주의자로서 정치적 입장을 명확히 할 수 있게 되었다. ‘정의’라는 주제는 우리사회에서 최근 큰 화두중의 하나였다. 정의에 대해 묻고 갈망하는 이유는 아마도 우리 사회가 부정의로 물들고 있음을 발견하고 정의에 다가가고자 하는 반성적 사고에서 시작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롤즈의 정의론을 읽고 진정한 정의가 무엇인가라는 해답을 찾았다기보다는 우리가 적어도 지향해야할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윤리교사를 꿈꾸는 나로서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물음을 끝없이 고민하고 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리라 다짐해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