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윤리 교육론] 윤리적 상대주의 - 누가 옳고 그름을 판단할 것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양 윤리 교육론] 윤리적 상대주의 - 누가 옳고 그름을 판단할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윤리적 상대주의

Ⅱ. 윤리적 상대주의 분석
1. 다양성 논제 (diversity thesis)
2. 의존성 논제 (dependency thesis)

Ⅲ. 주관적 윤리적 상대주의 (주관주의)
1. 주관적 윤리적 상대주의
2. 주관주의로부터 도출되는 불합리한 결과들

Ⅳ. 관례적 윤리적 상대주의 (관례주의)
1. 관례적 윤리적 상대주의 (conventional ethical relativism)
2. 관례주의로부터 도출되는 불합리한 결과들

Ⅴ. 윤리적 상대주의 비판
1. 다양성 논제 비판
2. 의존성 논제 비판

본문내용

신봉하는 그 어떤 사람도 합리적으로 비판할 수 없다.
상대주의자들은 자기 자신의 문화밖에 있는 그 어떤 이도 도덕적으 로 비판할 수 없음.
예. 아돌프 히틀러의 인종 학살과 마더 테레사의 자비
⑵ 개혁가, 혁명가
① 개혁가들이 항상(도덕적으로) 그르다는 것을 함의.
② 개혁가들은 문화적 기준의 조류에 늘 역행하기 때문.
③ 그러나 우리는 보통 정반대로 개혁가가 올바른 이, 진리를 소유한 이, 어리석은 다수에 강력히 반대하는 용기 있는 혁신자라고 느낀다.
예. 입센의「민중의 적」w중에서 스토크만 박사의 말
“우리들 가운데의 진리와 자유의 가장 위험한 적은 바로 밀집한 군중이다. 그렇다. 저 빌어먹을, 밀집한 자유쥬의적인 민중이 다. 민중은-불행하게도- 힘을 가졌으나, 그것은 정의가 아니 다.”
→ 그러나 상대주의가 옳다면 진리는 군중의 편에 있고, 오류 는 개인에게 있다.
⑶ 법
① 법에 복종해야하는 자명한(prima facie) 의무
: 보통 법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선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② 도덕 상대주의가 참이라면 법도 시민 불복종도 확고한 토대를 갖지 않음.
→ 시민 불복종은 전반적인 사회의 편에서 볼 때 다수의 문화가 해 당 법에 동의하는 한 도덕적으로 그른 것이 될 것임. 한편, 당신 이 해당 특수 법을 인정하지 않는 관련 하부 문화에 속해있다면 불복종은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이 됨.
③ 우리가 법에 대한 독립적인 도덕적 기초를 갖지 않는다면 우리가 왜 그 법을 따라야 하는 일반적인 의무를 갖는가를 이해하기 어려 움.
→ 보편적인 도덕법의 우선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시민 불복종의 행위를 정당화할 어떠한 확고한 기초 없음.
⑷ 문화 (culture), 사회 (society)의 개념 정의
① 문화 또는 사회의 개념 정의가 매우 어렵다.
② 한 개인이 서로 다른 가치 지향과 원칙 배열을 갖는 여러 사회 (하위문화)에 동시에 속할 수 있음.
→한 개인이 상충하는 도덕을 지향하는 사회들에 속한다면 그 사 람은 무엇을 하든지 간에 동시에 그르면서 그르지 않다고 판단.
③ 이 경우 상대주의자들은 주장
: 개인이 자신이 속한 집단 중에서 어느 것이 1차적인 집단으로서 속하는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 그러나 이 선택은 그것이 역직관적인 귀결로 돌아간다는 문제 점이 있음.
④ 관례적 상대주의 →→→ 주관주의 로 빠진다.
⇒ 반대 : \"미끄러운 경사길 오류 (slippery slope fallacy)의 일례 이다.“
※ 미끄러운 경사길 오류 : 어떤 것이 받아들여진다면 불합리 한 또는 용납할 수 없는 상태의 연쇄 고리로 빠져들게 될 것이라는 잘못된 근거 위에서 반대 주장을 펼치는 오류.
☆ 간단한 정리 ☆
주관적 윤리적 상대주의
관례적 윤리적 상대주의
도덕원칙
개인적 측면
사회, 문화적 측면
도출되는
불합리한
결과들
① 도덕성을 쓸모없는 것으로 만 들어버림.
② 도덕이 심미적 취향으로 강등.
③ 원자론적인 결과.
① 관용의 원칙의 문제점.
② 개혁가, 혁명가는 그르다는
결과.
③법을 지켜야하는 의무의 문제.
④ 문화, 사회의 개념정의
Ⅴ. 윤리적 상대주의 비판
앞서 래드의 명제로부터 도출한 전제와 결론을 검토하고 그것을 상대주의의 세 정식으로 고려해보자.
a. 다양성 논제 - 도덕적으로 옳고 그른 것으로 고려되는 것은 사회마다 다양하 며, 따라서 모든 사회가 받아들이는 도덕원칙은 존재하지 않는다.
b. 의존성 논제 - 모든 도덕 원칙들은 그 타당성을 문화적 수용의 측면으로부터 이끌어낸다.
c. 윤리적 상대주의 - 그러므로, 보편적으로 타당한 도덕 원칙, 언제 어디서나 모 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객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1. 다양성 논제 비판
⑴ 다양한 문화들의 도덕률간의 큰 유사성 발견.
① 윌슨 (E.O.Wilson) - 공통 특징을 20개 이상 식별.
② 클룩혼 (Clyole Kluchohn) - 몇몇 의미 있는 공통된 기초.
⑵ 다양성 논제만으로 윤리적 상대주의를 함축하지 못함. 또 다양성 논제 를 부정하는 것만으로 윤리적 상대주의를 논파 할 수 없음.
① 문화적 다양성은 이론에 관해서는 중립적 입장.
ⓐ 문화적 다양성의 존재 사실만으로는 윤리적 상대주의의 참이 그 자체로 입증 되는 것은 아님.
ⓑ 객관주의자들도 보편주의의 형식을 옹호하면서 완전한 문화적 상대주의를 받아들일 수 있다.
② 완전한 문화적 상대주의를 부인하는 것 (즉, 보편원리를 일부 수긍)
이 윤리적 상대주의를 논파하는 것도 아님.
ⓐ 보편적 원리 발견만으로는 그것이 어떠한 객관적 지위를 갖는 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은 아님.
ⓑ 규칙에 예외 되는, 그것을 비판할 수 없는 문화 상상 가능.
2. 의존성 논제 비판.
⑴ 약한 의존성 논제 와 강한 의존성 논제
① 약한 의존성 논제 : 원칙들의 응용이 특수한 문화적 상태에 의존.
② 강한 의존성 논제 : 원칙들 자체가 그 상태에 의존해 있다고 확언.
③ 비상대주의자들은 도덕 원칙들이 신념, 역사, 환경에 의존하면서 다 양한 문화들 속에 적용된다 는 방식으로 상대성 일부 받아들일 수 있음.
④ 도덕원칙이 약한 정도로 의존적이라는 사실이 곧 윤리적 상대주의 가 타당하다고 보여주는 것은 아님.
⑵ 번역의 불확정성으로부터의 논증
① 벤자민 월프 와 콰인에 의해 제시된 이론.
② 언어는 종종 근본적으로 서로 너무 상이해서 우리가 개념들을 정확 히 다른 언어로 번역할 수 없다고 주장.
③ 언어는 문화의 본질이며 그 문화를 다른 언어 및 문화와 분리지음으 로써 그 실재를 근본적으로 실현.
④ 번역의 불확정성으로부터의 논증의 그릇됨 증명.
→ 우리는 외국어를 습득하고 언어의 틀을 가로질러 번역하는 방법 을 배운다. 비교 문화적으로 의사소통 하는 것이 가능.
⑤ 번역의 불확정성이 언어 사용자들 간에 일부 존재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사실로부터 번역이나 의사소통이 가능하지 않다는 결 론을 내려서는 안됨.
⑶ 강한 의존성 논제를 추구할 타당하고 확실한 이유 불충분.
※ 참고 문헌 ※
W. S. 사하키안, 윤리학(그 이론과 문제에 관한 개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1.
한국국민윤리학회 편, 현대사상의 쟁점과 윤리, 형설출판사, 2000.
  • 가격1,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