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맨틱 코미디의 부상 때문이다. 멜로를 기본 축으로 경쾌한 웃음을 결부시킨 로맨틱 코미디는 가장 사랑받는 멜로의 하위 장르로 입지를 굳혔다. 〈결혼 이야기〉(1992), 〈미스터 맘마〉(1992), 〈닥터 봉〉(1995), 〈엽기적인 그녀〉(2001) 등이 로맨틱 코미디로서 사랑을 받았다. 로맨틱 코미디의 전반적인 강세 속에서도 〈접속〉(1997), 〈편지〉(1997), 〈약속〉(1998), 〈클래식〉(2003) 같은 정통 멜로에 가까운 영화들도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멜로영화에서 가장 주를 이루는 것들은 대부분 남녀의 사랑얘기나 부모자식간의 사랑 등이 있고 그것들 안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사건이 일어나고 분쟁이나 싸움이 일어난다. 사건 중에는 병에 걸리거나, 죽음에 이르는 이미 정해져있는 사건이 있고 오해나 장애물처럼 해결 가능한(화해가 가능한) 사건이 있다.
또하나 멜로에서 빠질 수 없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절절함이다. 연기를 하는 배우와 관객 모두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인데 이 감정을 표현하는데 있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소는 ‘눈물’이다.
중경삼림에서 여주인공이나 남자주인공이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대신 사물들이 혹은 공간이 물에 흠뻑 젖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인물의 눈물을 내세우는 대신 사물이나 공간에 그 심리를 투영시킨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가 처음 멜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본 것은 대학교 2학년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나서 부터다. 시학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장르는 그 설명도 어원도 너무나 흥미로운데 고대에서 전해지는 멜로의 범주에서 생각하면 거의 대부분의 장르에 멜로적요소가 들어있다고 생각된다. 그만큼 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바로 감상적인 감정 인것 같다.
또 지금은 멜로가 남녀의 사랑얘기로 범주가 좁혀져서 많이 일컬어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액션영화 느와르영화 서부극 스릴러 등 다양한 장르 안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남녀의 사랑이나 부모 자식 간의 사랑이다. 그런 점에서 멜로가 가지는 영향력이나 활용도는 다른 어떤 장르보다 높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들은(특히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그런것 같다) 멜로를 뻔하고 시시하다고 여기기도 하는데 내 생각에는 우리 모두에게 있는 가장 보편적인 것을 끄집어내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이번 과제에서는 일반적인 멜로와 조금 다른 경향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분석했는데 다음번에는 정통멜로에 도전해보고 싶다.
멜로영화에서 가장 주를 이루는 것들은 대부분 남녀의 사랑얘기나 부모자식간의 사랑 등이 있고 그것들 안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사건이 일어나고 분쟁이나 싸움이 일어난다. 사건 중에는 병에 걸리거나, 죽음에 이르는 이미 정해져있는 사건이 있고 오해나 장애물처럼 해결 가능한(화해가 가능한) 사건이 있다.
또하나 멜로에서 빠질 수 없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절절함이다. 연기를 하는 배우와 관객 모두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인데 이 감정을 표현하는데 있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요소는 ‘눈물’이다.
중경삼림에서 여주인공이나 남자주인공이 눈물을 쏟아내는 장면대신 사물들이 혹은 공간이 물에 흠뻑 젖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인물의 눈물을 내세우는 대신 사물이나 공간에 그 심리를 투영시킨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가 처음 멜로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본 것은 대학교 2학년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나서 부터다. 시학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장르는 그 설명도 어원도 너무나 흥미로운데 고대에서 전해지는 멜로의 범주에서 생각하면 거의 대부분의 장르에 멜로적요소가 들어있다고 생각된다. 그만큼 영화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바로 감상적인 감정 인것 같다.
또 지금은 멜로가 남녀의 사랑얘기로 범주가 좁혀져서 많이 일컬어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액션영화 느와르영화 서부극 스릴러 등 다양한 장르 안에서 빠질 수 없는 부분이 남녀의 사랑이나 부모 자식 간의 사랑이다. 그런 점에서 멜로가 가지는 영향력이나 활용도는 다른 어떤 장르보다 높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사람들은(특히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그런것 같다) 멜로를 뻔하고 시시하다고 여기기도 하는데 내 생각에는 우리 모두에게 있는 가장 보편적인 것을 끄집어내는 장르라고 생각한다.
이번 과제에서는 일반적인 멜로와 조금 다른 경향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작품을 분석했는데 다음번에는 정통멜로에 도전해보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